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모종류를 달리한 탁주 술덧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1 = no.209, 2010년, pp.56 - 62  

이흥숙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창숙 ((주)바이오세움) ,  최진영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탁주의 품질을 좌우하는 여러 요인 중 효모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S. coreanus, S. ellipsoideus, S. carlsbergensis, S. cerevisiae, S. rouxii 각각의 효모를 달리 사용하여 주모를 담금 하여 술덧을 제조하였고 발효 과정 중 효모의 특성이 탁주 술덧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에탄올 함량은 발효 12일에 S. cerevisiae구와 S. ellipsoideus구에서 각각 13.4, 12.4%로 시험구중 가장 높았다. 미량 알코올의 총량은 nd-0.831 mg/mL 범위로서, 시험구 중에는 S. cerevisiae구가 0.729-0.831 mg/mL 범위로 가장 높았고, 미량 알코올 성분 중 isoamyl alcohol 함량은 발효 12일에 함량 0.123-0.264 mg/mL로 최대치를 보였다. pH는 담금일에 3.41-4.25였으나 발효 2일 후 2.40-2.70으로 크게 저하되었다. 발효 과정 중 시험구 간의 pH 차이는 크게 없었지만 총산 함량에서는 S. rouxii구가 발효 12일에 1.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총량에서도 S. rouxii구가 0.10-1.98%로 가장 높았으며 lact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가 탁주 유기산의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총당 함량은 S. coreanus구가 담금일과 발효 12일에 각각 20.16, 5.50%로 가장 높았고 환원당 함량은 발효 12일에 S. rouxii구와 S. coreanus구가 각각 4.52, 4.30%로 가장 높았다. 유리당 총량에서는 S. ellipsoideus구가 담금일에 5.29%로 시험구 중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았던 반면 발효 12일차에는 0.35%로 시험구 중 함량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S. ellipsoideus구의 에탄올 함량의 경향과 일치하는 결과였으며, glucose, fructose가 탁주 유리당의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탁주의 품질을 좌우하고 탁주의 보존성이나 향미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성분인 에탄올 함량은 S. cerevisiae구가 가장 높았고, 알코올 등과 결합하여 ester와 같은 향미 형성 등에 이용되어 탁주의 맛, 냄새와 직접 관련되는 성분인 총산과 유기산 총 함량은 S. rouxii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탁주 중의 당분은 에탄올 생성과 감미도에 관여하는 성분으로 중요시되는데, 시험구 중 S. coreanus구와 S. rouxii구가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이 높아 감미가 다소 강한 탁주로 추측된다. 본 실험 결과 효모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탁주 술덧의 품질 특성이 서로 분명하게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탁주 발효 시 효모의 단독 사용보다 각각의 효모를 병용하여 발효에 이용한다면 각각의 효모 특색이 상승 작용하여 저장성 향상 및 풍미 증진이라는 탁주의 전반적인 품질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효모를 조합하여 탁주 술덧을 발효시키고 이에 대한 품질특성을 분석하는 연구에 대한 진행이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alcohol, acid, and sugar contents of takju brewing mashes prepared using several yeasts were investigated during 12-days of fermentation. Among the yeasts examined, S. cerevisiae led to the highest level of ethanol (10.2-13.4%) and total minor alcohols (0.729-0.831 m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탁주술덧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발효 결과 생산되는 향미성분들의 종류도 다양할 것으로 추측된다(18).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발효에 관여하는 효모의 종류를 달리하여 그 영향이 탁주술덧의 품질특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전통주인 탁주 양조에 널리 사용된 한국 토착 효모균인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술은 무엇인가? 술이란 탄수화물이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받아 알코올을 비롯한 여러 가지 성분이 생긴 일종의 발효음료이다. 발효 원료로는 전분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곡류, 감자류와 당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과일이나 당밀이 사용된다(1).
양조주는 단 발효주와 복 발효주로 나뉘는데 각각 무엇을 말하는가? 양조주는 발효주라고도 하고 발효가 끝난 술덧을 그냥 또는 여과하여 음용하는 술이다. 발효주는 단발효주와 복발효주로 다시 나뉘는데, 단발효주는 원료에 함유된 당분을 그대로 발효시켜 음용하는 주류로, 포도주, 사과주, 기타 발효주 등이 이에 포함된다. 복발효주는 전분질을 당화효소로 당화시켜 발효시킨 것으로 탁주, 약주, 일본청주, 맥주 등이 이에 속한다(2).
술의 발효 원료로는 무엇이 사용되는가? 술이란 탄수화물이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받아 알코올을 비롯한 여러 가지 성분이 생긴 일종의 발효음료이다. 발효 원료로는 전분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곡류, 감자류와 당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과일이나 당밀이 사용된다(1). 술의 종류는 대단히 많으나 제조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양조주, 증류주, 혼성주로 구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SR. Korean Fermented Foods. Ewha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222-294 (1986) 

  2. Kim ZU. Food Processing. Moonwoondang, Seoul, Korea. p. 5 (1985) 

  3. Kim CJ, Kim KC, Kim DY, Oh MJ, Lee SK, Lee SO, Chung ST, Jung JH. Fermentation Technology. Sunjinmunwhasa, Seoul, Korea. pp. 79-103 (1990) 

  4. Lee H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using rice nuruk during fermentation. M.S. thesis, Seoul Women's Univ., Seoul (2000) 

  5. Jung JH. Studied on the identification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the fermented mash of the takju made from different rawmaterials. J. Korean Agric. Chem. Soc. 8: 39-43 (1967) 

  6.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1996) 

  7. Lee SM, Lee TS.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characteristics fermentation. J. Nat. Sci. Seoul Women's Univ., Korea 12: 71-79 (2000) 

  8.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fermentation by addition of chestnut peel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329-336 (2006) 

  9. Hong SW, Hah YC, Min KH. The bio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J. Korean Agric. Chem. Soc. 8: 107-115 (1970) 

  10. Kim CJ. Studies on the quantitative changes of organic acid and sugar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J. Korean Agric. Chem. Soc. 8: 33-42 (1970) 

  11. Lee WK, Kim JR, Lee MW. Studies of the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J. Korean Agric. Chem. Soc. 30: 323-327 (1987) 

  12. Han EH, Lee TS, Noh BS, Lee DS.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1997) 

  13. Kim CJ. Microbiolog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akju brewing. J. Korean Agric. Chem. Soc. 10: 69-100 (1968) 

  14. Lee JS, Lee TW. Studies on the microflora of takju brewing. Korean J. Microbiol. 8: 116-133 (1970) 

  15. Ko CM, Choi TJ, Yoo J. Microbiological studies on the takju (makguly) brewing: The Korean local wine. Korean J. Microbiol. 11: 167-174 (1973) 

  16. Lee SK, Park YJ, Oh MJ. Studies on takjoo yeasts (Part ) - influences of kind of yeast strains and brewing conditions of fermentation of takjoo mash. J. Korean Agric. Chem. Soc. 16: 85-93 (1973) 

  17. Kim CJ, Oh MJ, Kim SY. Studies on the induction of available mutants of takju yeast by UV light irradiation (Part ) - On the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Mutants. J. Korean Agric. Chem. Soc. 18: 10-16 (1975) 

  18. So MH. Aptitudes for takju brewing of wheat flour-nuluks made with different mold species. Korean J. Food Nutr. 8: 6-12 (1995) 

  19. Kang KH, Noh BS, Seo JH, Hur WD. Food Analysis.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109-110 (1998) 

  20. Yuda J. Volatile components from beer fermentation. J. Soc. Brew. 71: 818-830 (1976) 

  21. KFIA. Food Code.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30 (1989) 

  22. Hong HG. The effect on the composition of takju of addition of nuruk under varied condition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84) 

  23. Lee J. Studies on the qualities of takju with various koji strain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982) 

  24. Song JY.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made of glutinus rice or barley.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998) 

  25. Lee JS, Lee TS, Noh BS, Park SO.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