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체 병원성 진균에 대한 Bacillus sp. BCNU 2003의 항진균 효과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p. BCNU 2003 against the Human Pathogenic Fungi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2 = no.118, 2010년, pp.269 - 274  

최혜정 (창원대학교 생물공학협동과정) ,  양욱희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  김야엘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  최연희 (조아제약) ,  안철수 (조아제약) ,  정영기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동완 (창원대학교 미생물학과) ,  주우홍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생제 및 항진균제 개발에 있어 미생물 유래 천연 생리활성물질 분리를 통한 선도물질을 확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신규 물질을 확보하기 위해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생물질의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태백산 일대의 토양에서, 인체에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하는 효모와 곰팡이에 대하여 강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BCNU 2003 균주를 분리하여 항진균 활성 물질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BCNU 2003은 계통적으로는 B. amyloliquefaciens와 B. vallismortis의 subcluster에 속하는 균주로 동정되어 Bacillus sp. BCNU 2003으로 명명하였다. 항균물질 분리를 위해 ethyl acetate (EA) 추출물과 펩타이드 추출물로 나누어 그람양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진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EA 추출물이 6종의 인체병원성 진균에 대해 모든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기회성 감염을 유발하는 A. niger, C. albicans 그리고 Sa. cerevisiae에 대해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균배양액에서 낮은 저해율을 보였던 Ep. floccosum에 대해서도 EA 추출물은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다양한 인체 병원성 진균에 대해 넓은 항균스펙트럼을 가지는 Bacillus sp. BCNU 2003 균주의 활성물질 분리를 통해 특정 항균 및 항진균 물질의 대량생산 조건 등의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한다면, 인체 감염증을 포함한 광범위한 피부치료제의 응용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ntifungal antibiotic-producing strain, BCNU 2003, was isolated from forest soil in Korea.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s, and 16S rRNA sequences analysis of strain BCNU 2003 identified this strain as Bacillus genus. The Bacillus sp. BCNU 2003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i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p. BCNU 2003 균주를 대상으로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및 인체 병원성 진균에 대한 1차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주요 항진균 물질 분리를 위한 과정으로 ethyl acetate (EA) 추출물과 펩타이드 추출물로 나누어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으며, 특히 인체 병원성 진균에 대한 활성을 중점적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균류는 언제 진균증을 일으키는가? 제약 및 의약분야에서 미생물유래 천연생리활성 물질의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분야는 인체에 여러가지 감염을 일으키는 감염증 치료를 포함하는 항생물질에 관한 연구이다[12]. 특히 진균류는 인체의 면역 기능이 약화되었거나, 항생물질, 호르몬류 또는 항암제 등의 과용으로 인하여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이 생겼을 때 여러 가지 진균증을 일으키는데[1,2], Candida sp.에 의한 칸디다증(candidiasis), Aspergillus sp.
의약용 항생제중에서 Polyene 계열은 무엇인가? 현재 임상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많은 의약용 항생제들이미생물 유래 천연생리활성물질에서 그 선도물질이 분리되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유효성분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 학계에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24]. Polyene 계열은 다양한 Streptomyces 종에서 발견된 천연 항진균제로서 ergosterol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곰팡이 세포막을 약화시키는 광범위 항진균제이며, cispentacin은 Bacillus cereus에서 분리한 화합물이다[11]. 그밖에도 amphotericin B, flucytosine 및 griseofulvin 등이 천연항진균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진균증의 대표적인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제약 및 의약분야에서 미생물유래 천연생리활성 물질의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분야는 인체에 여러가지 감염을 일으키는 감염증 치료를 포함하는 항생물질에 관한 연구이다[12]. 특히 진균류는 인체의 면역 기능이 약화되었거나, 항생물질, 호르몬류 또는 항암제 등의 과용으로 인하여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이 생겼을 때 여러 가지 진균증을 일으키는데[1,2], Candida sp.에 의한 칸디다증(candidiasis), Aspergillus sp.에 의한 국균증(aspegillosis), Crytococcus neoformans에 의한 효모균증, Mucor sp.와 Rhizopus sp. 등에 의한 접합균류증 (zygomycosis), Epidermophyton floccosum과 Trichophyton sp.에 의한 피부사상균증(dermatophytosis) 등이 대표적인 진균증이다[4,11,13,2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utler, M. S. 2004. The role of natural product chemistry on drug discovery. J. Nat. Prod. 67, 2131-2153. 

  2. Butler, M. S. 2005. Natural products to drugs: natural product derived compounds on clinical trials. Nat. Prod. Rep. 22, 162-195. 

  3. Butler, M. S. and A. D. Buss. 2006. Natural products-the future scaffolds for novel abtibiotics? Biochem. Pharmacol. 71, 919-929. 

  4. Chomnawang, W. T., S. Surassmo, V. S. Nukoolkarn, and W. Gritasnapan. 2005. Antimicrobial effects of Thai medicinal plants against acne-inducing bacteria. J. Ethnopharmacol. 101, 330-333. 

  5. Favre, B., B. Hofbauer, K. S. Hildering, and N. S. Ryder. 2003. Comparison of in vitro activities of 17 antifungal drugs against a panel of 20 dermatophytes by using a microdilution assay. J. Clin. Microbiol. 41, 4817-4819. 

  6. Fukuda, T., A. Matsumoto, Y. Takahashi, H. Tomoda, and S. Omura 2005. Phenatic acids A and B, new potentiators of antifungal miconazole activity produced by Streptomyces sp. K03-0132. J. Antibiot. 58, 252-259. 

  7. Joo, W. H., S. J. Han, Y. L. Choi, and Y. K. Jeong. 2004. Antifungal compound produced by Bacillus sp. TMB 912. J. Life Sci. 14, 193-197. 

  8. Kane, J. and R. C. Summerbel. 1999. Trychophyton, Microsporm, Epidermophyton, and agents of superficial mycosis, In Murray, P. R. E. J. Baron, M. A. Pfaller, F. C. Tenover, and R. H. Yolken, (eds.), pp. 1275-1294,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7th eds., Washington D.C. ASM Press, USA. 

  9. Kim, P. I. and K. C. Chung. 2004. Production of an antifungal protein for control of Colletotrichum lagenarium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MET 0908. FEMS Microbiol. Lett. 234, 177-183. 

  10. Koehn, F. E. and G. T. Carter. 2005. The evolving role of natural products in drug discovery. Nat. Rev. Drug Discov. 4, 206-220. 

  11. Konishi, M., M. Nishio, K, Saitoh, T. Miyaki, T. Oki, and H. Kawaguchi. 1989. Cispentacin, a new antifungal antibiotic. I. Production, isola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tructure. J. Antibiotics 42, 1749-1755. 

  12. Kumar, A., P. Saini, and J. N. Shrivastava. 2009. Production of peptide antifungal antibiotic and biocontrol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Indian J. Exp. Biol. 47, 57-62. 

  13. Larone, D. H. 1995. Medically important fungi. 3rd eds., pp. 9, AMP Press, Washington, D.C. USA. 

  14. Lee, D. H., S. R, Park, T. C. Kwon, and H. K. Jung. 1991. A water-soluble antifungal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LAM-593. J. Kor. Agric. Chem. Soc. 34, 180-186. 

  15. Lee, H. J., K. H. Park, J. H. Shim, R. D. Park, Y. W. Kim, H. Hwangbo, J. Y. Cho, Y. C. Kim, and K. Y. Kim. 200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ow milecuar weight compound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HJ927 and their biocontrol effect on the late blight of pepper (Capsicum annuum L.). J. Soil Sci. Fert. 38, 25-31. 

  16. Lee, N. W., C. S. Kim, J. H. Do, I. C. Jung, H. W. Lee, and D. H. Yi.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sp. LAM 97-44 producing antifungal antibiotics. Agric. Chem. Biotech. 41, 208-212. 

  17. Lee, S. G. 2003. Anti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on Trichophyton and Pityrosporum. J. Food Hyg. Safety 18, 113-117. 

  18.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2004. Metho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of anaerobic acteria: Approved Standard. 6th eds., Vol. 24, NCCLS Document M11-A6. Pennsylvania, USA. 

  19.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2002. Reference methods for broth dilution antifungal susceptibility testing of yeasts: Approved Standard. 2nd eds., Vol. 22, NCCLS Document M27-A2. Pennsylvania. USA. 

  20. Ruhnke, M., A. Schmidt-Westhausen, E. Engelmann, and M. Trautmann. 1996. Comparative evaluation of three antifungal susceptibility test methods for Candida albicans isolates and correlation with response to fluconazole therapy. J. Clin. Microbiol. 34, 3208-3211. 

  21. Saito,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79, 426-434. 

  22. Shadomy, S., H. J. Shadomy, and G. E. Wagmer. 1977. Antifungal compounds, In Siegel, M. R. and D. S. HughI (eds.), pp. 437, Dekker, New York, USA. 

  23. Shibazaki, M., T. sugawara, Y. Shimizu, H. Yamaguchi, and K. Suzuki. 1996. YM-47522, a novel antifungal antibiotic produced by Bacillus sp. I. Taxonomy, fermentation, isolation and biological properties. J. Antibiot. 49, 340-344. 

  24. Tawara, S., S. Matsumoto, T. Hirose, Y. Matsumoto, S. Nakamoto, and M. Mitsuno. 1989. In vitro antifungal synergism between pyrrolnitrin and clotrimazole. Med. Mycol. 30, 202-210. 

  25. Thompson, J. D., D. G. Higgins, and T. J. Gibson.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ic Acids Res. 22, 4673-4680. 

  26. Tortorano, A. M., M. A. Viviani, F. Barchiesi, D. Arzeni, A. L. Rigoni, and M. Cogliat. 1998.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testing azole susceptibilities of Candida albicans strains isolated sequentially from oral cavities of AIDS patients. J. Clin. Microbiol. 36, 1578-1583. 

  27. Yu, G. Y., J. B. Sinclair, G. L. Hartman, and B. L. Bertagnolli. 2002. Production of iturin A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ppressing Rhizoctonia solani. Soil Biol. Biochem. 34, 955-963. 

  28. Vikmon, M., A. Stadler-Szoke, and J. Szejtli. 1985. Solubilization of Amphotericin B with $\gamma$ -cyclodextrin. J. Antibiotics. 38, 1822-1824. 

  29. Weitzman, I. and R. C. Summerbel. 1995. The dermatophytes. Clin. Microbiol. Rev. 8, 240-159. 

  30. Whipps, J. M. 1987. Effect of media on growth and interactions between a range of soil-borne glasshouse pathogens and antagonistic fungi. New Phytol. 107, 127-142. 

  31. Wong, J. H., J. Hao, Z. Cao, M. Qiao, H. Xu, Y. Bai, and T. B. Ng. 2008. An antifungal protein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J. Appl. Microbiol. 105, 1888-1898. 

  32. Zhang, B., C. Xie, and X. Yang. 2008. A novel small antifungal peptide from Bacillus strain B-TL2 isolated from tobacco stems. Peptides 29, 350-355. 

  33. Zhao, Z., Q. K. Wang, K. Brian, C. Liu, and Y. Gu. 2010. Study of the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vallismortis ZZ185 in vitro and identification of its antifungal components. Bioresour. Technol. 101, 292-2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