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CS-CN 산정을 위한 수치세부정밀토양도 활용과 괴산군 소수면 소유역의 물 유출량 평가
Estimation of SCS Runoff Curve Number and Hydrograph by Using Highly Detailed Soil Map(1:5,000) in a Small Watershed, Sosu-myeon, Goesan-gun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3, 2010년, pp.363 - 373  

홍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정강호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 ,  최철웅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장민원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 ,  김이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손연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하상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문 수자원 분야에서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HSG 1995와 HSG 2006 두가지 분류법에 의한 우리나라 수문학적 토양유형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각각 충북 괴산군 소수면의 소유역의 수치세부정밀토양도 (1:5,000)에 적용하여 SCS-CN법을 이용한 유효 우량 산정과 유출곡선을 작성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악지에서 주로 침투능이 크고 하성 또는 해안평탄지로 가면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HSG 1995 토양 유형 중 A군은 전체의 42.2%로 가장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B군 29.4%, C군 18.5%, D군 9.9% 순으로 나타났다. HSG 2006 토양유형은 A군 35.1%, B군 15.7%, C군 5.5%, D군 43.7%로 D군이 가장 넓게 분포하는 특징을 가진다. HSG 1995에서 A, B, C군으로 분류되었다가 HSG 2006에서 D군으로 분류된 토양 유형의 비율이 약 34.1%로 나타나 국립농업과학원에 의해 분류된 토양유형 중 D군의 면적이 크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충북 괴산군 소수면 소유역의 수치세부정밀토양도에 기반한 수문학적 토양유형 분포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산림과 밭으로 이용되는 토양의 유형이 A로 분류되는 것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HSG 2006의 토양유형은 유역에서 C 유형이 거의 없거나 적게 분포하고 HSG 1995에 비해 D 유형이 많게 나타난다. 미계측 유역에 대한 직접유출량 산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SCS-CN법을 이용하여, 충북 괴산군 소수면 소유역에서 직접유출에 기여하는 유효우량을 산정하고 SCS 삼각단위도를 사용하여 첨두유량과 첨두시간을 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SG 1995와 HSG 2006 수문학적 토양유형과 토지 이용별 CN값을 적용하여 유역의 CN값 (AMC II)을 구한 결과는 각각 54와 62로 나타났다. 이 때, 우량계가 설치된 지점의 강우자료를 평균하여 2004년~2005년 강우사상별로 정리하여 초기손실량 (I)이 총강우량 (P)보다 큰 경우를 제외한 강우사상을 선택하였고, 8월 16일에서 강우사상 전까지 내린 강수에 따라 선행수분조건 III으로 조정하여 유효우량 산출을 위한 CN값을 각각 73과 79로 하여 사용하였다. 강우사상에 대한 HSG 2006 기준의 유효우량이 56.67 mm로 HSG 1995 기준의 44.87 mm 보다 약 25% 많게 나타났다. 두 가지 수문학적 토양 유형 분류 기준에 따라 계산된 각 유효 우량에 대하여 수문곡선을 합성하여 실제 관측치와 비교한 결과 두 개 기준 모두 관측치와 유사한 변화 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실측치보다 감수부에서 급격하게 감소되는 특징을 나타냈다. 첨두유량은 HSG 1995 보다는 HSG 2006 기준을 사용할 때 관측치와 더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ve number" (CN) indicates the runoff potential of an area. The US Soil Conservation Service (SCS)'s CN method is a simple, widely used, and efficient method for estimating the runoff from a rainfall event in a particular area, especially in ungauged basins. The use of soil maps requested from 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수문 · 수자원 분야 활용을 위한 수치토양도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두가지 방법에 의해 분류된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괴산군 소수면에 적용한 수치세부정밀토양도 (1:5,000) 기반으로 하여 SCS- CN법을 이용한 유효 우량 산정과 출곡선을 작성하고 물유출량을 평가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가정을 총강수량 (또는 최대 지표유출 가능량)에 대한 실제 직접 유출량 (Q)의 비가 최대 보수 저장 가능량 (S)에 대한 실 침투량 (F)의 비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가정은 초기감소 (Ia)이 가능 최대 보수 저장량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SCS-CN은 다음 물수지식과 비례 균형 가정식을 포함한다.
  • SCS-CN법은 물수지 식과 두 가지 기초적 가정에 근거한다. 첫째 가정을 총강수량 (또는 최대 지표유출 가능량)에 대한 실제 직접 유출량 (Q)의 비가 최대 보수 저장 가능량 (S)에 대한 실 침투량 (F)의 비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가정은 초기감소 (Ia)이 가능 최대 보수 저장량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CS-CN법은 1956년 공가공학핸드북에 소개된 후 몇년도에 수정되었는가? SCS-CN법은 강우-유출을 결정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미국 농무성 SCS (Soil Conservation Service1), 토양보전국)에서 1954년 개발되어 1956년 국가공학핸드북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4절 수문학 분야에 소개된 후, 1964, 1965, 1971, 1972, 1985, 1993년에 수정되었다. SCS-CN법은 ’30년대 후반과 ’40년대 초반에 이루어진 광범위한 포장시험과 Mockus (1949), Sherman (1949), Andrew (1954), Ogrosky (1956) 등의 연구로 이루어졌다.
SCS-CN법은 물수지 식과 어떤 두 가지 기초적 가정에 근거하는가? SCS-CN법은 물수지 식과 두 가지 기초적 가정에 근거한다. 첫째 가정을 총강수량(또는 최대 지표유출 가능량)에 대한 실제 직접 유출량(Q)의 비가 최대 보수 저장 가능량 (S)에 대한 실 침투량 (F)의 비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가정은 초기감소 (Ia)이 가능 최대 보수 저장량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SCS-CN은 다음 물수지식과 비례 균형 가정식을 포함한다.
SCS-CN법에서 CN은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CN은 그 지점의 토양과 식생의 상태와 관련된 물유출 퍼텐셜 (runoff potential)을 나타내는 지표로 정의된다 (Ward and Elliot,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drews, R.G. 1954. the use of relative infiltration indices for computing runoff (unpublished), Soil conservation Service, Fort Worth, Texas, p. 6. 

  2. Agri-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NAAS, RDA, http://agis.rda.go.kr. 

  3. Bosznay, M. 1989. Generalization of SCS curve number method, J.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A.S.C.E., 115:139-144. 

  4. Hong, S.Y., Y.S. Zhang, B.K. Hyun, Y.K. Sonn, Y.H. Kim, S.J . Jung, C.W. Park, K.C. Song, B.C. Jang, E.Y. Choe. Y.J. Lee, S.K. Ha, M.S. Kim, J.S. Lee, G.B. Jung, B.G. Ko, and G.Y. Kim. 2009. An Introduction of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Korean J.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2:21-28. 

  5. Jung, K.H., S.J. Jung, Y.K. Sonn, and S.Y. Hong. 2006. Classification of hydrologic soil group for applying curve number estimation, NIAST Research Report (2006), RDA 

  6. Jung, J.H., S.P. Chang, H.I. Kim, Y.T Chung, K.S. Huh, H. Park. 1995. Classification of hydrologic soil group for runoff estimation. Korean J. of Agricultural Engineering, 37:12-33. 

  7. McCuen, R.H. 1982. A guide to hydrologic data for small watersheds, Tech. Paper 30, Soil Conservation Service, U.S.D.A., Washington D.C. p. 30. 

  8. Miller, N. and R.C. Cronshey. 1989. Runoff curve numbers, the next step, Proc. Int. Conf. Channel Flow and Catchment Runoff, U. of Virginia, Charlottesville, Va. 

  9. Mishira, S.K. and V.P. Singh. 2003. Soil conservation service curve number(SCS-CN) methodolog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y. 

  10. Mockus, V. 1949. Estimation of total (peak rates of) surface runoff for individual storms, 'Exhibit A of Appendix B, Interim survey Report Grand (Neosho) River Watershed, U.S.D.A., Dec. 1. 

  11. Orgosky, H.O. 1956. Service objectives in the field of hydrology, unpublished, Soil Conservation Service, Lincoln, Nebraska, p. 5. 

  12. Rallison, R.E. and R.C. Cronshey. 1979. Discussion to runoff curve numbers with with varying soil moisture, J. Irrig. and Drain. Div., A.S.C.E., 105:439-441. 

  13. Ramasastri, K.S. and S.M. Seth. 1985. Rainfall-runoff relationships, Rep. RN-20, National Institute of Hydrology, Roorkee-247 667, Uttar Pradesh, India. 

  14. Sherman, L.K. 1949. The unit hydrograph method, In: O.E. Meinzer (ed.) Physics of the Earth, Dover Publications, Inc., New York, N.Y., pp. 514-525. 

  15. Soil information system of Korea, NAAS, RDA, http://asis.rda.go.kr. 

  16. Ward, A.D. and W.J. Elliot. 1995. Environmental Hydrology. CRC Pres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