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꽃수술추출물이 과산화수소로 손상된 배양 인체피부흑색종세포에 대한 항산화효과 및 멜라닌화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Effect and Melanogenesis of Nelumbo nucifera Stamen Extract on Cultured Human Skin Melanoma Cells Injured by Hydrogen Peroxide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3 no.2, 2010년, pp.145 - 150  

김명섭 (원광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박윤점 (원광대학교 원예.동식물학부) ,  손영우 (원광대학교 산본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활성산소의 하나인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_2O_2$)에 대한 세포독성과 이에 대한 연꽃수술(Nelumbo nucifera stamen, NNS)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및 멜라닌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부착율 (cell adhesion activity, CAA)을 비롯한 티로시나제활성저해능 및 총멜라닌합성량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결과 hydrogen peroxide($H_2O_2$)는 배양 인체피부흑색종세포 (SK-MEL-3)의 CAA를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대하여 NNS추출물은 $H_2O_2$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감소된 CAA를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H_2O_2$에 대한 NNS추출물의 멜라닌화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 NNS추출물은 $H_2O_2$에 의하여 활성화된 티로시나제활성과 총멜라닌합성량을 감소시킴으로서 멜라닌화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H_2O_2$는 배양 인체피부흑색종세포에 고독성을 나타냈으며 NNS와 같은 식물추출물은 $H_2O_2$와 같은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손상 및 멜라닌화를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melanogenesis of Nelumbo nucifera stamen (NNS) extract on hydrogen peroxide $H_2O_2$ induced cytotoxicity in cultured human skin melanoma cells (SK-MEL-3), cell adhesion activity (CAA),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total amount of melanin sy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3).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 농도에서 총멜라닌합성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130 ug/ml과 190 ug/ml의 NNS추출물에서 총멜라닌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92.
  • , 1997).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위와 같은 측면을 고려하여 ethyl acetate에 의하여 추출된 NNS추출물의 항산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ROS에 대한 NNS추출물 성분에 대한 약리활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편, 항산화효과에 대한 분석은 시료를 대상으로 한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를 이용한 항산화 분석을 비롯하여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 및 ferric thiocyanate(FTC)에 의한 지질과산화측정등이 이용되고 있으나(Hah et al.
  • , 2005). 본 실험에서는 H2O2에 대한 NNS추출물의 멜라닌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제활성저해능과 총멜라닌합성량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활성산소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ethyl acetate의 연꽃수술추출물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활성산소의 일종인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를 처리한 배양 인체피부흑색종세포에서 세포부착율(cell adhesion activity, CAA)에 의한 연꽃추출물의 항산화작용을 비롯하여 tyrosinase활성저해능 및 총멜라닌합성량을 측정하여 멜라닌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색소는 어디에 관련되어 있는가? 멜라닌색소는 피부색은 물론이고 모발, 털색깔과 매우 관련이 깊으며, 또한 기미나 잡티, 홍반 및 피부암의 유발에도 밀접히 관여되어 있다(Kuwata et al., 1993).
멜라닌의 형성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 1993). 멜라닌의 형성요인에는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MSH), 영양부족, cytokine과 같은 내적요인과 자외선이나 살균제와 같은 화학제, 곰팡이 및 세균 등이 알려져 있다(Kang et al., 2007).
활성산소로 인한 산화적 손상은 어떤 손상들을 유도하는가? , 2005). 이같이 유발된 산화적 손상은 막의 지질과산화반응(lipid peroxidation)에 의한 막손상을 비롯하여 N-methyl-D-aspartate(NMDA) 수용체의 과활성이나 세포내 칼슘유입 등을 통하여 세포손상을 유도한다(Park et al., 1996; Ha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renfreund, E. and J.A. Puemer. 1984. A simple quantitative precedure using monolayer culture for cytotoxicity assay (HTD/NR-90). J. Tiss. Cult. Meth. 9:7-9. 

  2. Choi, B.W., B.H. Lee, K.J. Kang, E.S. Lee, and N.H. Lee. 1998.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Kor. J. Pharmacogn 29:237-242. 

  3. Chun H.J., Y.S. Kim, H.W. Nam, S.C. Yoon and W.H. Woo. 2001. Effects of Ethyl Acetate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Melanogenesis. Korean J. Oriental Medical Physiology & Pathology. 15(6):961-966. 

  4. Dimri, G.P., A. Testori, M. Acosta and J. Campisi. 1996. Replicative senescene, aging and growth-regulatory transcription factors. Biol. Signals 5:154-162. 

  5. Gates, M.A., S.S. Tworoger, J.L. Hecht, I. De Vivo, B. Rosner and S.E. Hankinson. 2007. A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flavonoid intake and incidence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Int. J. cancer 121(10):2225-2232. 

  6. Hah, D.S., C.H. Kim, G.S. Kim, E.G. Kim and J.S. Kim. 2005. Antioxident effects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on lipid peroxidation. Korean J. Ver. Res. 45(3):341-350. 

  7. Hosoi, J., E. Abe, T. Suda and T. Kuroki. 1985.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a-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1474-1479. 

  8. Jesberger, J.A. and J.S. Richardson. 1991. Oxygen free radicals and brain dysfunction. Int. J. Neurosci. 57:1-17. 

  9. Jung, H.A., J.E. Kim, H.Y. Chung and J.S. Choi. 2003. Antioxidant principles of Nelumbo nucifera stamens. Arch. Pharm. Res. 26(4):279-285. 

  10. Kang, J.R., J.Y. Lee and W.K. Whang.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lscholtziae Splendense. J. Kor. Soc. Cosm. 13:163-170. 

  11. Kanakis, C.D., P.A. Tarantilis, M.G. Polissiou, S. Diamantoglo and H.A. Tajmir-Riahi. 2007. An overview of DNA and RNA bindings to antioxidant flavonoids. Cell Biochem. Biophys. 49(1):29-36. 

  12. Kuwata, T., M. Kitagawa and T. Kasuga. 1993. Proliferative activity of primary cutaneous melanocytic tumors. Virchows. Archiv. A. Pathol. Anat. 423:359-367. 

  13. Lee, K.S., M.G. Kim and K.Y. Lee.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 Soc. Food Sci. Nutr. 35:182-186. 

  14. Lee, K.M., H.H. Shin, D.S. Han, Y.O. Kim, K.E. Choi, J.S. Kang and S.H. Baek. 1997. Development of Anticancer Age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Part 5. Cytotoxic Activity of the Butanol Soluble Fraction of Perilla frutescens against Human Skin Melanoma Cells. Kor. J. Pharmacogn. 28(4):264-270. 

  15. Leonard, S., S. Wang, L. Zang, V. Castranova, V. Vallyathan and X. Shi. 2000. Role of molecular oxygen in the generation of hydroxy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s during enzymatic Cr(VI) reduction and its implication to Cr(VI)-induced carcinogenesis. J. Environ. pathol. toxicol. oncol. 19(1-2):49-60. 

  16. Leung, H.W., C.J. Lin, M.J. Hour, W.H. Yang, M.Y. Wang and H.Z. Lee. 2007. Kaempferol induced apoptosis in human lung non-small carcinoma cells accompainied by an induction of antioxidant enzymes. Food Chem. Toxicol. 45(10):2005-2013. 

  17. Marzouk, M. S., F.M. Soliman, I.A. Shehata, M. Rabee and G.A. Fawzy. 2007.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Jussiaea repens. Nat. Prod. Res. 21(5):436-447. 

  18.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 J. Immun. Methods 65:55-63. 

  19. Park, S.T., K.T. Lim, Y.T. Chung and S.U. Kim. 1996. Methylmercury-induced neurotoxicity in cerebral neuron culture is blocked by anioxidants and NMDA receptor antagonists. Neurotoxicology 17:37-46. 

  20. Park, S.Y., T.Y. Hwang, J.H. Kim and K.D. Moon. 2001. Quality changes of minimally processed lotus root (Nelumbo nicifera) with browing inhibitor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164-168. 

  21. Peng, Q., Z. Wei and B.H. Lau. 1998. Corni fructus enhances endotherial cell antioxidant defenses. General Pharmacology 31(2):221-227. 

  22. Wang L., Y.C. Tu, T.W. Lian, J.T. Hung J.H. Yen and M.J. Wu. 2006. Distingti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lavonoids. J. Agric. Food Chem. 54(26):9798-98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