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경지 토양미생물상의 생물지리학적으로 특성을 보고자 우리나라 농경지 토양 미생물의 다양성을 지도화 하였다.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조사되어 농업환경변동조사로 구축된 미생물 균수 및 미생물체량 자료를 DB화하여 세균, 사상균, 바실러스, 그람음성균 및 미생물체량을 분포도 작성에 이용하였다. 세균, 사상균, 바실러스 및 그람음성균의 분포상은 농경지별로 상이한 경향을 보였다. 토양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생체중인 미생물체량은 바실러스와 사상균 수처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geography is the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biodiversity over space and time.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a prototype database that maps of microbial diversity in the context of the geochemical and geological environment and geographic location. It aims to reveal where organisms live, and at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경지 토양미생물상의 생물지리학적으로 특성을 보고자 우리나라 농경지 토양 미생물의 다양성을 지도화 하였다.
  • 따라서 미생물의 물질순환 기능, 기후 변화 등에 의한 생태계 교란 및 미지 생물종의 출현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미생물 모니터링과 관련하여 minimum data set을 정하여 지속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농업환경변동조사 사업으로 수행되었던 논, 시설재배지, 밭, 과수원에 대한 농경지 토양미생물 조사 자료를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미생물 종류별 군집밀도와 미생물체량의 공간적・시간적 분포특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이를 위해서는 변이가 적고 범용성이 큰 지표의 개발 및 정밀한 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보고서는 약 10 년에 걸쳐 조사된 미생물 분석성적을 분포도로 작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기반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농업환경의 중심이 되는 토양 모니터링은 많은 노력과 예산이 소요되는 사업이지만 지구생태계 보존을 위해서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가간에도 공유가 가능한 다양한 속성에 대한 표준화된 조사 시스템이 조화를 이루며 (Morva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학의 중심목표는 무엇인가? 생태학의 중심목표는 생물다양성이 어떻게 생성되고 유지되는 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종 다양성의 공간적 양상은 생물다양성을 조절하는 메카니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conservation priority를 설정하는 것은 중요 하다.
농업환경변동조사 자료를 DB화 하여 조사항 결과 토양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수는 어떠한 경향을 보였는가? 세균, 사상균, 바실러스 및 그람음성균의 분포상은 농경지별로 상이한 경향을 보였다. 토양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생체중인 미생물체량은 바실러스와 사상균 수처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미생물 조사지점은 어떻게 구축하였는가? 좌표계는 횡메르카토르법 (Transverse Mercator, Bessel 중부원점)을 사용하였다. 토양미생물 조사지점은 22개의 칼럼을 가진 점 (point) 형식의 GIS 자료로 구축하였다. 토양미생물의 종류와 밀도, 생체량에 대한 자료는 토양 미생물 코드 (FM_CD)를 키 값 (primary key)으로 하여 각 조사지점에 대응하도록 테이블 형식의 자료로 구축하였다 (Table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tjes, N.H. 2008. Mapping soil carbon stocks of central Africa using SOTER. Geodema. 146:58-65. 

  2. Bastida, F., A. Zsolnay, T. Hernandez, and C. Garcia. 2008. Past, present and future of soil quality indices: A biological perspective. Geoderma. 147:159-171. 

  3. Battilani, P., C. Barbano, S. Marin, V. Sanchis, Z. Kozakiewicz, and N. Magan. 2006. Mapping of Aspergillus section Nigri in southern Europe and Israel based on geostatistical analysis. Int. J. food microbiol. 111:S72-S82. 

  4. Cheng, J.L., Z. Shi, and Y.W. Zhu. 2007. Assessment and mapping of environmental quality in agricultural soils of Zhejiang province, Chin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19:50-54. 

  5. Green, J. and B.J.M. Bohannan. 2006. Spatial scaling of microbial biodiversity. Trends Ecol. Evol. 21:501-507. 

  6. Haller, L., J. Pote, J.L. Loizeau, and W. Wildi. 2008. Distribution and survival of faecal indicator bacteria in the sediments of the bay of Vidy, lake Geneva, Switzerland. Ecological indicators. doi:10.1016/j.ecolind. 2008.08.001. 

  7. Hartley, W., L. Uffindell, A. Plumb, H.A. Rawlinson, P. Putwain, and N.M. Dickinson. 2008. Assessing biological indicators for remediated anthropogenic urban soils. Sci. Total Environ. 405:358-369. 

  8. Martiny, J.B.H., B.J.M. Bohannan, J.H. Brown, R.K. Colwell, J.A. Fuhrman, J.L. Green, M.C. Horner-Devine, M. Kane, J.A. Krumins, C.R. Kuske, P.J. Morin, S. Naeem, L. Ovreas, A. Reysenbach. V.H. Smith, and J.T. Staley. 2006. Microbial biogeography: putting microorganisms on the map. Nature reviews. 4:102-112. 

  9. Mele, P.M. and D.E. Crowley. 2008. Application of selforganizing maps for assessing soil biological quality. Agric. Ecosyst. Environ. 126:139-152. 

  10. Morvan, X., N.P.A. Saby, D. Arrouays, C.L. Bas, R.J.A. Jones, F.G.A. Verheijen, P.H. Bellamy, M. Stehens, and M.G. Kibblewhite. 2008. Soil monitoring in Europe: A review of existing systems and requirements for harmonisation. Sci. Total Environ. 391:1-12. 

  11. Panagos, P., M.V. Liedekerke, L. Montanarella, and R.J.A. Jones. 2008. Soil organic carbon content indicators and web mapping applications. Environ. Modell. Softw. 23: 1207-1209. 

  12. Stoner, L.D., M.C. Geary, L.J, White, R.D. Lee, J.A. Brizzee, A.C. Rodman, and R.C. Rope. 2001. Mapping microbial biodiversity. Appl. Environ. Microbiol. 67:4324-4328. 

  13. Torsvik, V., L. Ovreas, and T.F. Thingstad. 2002. Prokaryotic diversity-magnitude, dynamics, and controlling factors. Science. 296:1064-10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