$\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수구배재료에서 천이탄성동적모드 III 균열전파
Transient Elastodynamic Mode III Crack Growth in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34 no.7=no.298, 2010년, pp.851 - 858  

이광호 (경북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수구배재료에서 구배방향을 따라 전파하는 천이모드 III 균열에 대한 일반적인 탄성해를 근접해법으로 얻었다. 함수구배재료의 전단계수 및 밀도는 구배방향을 따라 지수형적으로 변화한다고 가정하였다. 균열선단의 응력변위장응력확대계수 및 균열선단속도의 시간변화율에 의존하는 계수들을 갖는 방사상 좌표계의 누승으로 얻었다. 비균질성과 천이계수들이 응력 및 변위장의 고차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generalized elastic solution for a transient mode III crack propagating along the gradient in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FGMs) is obtained through an asymptotic analysis. The shear modulus and density of the FGMs are assumed to vary exponentially along the gradient. The stress and displace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이러한 연구들은 평면문제(In-Plane)에 대한 연구이며, 모드 III 평면(Anti-plane)에서 비정상적으로 전파하는 함수구배재료의 균열에 대한 응력장, 변위장 그리고 전파균열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드 III 하중하에서 함수구배재료의 균열이 비정상적으로 전파할 때 균열전파특성에 관하여 연구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함수구배재료의 전단 탄성계수 및 밀도는 지수형적으로 변화하며, 균열은 함수구배방향으로 전파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함수구배재료에서 비정상적으로 전파하는 모드 III 균열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함수구배재료의 전단 탄성계수 및 밀도는 지수형적으로 변화하며, 균열은 함수구배방향으로 전파한다. 이러한 비 정상적으로 전파하는 균열에서 응력확대계수의 순간 변화율, 균열전파 속도의 순간 변화율(가,감속도) 등이 응력 성분 및 변위성분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다.

가설 설정

  • 그러나 m는 균열선단 ( r → 0 )근방에서는 전파하는 천이균열의 천이 상수값 #, #)이 아무리 높더라도 즉 균열이 아무리 비정상적으로 전파하더라도 거의 일정한 값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을 균열선단의 좌표에 독립적이다고 가정하여 해석 하였다. m이 식 (18)로 표현될 때 식 (16)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지금까지 언급한 이러한 해석은 균열이 정상상태로 전파한다고 가정하여 해석한 것이다. 그러나 균열은 전파 개시(Initiating) 또는 정지(Stopping)하는 경우에는 매우 높은 가속 또는 감속이 발생하며 또한 동적응력 확대계수의 변화도 매우 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료 표면에 열벽 또는 도금처리한 접합재료는 구조적인 관점으로 볼 때, 접합 계면에서 갑작스런 물성치 변화로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하고 높은 열응력, 반복응력 등으로 인해 접착부가 취약해지는 현상으로 인하여 어떤 단점을 가지는가? 그러나 재료 표면에 열벽 또는 도금처리는 구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접합 계면에서 갑작스런 물성치 변화로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할 것이며, 또한 높은 열응력, 반복응력 등으로 인하여 접착부는 취약성을 가진다. 그 결과 접합재료는 쉽게 균열 또는 탈쇄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물성치가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함수구배 재료가 개발되었다.
항공우주구조물의 표면 또는 로의 내부 벽면은 고온으로 인해 어떤 처리를 해야 하는가? 함수구배재료는 재료의 물성치가 공간적적으로 변화하는 재료로 주로 열적 강도가 요구되는 재료(1,2)로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군사용재료,(3,4) 바이오 재료(5,6) 등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항공우주구조물의 표면 또는 로의 내부 벽면은 고온으로 말미암아 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세라믹계의 재료로 외벽 또는 내벽 처리를 하여 사용한다. 기어, 베어링, 금형등의 표면도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하중으로 말미암아 대개 높은 내마모성과 파괴인성이 요구되는 초경합금 또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료로 도금처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함수구배재료는 최근 무엇으로 개발되고 있는가? 함수구배재료는 재료의 물성치가 공간적적으로 변화하는 재료로 주로 열적 강도가 요구되는 재료(1,2)로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군사용재료,(3,4) 바이오 재료(5,6) 등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항공우주구조물의 표면 또는 로의 내부 벽면은 고온으로 말미암아 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세라믹계의 재료로 외벽 또는 내벽 처리를 하여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Niino, A. and Maeda, S., 1990, “Recent Developmentstatus of Functionally Gradient Materials,” ISIJ Int.,Vol. 30, pp. 699-703. 

  2. Zhang L. M., Liu, J, Yuan R. Z. and Hirai T., 1995,“Properties of TiC-Ni3Al Composites and StructuralOptimization of TiC-Ni3Al Functionally GradientMaterials,” Mat. Sci. and Eng. A, Vol. 203, pp.272-277. 

  3. Chen, E. S. C., 1999, “Army Focused Research Teamon Functionally Graded Armor Composites,” Mat. Sci.Eng. A, Vol. 259, pp. 155-161. 

  4. Wang, Y. W., Wang, F. C., Yu, X. D. and Ma, Z.,2007, “Research Advancement on Graded Ceramic-Metal Armor Composites,” Binggong Xuebao/ActaArmamentarii, Vol. 28 (2), pp. 209-214. 

  5. Pompea, W., Worch, H., Epple, M., Friess , W.,Gelinsky, M., Greil, P., Hempele, U., Charnweber,D. and Schulte, K., 2003, “Functionally GradedMateria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Mat. Sci.Eng. A, Vol. 362, pp. 40-60. 

  6. Watari, F., Yokoyama, A., Omori, M., Hirai, T.,Kondo, H., Uo, M. and Kawasaki, T., 2004,“Biocompatibility of Materials and Development toFunctionally Graded Implant for Bio-MedicalApplication,” Com. Sci. Tech., Vol. 64, pp. 893-908. 

  7. Delale, F. and Erdogan, F, 1983, “The Crack Problemfor a Nonhomogeneous Plane,” ASME J. Appl. Mech.,Vol. 50, pp. 609-614. 

  8. Eischen, J. W. , 1987, “Fracture of NonhomogeneousMaterials,” Int. J. Fract., Vol. 34(1), pp. 3-22. 

  9. Konda, N., Erdogan, F., 1994, “The Mixed ModeCrack Problem in a Nonhomogeneous Elastic Plane,”Engng. Fract. Mech , Vol. 47, pp. 533-545. 

  10. Jin, Z. H. and Batra, R. C., 1996, “Some BasicFracture Mechanics Concepts in Functionally GradedMaterials,” J. Mech. Phys. Solids, Vol. 44(8) pp.1221-1235. 

  11. Atkinson, C., 1975 , “Some Results on CrackPropagation in Media with Spatially Varying ElasticModuli,” Int. J. Fract., Vol. 11 (4), pp. 619-628. 

  12. Jiang, L. Y. and Wang, X. D., 2002, “On theDynamic Crack Propagation in an Interphase withSpatially Varying Elastic Properties Under InplaneLoading,” Int. J. Fract., Vol. 114, pp. 225-244. 

  13. Ma, L., Wi, L.Z., Guo, L. C., and Zhou, Z. G., 2005“On the Moving Griffith Crack in a Non-Homogeneous Orthotropic Medium,” Euro. J. Mech.A/Solids, Vol. 24, pp. 393-405. 

  14. Lee, K. H., 2009, “Analysis of a Propagating Crackin Functionally Gradient Materials with PropertyVariation Angled to Crack Direction,” ComputationalMaterials Science., Vol. 45, pp. 941-950. 

  15. Tsi, Y. M., 1973, “Propagation of Brittle Crack atConstant and Accelerating Speeds,” Int. J. Solids andStruct , Vol. 9, pp. 625-642. 

  16. Kostrov, B. V., 1975, “ On the Crack Propagationwith Variable Velocity,” Int. J. Fract., Vol. 11, pp.47-56. 

  17. Freund, L. B., 1990, “Dynamic Fracture Mechanics.Cambr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Nishioka, T., 1997, “Computational DynamicFracture Mechanics,” Int. J. Fract., Vol. 86, pp.127-159. 

  19. Lee, K. H., Lee, Y. J. and Cho, S. B., 2009,“Characteristics of a Transiently Propagating Crack in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JMST, Vol. 23, pp.1306-1322. 

  20. Lee, K. H., 2009, “Analysis of a TransientlyPropagating Crack in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Under Mode I and II,” Int. J. Eng. Sci., Vol. 47, pp.852-865.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