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과정평가 도입을 통한 농업환경영향 평가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gricultural Systems Using the Life Cycle Assessment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2, 2010년, pp.237 - 241  

심교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정지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소규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임송택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  노기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건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정현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덕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를 감축하는 여러 정책들이 모든 산업을 망라하여 추진되고 있다. 식량안보라는 특수성은 있지만, 농업도 예외는 아니다. 이런 취지에서 최근에 농산물의 전체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탄소배출량이 적은 농산물 생산방식을 도입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LCA 도구를 농업분야의 환경평가에 적용한 해외 연구 사례들을 살펴보면, 스위스는 Ecoinvent가 주축이 되어 농작물, 농업기반시설, 농자재, 농기계 등 농축산 전반에 대한 LCI D/B를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고, 우리와 농업시스템이 유사한 일본은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농업을 위한 Top-down 방식의 LCA 수행 방법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농작물 생산 방식에 따라 평가하고 농업분야에 대한 영향평가 방법론과 가중치를 개발하였다. 반면에 국내의 LCA를 통한 농업환경영향평가는 출발 단계에 있다. 따라서 농업환경에 있어 주요 인자인 비료 및 농약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이를 위한 국내 비료와 농약의 흐름 모델링, 방법론 개발이 요구되며, 국내 농업 시스템을 반영한 기타 농자재, 농기계 및 농업기반시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역시 수행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o mitigate the greenhouse gases in atmosphere overall of sectors. With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food security, agricultural sector is no exception to this situation. To this regard, total amount of carbon which is emitted through all of the...

주제어

참고문헌 (23)

  1. Andersson, K., T, Ohlsson, and P. Olsson. 1994. Life cycle assessment (LCA) of food products and production systems. Trends Food Sci. Tech. 5:134-138. 

  2. Brentrup, F., J. Kusters, H. Kuhlmann, and J. Lammel. 2004.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s using the life cycle assessment methodology I. Theoretical concept of a LCA method tailored to crop production. Eur. J. Agron. 20:247-264. 

  3. Cederberg, C., and B. Mattsson. 2000. Life cycle assessment of milk production - a comparison of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ing. J. Clean. Prod. 8:49-60. 

  4. Delgaard, R., N. Halberg, I. S. Kristensen, and I. Larsen. 2003. An LC Inventory based on representative and coherent farm types Proceeding from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Bygholm, Denmark, 98-106. 

  5. Ecoinvent Center. 2004. Life Cycle Inventories of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s. Ecoinvent report 15. 

  6. Erwin, M.S., and M.F. Annik. 2008. LCA studies of food products as background for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s. Int. J. LCA, 13:255-264. 

  7. Freiermuth, R. 2006. Modell zur Berechnung der Schwermetallflusse in der Landwirtschaftlichen Okobilanz. Report Agroscope FAL Rechenholz, 42p. Online at http://www.art.admin.ch/themen/00617/00622/index.html?langde. 

  8. Frischknecht, R., and R. Rebitzer. 2005. The ecoinvent database system : a comprehensive web-based LCA database. J. Clean. Prod. 13;1337-1343. 

  9.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98. Environmental management - life cycle assessment - goal and scope definition and life cycle inventory analysis. International Standard ISO 14041, ISO, Geneva. 

  10.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6a. ISO 14040 : 2006(E) Environmental Management - Life Cycle Assessment - Principles and Framework. 

  11.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6b. Environmental labelling and declarations. Type III environmental declarations, Principles and procedures (ISO 14025). International Standard ISO, Geneva, 25. 

  12. Jensen, A.A., L. Hoffman, B.T. Moller, A. Schmidt, K. Christiansen, J. Eikington, and F. van Dijk, 1997. Life Cycle Assessment (LCA) - A guide to approache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sources. European Environmental Agency. 

  13. Kramer, K.J., H.C. Moll, S. Nonhebel, and H.C. Wilting. 1999.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Dutch food consumption. Energ. Policy. 27: 203-216. 

  14. Nonhebel, S. 2004. On resource use in food production systems : the value of livestock as 'rest-stream upgrading system', Ecol. Econ. 48:221-230. 

  15. Park, J.A., J.H. Huh, S.Y. Shin, S.T. Lim, G.Z. Lee, K.M. Shim, and K.A. Rho. 2009. Study on life cycle GHG emission estimation of major food crops. The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for life Cycle Assessment, 251-257. 

  16. Roy, P., D. Nei, T. Orikasa, Q. Xu, H. Okadome, N. Nakamura, and T. Shiina. 2009. A review of life cycle assessment (LCA) on some food products. J. Food Eng. 90:1-10. 

  17. Tukker, A., G. Heppes, J. Guinee, R. Heijungs, Ad. Koning, Lv. Oers, S. Suh, T. Geerken, M. V. Holderbeke, B. Jansen, and P. Nielsen. 2005. Environmental impacts of products (EIPRO) Analysis of the life cycle environmental impacts related to the total final consumption of the EU25, IPTS/ESTO (European Science and Technology Observatory/Institute for Prospective Technology Studies). 

  18. 農業環境技術硏究所. 2003. 環境影響評價のためのLCA 技法の開發, 農業環境技術硏究所, 日本. 

  19. 大村道明. 2005. 家畜糞尿の堆肥化利用に對する綜合的 LCA評價に關する硏究, 東北大學院農學硏究科, 日本. 

  20. 김병률. 2009. 신 농업 비전과 전략, 연구보고서 22,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21. 환경부. 2004.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및 인증기준. 환경부고시 제2004-26호. 

  22. 환경부. 2009a. 탄소성적표지 인증제품 현황. 

  23. 환경부. 2009b. 탄소성적표지 작성지침. 환경부고시 제2009-86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