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루건축(樓建築)의 지역별 유형특성
The Architectural Type of 'Lu' in Choseon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9 no.4, 2010년, pp.7 - 19  

최미경 (성균관대학교) ,  이상해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u' is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building structur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u' can be classified two types with its use. One is single building type and the other is a part of building type within building complex. This study is about the two-storied 'Lu' that was built on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세 가지 건축형식에 나타나는 누를 비교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평면형식과 지역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조사대상 누를 전국적으로 골고루 선정하려 하였기 때문에 지역의 대표성은 떨어질 수 있다고 본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사찰, 향교, 서원 세 가지 건축형식에 활용된 층루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중정을 이루는 층루의 사례를 43채 선정하여 각 건축형식 사이에 평면형식과 지역성을 중심으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사찰, 향교, 서원의 건축형식에 활용된 누가 건축주체에 따라 용도와 기능이 다름에 초점을 맞추었다. 세 가지 건축형식에 나타난 누의 구성방법이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갖는지 분석, 비교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란 무엇인가? 누(樓)는 우리나라 건축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구조형식 중 하나이다. 한문 표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누는 바닥에서 들어 올려진 구조를 뜻하며1) 기능을 뜻하는 명칭과 결합하여 문루(門樓), 누정(樓亭), 누각(樓閣) 등으로 불리어 진다. 누는 단독건축으로 지어진 누정과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사찰, 향교, 서원 등에서 건축군의 일부로 지어진 누로 분류할 수 있다.
누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한문 표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누는 바닥에서 들어 올려진 구조를 뜻하며1) 기능을 뜻하는 명칭과 결합하여 문루(門樓), 누정(樓亭), 누각(樓閣) 등으로 불리어 진다. 누는 단독건축으로 지어진 누정과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사찰, 향교, 서원 등에서 건축군의 일부로 지어진 누로 분류할 수 있다. 건축군의 일부로 지어진 누는 경사진 지형에 중층구조를 이용하여 건축군의 시각요소를 풍부하게 한다.
삼국시대의 사료에는 누에 대한 기록이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가? 누에 대한 기록은 삼국시대부터 여러 사료에 나타나고 있다. 고구려 고분 벽화를 보면 귀족주택에 이미 중층건물과 누문이 사용되었고 부경(捊京)과 같은 다락집구조의 건물이 나타난다.6) 중국의 문헌에는 백제에서 고상식주거가 널리 보급되어 있었다는 기록이 보인다.7) 이러한 기록으로 볼 때 삼국시대 누는 누각, 누대처럼 단독건물로서 종교의식용 건축이나 궁궐건축으로 활용되었고 다른 한 편으로 주택의 일부로서 다락집 형식과 문루로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장기인,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8 

  2. 이행, 신증동국여지승람3, 솔출판사, 1996 

  3. 이상해, 서원, 열화당, 1998 

  4. 김지민, 한국의 유교건축, 발언, 1997 

  5. 문화재관리국, 한국의 향교건축, 1998 

  6. 김덕문, 김경표, 중층건물 층구조의 유형 변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권, 1996 

  7. 김봉렬, 조선시대 사찰건축의 전각구성과 배치형식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89 

  8. 윤장섭, 한국건축사, 기문당, 1996 

  9. 馬曉, 中國古代木樓閣, 中華書局, 2007 

  10. 이용범외, 동문선의 누정기에서 본 고려 중,후기의 누정건축고, 건축역사연구, 제2권, 1993 

  11. 정기호, 사찰조경연구, 제7권, 동국대 사찰조경연구소, 1999 

  12. 한기문, 고려사원의 구조와 기능, 민족사, 1998 

  13. 김봉렬, 박종진, 고려가람의 구성형식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권, 1989 

  14. 김지민, 향교건축의 조영규범에 관한 연구, 단국대 박사논문, 1992 

  15. 이정수, 조선시대 향교, 서원건축 구성 형식의 비교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87 

  16. 민병하, 고려시대 성균관의 성립과 발전, 대동문화연구, 제6권, 1969 

  17. 성상모외, 조선후기 사찰건축에서 누의 건축형식,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3권, 2004 

  18. 이정국, 고려시대 사찰건축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사논문, 1997 

  19. 성상모, 김경표, 조선후기 사찰건축에서 누의 건축형식,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3권, 2004 

  20. 김정인, 이규보의 기연구, 이화여대석사논문, 1990 

  21. 조영화, 김일진, 향교에서 루의 건축적 구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학회논문집, 11권, 1995 

  22. 김은중, 조선시대 사학건축에 관한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199 

  23. 정기철, 17세기 사림의 묘침제 인식과 서원 영건, 서울대 박사논문, 1997 

  24. 김일진외, 조선시대 재실건축 연구,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4권, 1988 

  25. 정건필, 중층 ㅁ자형 재실건축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