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ot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is a commonly used herbal medicine in China, Korea, Japan. However, the compositions and effects of Korean ginseng berry are not clear to dat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aging effects in the skin, Korean ginseng berry was extracted with 7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삼 열매 추출물이 피부노화 억제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피부 구성 단백질을 분해하는 타입1 콜라게나아제 (MMP-1)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고, 피부 노화 방지에 중요한 hyaluronic acid의 생성능을 평가하였다.
  • 인삼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피부 구성 단백질을 분해하는 타입1 콜라게나아제 (MMP-1)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고, 피부 노화 방지에 중요한 hyaluronic acid의 생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인삼 근 추출물과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성분 분포를 비교하여 인삼 열매의 피부노화 억제 주성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삼 근과 성분의 종류와 함량이 다른 인삼 열매의 피부노화 억제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인삼 열매 추출물의 피부 노화를 유발할 수 있는 원인 인자들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여 광노화를 유발하는 자외선 조사에 따른 활성 산소종의 증가와 타입 1 콜라게나아제의 과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인삼열매 추출물의 ginsenoside 성분 및 함량 분석 − 인삼 열매 추출물의 효능 차이에 따라서 성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인삼의 대표적 생리활성 성분인 ginsenoside는 인삼의 지상 및 지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인삼 근(뿌리), 인삼 엽 및 인삼 열매 등 부위에 따라 ginsenoside 함량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특히 인삼 열매는 ginsenoside의 함량이 인삼 근과 다르다. 이런 성분 차이는 항당뇨 효능에서 인삼 근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은 무엇인가? A. meyer) 은 오가피과 인삼 속에 속하는 식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2,000여 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이다.
최근에 사포닌과 같은 약효 성분을 가진 인삼에 대해서 밝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인삼의 대표적 약효 성분인 사포닌(혹은 ginsenoside)는 항암, 1) 면역증강, 2) 혈압강화, 3) 혈당강화, 4) 항염증5) 및 항산화6) 효과 등 매우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삼 다당류의 항암, 저혈당 효과, 7) 단백질의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8) oligopeptide의 antilipolytic activity,9) 페놀성 성분의 항산화 활성10-12) 등이 밝혀지고 있다.
인삼의 대표적 약효 성분인 사포닌은 무슨 효능을 가지고 있는가? 인삼의 대표적 약효 성분인 사포닌(혹은 ginsenoside)는 항암, 1) 면역증강, 2) 혈압강화, 3) 혈당강화, 4) 항염증5) 및 항산화6) 효과 등 매우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삼 다당류의 항암, 저혈당 효과, 7) 단백질의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8) oligopeptide의 antilipolytic activity,9) 페놀성 성분의 항산화 활성10-12) 등이 밝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eon, H. K., Kim, S. G. and Jung, N. P. (1991) Effects of ginseng saponin fraction and cyclophosphamide on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ouse macrophage and the antitumor effect. Korean J. Ginseng Sci. 15: 99-105. 

  2. Kim, M. J. and Jung, N. P. (1987)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mouse immune system. Korean J. Ginseng Sci. 11: 130-135. 

  3. Kang, S. Y. and Kim, N. D. (1992)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red ginseng saponin and the endothelium-derived vascular relaxation. Korean J. Ginseng Sci. 16: 175-182. 

  4. Joo, C. N. and Kim, J. H. Study on the hypoglycemic action of ginseng saponin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I). Korean J. Ginseng Sci. 16: 190-197. 

  5. Oliveira, A. C. C., Perez, A. C., Merino, G., Prietp, J. G. and Alvarez A.I. (2001) Protective effects of Panax Ginseng on muscle injury and inflammation after eccentric exercise.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C 130: 369-377. 

  6. Kim, J. S., Kim, K. W., Choi, K. J., Kwak, Y. K., Im, K. S., Lee, K. M. and Chung, H. Y. (1996) Screening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red ginseng saponin. Korean J. Ginseng Sci. 20: 173-178. 

  7. Kim, K. H., Lee, Y. S., Jung, I. S., Park, S. Y., Chung, H. Y., Lee, I. R. and Yun, Y. S. (1998) Acidic polysaccharide from Panax ginseng, ginsan, induces Th1 cell and macrophage cytokines and generates LAK cells in synergy with r II-2. Planta Med. 64: 110-115. 

  8. Ng, T. B. and Wang, H. (2001) Panaxagin, a new protein from Chinese ginseng possesses antifungal, anti-viral, translation-inhibiting and ribonuclease activities. Life Science 68: 739-749. 

  9. Kim, K. H., Na, J. Y., Jo, D. H. and Lee, C. Y. (1987)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ginseng oligopeptides with antilipolytic activities. Korean Agric. Chem. Soc. 30: 88-94. 

  10. Lee, J. W., Sohn, H. O. and Do, J. H. (2000) Function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2.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 and $Fe^{2+}$ ADP/NAD system. J. Ginseng Res. 24: 35-40. 

  11. Wee, J. J., Park, J. D., Kim, M. W. and Lee, H. J. (1989) Identification of phenolic antioxidant component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J. Korean Agric. Chem. Sco. 32: 50-56. 

  12. Shin, J. G., Park, J. W., Pyo, J. K., Chung, M. H. (1990) Protective effects of a ginseng component, maltol(2-methyl-3-hydroxyl-4-pyrone) against tissue damages induced by oxygen radicals. Korean J. Ginseng Sci. 14: 187-190. 

  13. Wang, C. Z., Wu, J. A., Mcentee, E. and Yuan, C. S. (2006) Saponins composition in American ginseng leaf and berry assay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54: 2261-2266. 

  14. Attele, A. S., Zhou, Y. P., Xie, J. T., Wu, J. A., Zhang, L., Dey, L., Pugh, W., Rue, P. A., Polonsky, K. S. and Yuan, C. S. (2002) Antidiabetic effects of Panax ginseng berry extract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ffective component. Diabetes 51: 1851-1858. 

  15. Emerit, I. (1992) Free radicals and aging of the skin. EXE. 62: 328-341. 

  16. Brenneisen, P., Sies, H. and Scharffetter-Kochanek, K. (2002) Ultraviolet-B irradi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 from induction via signaling to initial events. Ann N Y Acad Sci. 973: 31-43. 

  17. Puizina-Ivic, N. (2008) Skin aging. Acta Dermatovenerol Alp Panonica Adriat. 17(2): 47-54. 

  18. Lee, E. H., Cho, S. Y., Kim, S. J., Shin, E. S., Chang, H. K., Kim, D. H., Yeom, M. H., Woo, K.S., Lee, J.S., Sim, Y.C. and Lee, T.R. (2003) Ginsenoside F1 protects human HaCat keratinocytes from ultraviolet-B-induced apoptosis by maintaining constant levels of Bcl-2. J. Invest. Dermatol. 121(3): 607-613. 

  19. Kim, S. J., Kang, B. Y., Cho, S. Y., Sung, D. S., Chang, H. K., Yeom, M. H., Kim, D. H., Sim, Y. C. and Lee, Y. S. (2004) Compound K induces expression of hyaluronan synthase 2 gene in transformed human keratinocytes and increases hyaluronan in hairless mouse skin. Biochem. Biophys. Res. Commun. 316: 348-355. 

  20. Fleischmajer, R., Perlish, J. S. and Bashey, R. I. (1972) Human dermal glycosaminoglycans and aging. Biochem. Biophys. Acta 279: 265-275. 

  21. Longas, M. O., Russell, C. S. and He, X. Y. (1987) Evidence for structural changes in dermatan sulfate and hyaluronic acid with aging. Carbohydr. Res. 159: 127-136. 

  22. Ghersetich, I., Lotti, T., Campanile, G., Grappone, C. and Dini, G. (1994) Hyaluronic acid in cutaneous intrinsic aging. Int. J. Dermatol. 33: 119-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