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광부 진폐증 환자에 동반된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Associated with Coal Workers' Pneumoconiosis 원문보기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TRD = 결핵 및 호흡기 질환, v.68 no.2 = no.301, 2010년, pp.67 - 73  

김미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내과학교실) ,  이홍열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내과학교실) ,  남기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내과학교실) ,  임재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내과학교실) ,  정복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내과학교실) ,  류대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영상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n previous study, most patients with bronchial anthracofibrosis (BAF) were non-miners, and non-occupational old aged females. However,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AF in patients with coal workers' pneumoconiosis (CWP) is unknown. Methods: Among patients with CWP who transferred to o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탄광부진폐증 환자에서 이러한 기관지 점막의 탄분 침착으로 인한 기관지 탄분증에 대한 보고는 있어 왔으나 엽기관지나 구역기관지 같은 내경이 큰 기관지 점막에 탄분 침착과 동반되어 기도벽의 비후와 기도 협착을 일으키는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6. 저자 등은 진폐증 환자에서 기도 점막에 탄분 침착을 동반한 다발성 기도협착을 보이는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을 임상에서 자주 경험하여 탄광부진폐증 환자를 대상으로 그 임상적 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이란 무엇인가? 기관지 탄분섬유화증(bronchial anthracofibrosis)은 일반적으로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서 기관지 점막이 탄분에 의한 흑색 및 갈색의 색소 침착과 함께 기도벽의 비후와기도협착이 동반된 경우를 일컫는다. 이러한 소견은 탄광에 근무한 병력이 없는 대부분 비흡연력을 가진 고령의 여자 환자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결핵을 동반하는 경우가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탄광부 진폐증은 흡입된 분진 입자 크기에 따라서 어떤 영향을 받는가? 석탄광에 근무하는 광부에서 발생하는 탄광부 진폐증(coal workers’ pneumoconiosis)은 흡입된 분진 중 주로 직경 0.5∼5 μm의 작은 호흡 입자(respiratory particle) 들이 호흡세기관지(respiratory bronchiole) 및 폐실질에 침착하여 처음에는 작은 검은 반점(macule)을 형성하고 점차 진행하며 주위 폐실질에 결절(nodule)을 일으키고 일부 환자에서는 진행성 종괴성 폐섬유증(progressive massive fibrosis, PMF)을 일으키는 반면, 큰 분진 입자는 주로 관성 충돌(inertial impact)과 침전(sedimentation)을 통해 상부 기관지 상피에 침착되고 직업성 기관지염(industrial bronchitis)의 원인이 될 수 있다3-6.
탄광부 진폐증과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을 일으키는 분진의 입자 크기는 어떻게 다른가? 이러한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기전으로 먼저 탄광부 진폐증과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을 일으키는 분진의 입자의 크기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탄광부 진폐증을 일으키는 원인 분진은 주로 크기가 0.5∼5 m의 직경을 가진 호흡성 분진 입자에 의해 발생하며 이보다 큰 직경의 분진에 의해 직업성 기관지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의 원인 분진은 이보다 더 클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석탄광의 작업장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분진 입자가 유사하게 분포하므로 탄광부 진폐증과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이 다르게 발생할 정도로 선택적으로 분진에 노출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ang SJ, Lee SY, Kim SC, Lee SY, Cho HS, Park KH, et al.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n-tuberculous bronchial anthracofibrosis. Tuberc Respir Dis 2007;63:139-44. 

  2. Lee HS, Maeng JH, Park PG, Jang JG, Park W, Ryu DS, et al. Clinical features of simple bronchial anthracofibrosis which is not associated with tuberculosis. Tuberc Respir Dis 2002;53:510-8. 

  3. Ryder RC, Lyons JP, Campbell H, Gough J. Bronchial mucous gland status in coal workers' pneumoconiosis. Ann N Y Acad Sci 1972;200:370-80. 

  4. Chong S, Lee KS, Chung MJ, Han J, Kwon OJ, Kim TS. Pneumoconiosis: comparison of imaging and pathologic findings. Radiographics 2006;26:59-77. 

  5. Remy-Jardin M, Remy J, Farre I, Marquette CH. Computed tomographic evaluation of silicosis and coal workers' pneumoconiosis. Radiol Clin North Am 1992;30:1155-76. 

  6. Voisin C, Macquet L, Lenoir L, Houcke M, Savinel E, Muchery-Piat G. Bronchial involvement in diverse stages of pneumoconiosis in coal miners. Bronches 1965;15:449-61. 

  7. Mulliez P, Billon-Galland MA, Dansin E, Janson X, Plisson JP. Bronchial anthracosis and pulmonary mica overload. Rev Mal Respir 2003;20(2 Pt 1):267-71. 

  8. Huttner H, Beyer M, Bargon J. Charcoal smoke causes bronchial anthracosis and COPD. Med Klin (Munich) 2007;102:59-63. 

  9. International Labour Offic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radiographs of pneumoconiosis. 1st ed.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01. 

  10. Ryu DS, Jung SM, Lee DH, Kim NH, Jung BH, Chung HR, et al. CT and MR findings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J Korean Radiol Soc 2000;42:481-6. 

  11. Choi BS. Development of coalworkers' pneumoconiosis in Korea: risk factors and incidence density.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6;8:137-52. 

  12. Churg A, Brauer M. Human lung parenchyma retains PM2.5.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155:2109-11. 

  13. No TM, Kim IS, Kim SW, Park DH, Joeng JK, Ju DW, et al. The clinical investigation for determining the etiology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Korean J Med 2003;65:665-74. 

  14. Kim YJ, Jung CY, Shin HW, Lee BK. Biomass smoke induced bronchial anthracofibrosis: presenting features and clinical course. Respir Med 2009;103:757-65. 

  15. Bircan HA, Bircan S, Ozturk O, Ozyurt S, Sahin U, Akkaya A. Mediastinal tuberculous lymphadenitis with anthracosis as a cause of vocal cord paralysis. Tuberk Toraks 2007;55:409-13. 

  16. Kim SW, Kim IS, Park DH, No TM, Joeng JK, Jung SW, et al. The clinical significances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in the patients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Tuberc Respir Dis 2004;56:495-504. 

  17. Cohen RA, Patel A, Green FH. Lung disease caused by exposure to coal mine and silica dust. Semin Respir Crit Care Med 2008;29:651-61. 

  18. Shin PJ, Yong SJ, Shin KC, Lee WY, Kim ST, Cha BS,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PDGF-BB and IGF-1 in coal workers' pneumoconiosis. Tuberc Respir Dis 2002;52:338-45. 

  19. Lee JY, Yoo KH, Ahn HR, Kim SR, Lee HW, Ahn CM, et al. The role of lymphocyte compartment and cytokine in coal workers pneumoconiosis. Tuberc Respir Dis 2002;52:241-50. 

  20. Paterson BF, Patterson R, Grammer LC. Pathogenesis of occupational lung disease. Clin Rev Allergy 1986;4: 303-21. 

  21. Bergin CJ, Muller NL, Vedal S, Chan-Yeung M. CT in silicosis: correlation with plain films and pulmonary function tests. AJR Am J Roentgenol 1986;146:477-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