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쌀겨와 발효쌀겨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Non-Fermented Rice Bran and Fermented Rice Br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1, 2010년, pp.1 - 7  

최현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래) ,  이복규 (동의대학교 자연과학대학원 생물학과) ,  김수정 ((재)경북테크노파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특화센터 효능검증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쌀의 도정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일반쌀겨와 이 쌀겨를 발효시켜 얻은 발효쌀겨의 영양성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쌀겨의 수분 함량은 10.50%이었으며, 발효쌀겨의 수분 함량은 29.27%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일반쌀겨 15.01%, 발효쌀겨 25.99%로 나타내었다. 지방 함량은 일반쌀겨 17.43%, 발효쌀겨 3.62%를 나타내었다. 조회분은 일반쌀겨 및 발효쌀겨의 함량이 각각 8.80%, 15.45%를 나타내어, 쌀겨 발효 시 수분, 단백질, 회분은 증가하고, 지방과 탄수화물은 감소하였다. 일반쌀겨 및 발효쌀겨의 지방산 조성은 유사하게 나타나, 포화지방산 함량은 일반쌀겨가 17.7%, 발효쌀겨가 20.5%였으며, 일반쌀겨와 발효쌀겨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각각 82.3%, 79.5%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두 가지 시료의 포화 및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두 가지 시료 모두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의 함량비가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일반쌀겨의 지방산은 palmitic acid 15.1%, oleic acid 40.6%와 linoleic acid 39.5%의 조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쌀겨의 palmitic aic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의 조성은 각각 13.2%, 43.2%, 31.3%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일반쌀겨가 fructose 0.5419%, glucose 0.6910%, maltose 6.6692%로 나타내었고, 발효쌀겨의 경우 fructose는 검출되지 않았고, glucose 0.0099%, maltose 0.0039%, sucrose 0.3233%로 나타나 일반쌀겨가 발효되면서 당이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쌀겨의 비타민 C 함량은 53 mg/100 g이었고, 발효쌀겨의 비타민 C 함량은 7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시료 모두 비타민 A는 검출되지 않았다. 18종의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시료 모두 Ca, K, Mg 및 Mn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일반쌀겨에는 K이 1,795.71 mg/100 g, Mg이 825.21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쌀겨는 일반쌀겨보다 더 높아 K이 3,163.67 mg/100 g, Mg이 1,178.94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무기질 함량은 일반쌀겨가 2,748.00 mg/100 g, 발효쌀겨가 4,660.49 mg/100 g으로 발효쌀겨의 무기질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nutritional analysis was done on regular rice bran and fermented rice bran toward increasing their availability and use. Regular and fermented rice bran were extracted 10 times at $98^{\circ}C$ for 4 hours each with water, extracted with 60% ethanol at $60^{\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쌀겨의 활용은 환경오염 방지 및 자원 재활용의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쌀겨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쌀겨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이용한 발효쌀겨에 대한 영양성분에 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쌀의 도정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일반쌀겨와 이 쌀겨를 발효시켜 얻은 발효쌀겨의 영양성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쌀겨의 수분 함량은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신약 개발이 관심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천연물 중 암 예방 성분이나 면역력 강화 및 조절기능을 갖는 생리활성물질을 밝혀내어 이를 건강 유지와 질병예방을 위해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의 경우, 독성 및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부작용이 합성 의약품에 비해 적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신약 개발의 소재가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Takasaki 등 1989; Ji 등 2000; Kwon 등 2003).
쌀은 언제부터 자급이 이루어졌는가? 쌀은 우리나라의 주곡작물로서 1970년대 중반부터 자급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쌀의 영양성 및 기능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쌀의 소비량이 급속히 감소됨과 동시에 수입 물량의 증가로 쌀의 과잉 생산이 문제가 되고 있다(Lee 등 2005; Sohn 등 2005).
벼를 탈곡·도정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 중 착유의 주 재료로 이용되는 것은 연간 몇 톤이 생산되는가? 쌀겨는 벼를 탈곡·도정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 중 하나로서 착유의 재료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vitamin B1, B2, 지질, 탄수화물 및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사료 및 영양제 등 다양한 형태의 자원으로도 이용되고 있다(Kuk 등 2001). 최근 쌀의 작물 생장 촉진 및 잡초 방제 효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쌀겨 추출물의 항산화작용에 의한 변이원성 억제 효과에 대한 가능성도 제시되면서(Nam 등 1997) 쌀겨 내 새로운 물질의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Steinsiek 1982; Lee 등 1991; Chung 등 1997), 쌀겨의 활용도는 낮아 국내에서 생산되는 연간 쌀겨 60만 여 톤 중 일부는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어 자원 낭비가 되고 있는 실정이며, 다양한 활용방안의 모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Kuk 등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125-132 

  2. Chung IM, Kim KH, Ahn JK, Ju HJ. 1997. Allelopathic potential evaluation of rice varieties on Echinochloa crus-galli. Korean J Weed Sci 17:52-58 

  3. Ji IH, Kim MN, Chung CK, Ham SS. 2000. Antimutagenic and cytotoxicity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322-328 

  4. Kuk YI, Shin JS, Kwon OD, Guh JO. 2001. Effect of aqueous extracts of rice bran on inhibition of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weed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0:108-111 

  5. Kwon SH, Kim CN, Kim CY, Kwon ST. 2003. Antitumor activitie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mycelia of mushroom. Korean J Food & Nutr 16:15-21 

  6. Lee CW, Kim CS, Chang YH, Youn KB. 1991. Allelopathic effect of barley and rice straw on weed growth. Korean J Weed Sci 11:122-127 

  7. Lee SS, Lee MJ, Kim BJ, Hong SB. 2005. Growth yield and grain quality of rice affected by application of crab shell, sericite ore, and charcoal powder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4:185-190 

  8. Morrison WR, Smith LM. 1964.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and dimethylacetals from lipids with boron fluoridemethanol. J Lipid Res 5:600-608 

  9. Nam SH, Kang MY. 1997.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olored rice bran extracts carcinogenicity. Agric Chem Biotechnol 40:307-312 

  10. Sohn HY, Kwon CS, Son KH, Kwon GS, Kwon YS, Ryu HY, Kum EJ. 2005. Antithrombo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brands of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93-598 

  11. Steinsiek JW, Oliver LR, Collins FC. 1982. Allelopathic potential of wheat(Triticum aestivum) straw on selected weed species. Korean J Weed Sci 30:495-497 

  12. Takasaki M, Konoshima T, Tokuda H, Masuda K, Arai Y, Shiokima K, Ageta H. 1989.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I. Bio Pharm Bull 22:606-610 

  13. Wilson AM, Work TM, Bushway AA, Bushway RJ. 1981. HPLC determination of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potatoes. J Food Sci 46:300-306 

  14. Wimalasiri P, RBH Wills. 1983. Simaltaneous analysis of ascorbic acid and dehydroascorbic acid in fruit and vegetable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 Agric 15:113-116 

  15. Yun SI, Choi WJ, Choi YD, Lee SH, Yoo SH, Lee EH, Ro HM. 2003.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of Shihwa tidal freshwater marshes. Korean J Eco 26:65-70 

  16. 한국식품공업협회. 2009. 식품공전(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문영사. pp.725-7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