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암사지(靈巖寺址) 금당의 목조 가구구조(架構構造) 복원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of Wooden Frame Structure of Kumdang in Yongamsaji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9 no.5, 2010년, pp.25 - 47  

윤재신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Buddhist temple, Kumdang in Youngamsaji which assumed to be built in the 9th century of Unified Silla Dynasty. The remaining site of Kumdang in Youngamsaji is investigated thoroughly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bay size a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대불 전은 무엇이 표현된 건축물인가? 불전은 신앙의 모체인 부처를 그 안에 봉안한다. 그런 상징적인 중요성으로 인해 고대불 전은 조영 당시의 건축 기술과 종교 문화가 집약적으로 표현된 건축물이다. 고대에 창건된 사찰의 수를 세어보면 한반도가 얼마나 많이 고대 건축문화를 향유했는지를 쉽게 가늠할 수 있다.
금당지 정면에서 한 단 낮은 뜰의 중앙에 위치하는 삼층석탑의 특징은? 금당지 정면에서 한 단 낮은 뜰의 중앙에 위치하는 삼층석탑은, 8~9세기로 편년되는 부석사 무량수전의 삼층석탑보다는 약간 뒤진 듯하고, 고려초기의 보천사지 삼층석탑보다는 다소 앞서는 과도기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9세기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불전을 복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이유는? 현재 한국에는 12세기 이전에 건립되어 온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건축 유구가 없다.4) 그러므로 9세기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불전을 복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고유섭, 한국건축미술사초고, 대원사, 1999 

  2. 윤장섭, 최신증보판 한국의 건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3. 문화재연구소, 황룡사복원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5 

  4. 동아대학교 박물관, 합천영암사지 I, 1985, 합천영암사지 II, 2005 

  5. 전봉희. 이강민, 3칸X3칸 한국 건축의 유형학적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6. 김동현, 한국목조건축의 기법, 발언, 1995 

  7. 윤재신 옮김. 궈칭화 지음, 중국목조건축의 구조, 동녘, 2006 

  8. 한동수외 옮김.유돈정 지음, 중국고대건축사, 세진사, 1995 

  9. 이종인 옮김. 조나단 컬러 지음, 소쉬르, 시공로고스총서 03, 1998 

  10. 장기인, 한국건축대계 V: 목조, 보성각, 1998 

  11. 김동욱, 한국 목조건축에 내진과 외진은 존재했는가?, 건축역사연구 제11권 3 호, 145-151쪽, 2002 

  12. 이강근, 한국과 중국의 고대 불교건축 비교 연구, 미술사학연구, 제230호, 5-38쪽, 2001 

  13. 김도경/주남철, '영조법식' 대목작제도 번역, 건축사, 1995년 2월 

  14. 윤장섭, 한국의 영조척도, 대한건축학회지 19권 63호, 2-10쪽, 1975 

  15. 김영필외, 고대 건물지의 영조척도에 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 16권 4호, 95-110쪽, 2007 

  16. 김영필외, 통일신라시대 건물지에 적용된 척도에 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 17권 4호, 7-23쪽, 2008 

  17. 김도경, 봉정사 극락전의 평면과 가구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0-172쪽, 2003년 5월 

  18. 이강근, 한국 고대 불전건축의 장엄법식에 관한 연구, 미술사학 제12호, 한국 미술사교육학회, 56-60쪽, 1998 

  19. 이정국외, 고려시대 불전과 불상의 봉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4권7호, 127-134쪽, 1998년 7월 

  20. 류성룡, 봉정사 대웅전 팔작지붕 가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25-131쪽, 2007년 5월 

  21. 류성룡, 주심포 팔작지붕의 전각부 결구 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43-151쪽, 2006년 2월 

  2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봉정사 극락전 수리공사보고서, 1992 

  23. 문화재청, 부석사 무량수전 실측조사보고서, 2002 

  24. 안동시, 봉정사 대웅전 해체수리공사 보고서, 2004 

  25.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불국사 복원공사보고서, 1976 

  26. 문화재청, 관룡사 대웅전 수리보고서,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