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노년 초기 여성의 의복행동과 착용감 비교
A Comparison of the Clothing Behavior and Wearing Sensation of Early Elderly Women between Korea and USA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2 no.6, 2010년, pp.774 - 780  

이영주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assess and understand current needs and wearing sensation, including clothing behavior for early elderly women in the Korea and US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5 and 173 early elderly women in the Korea and USA. This research was done by a survey meth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정실, 이선재(2008)에 의하면 60대는 최대 30년까지 실제 연령보다 젊게 생활하려고 하는 의지가 강하고 심리적으로 젊은 모습의 자아이미지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 옷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 시장에서도 영향력이 큰 소비자 집단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노년 초기에 해당하는 65세에서 70세까지의 한국과 미국 노년 초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여가활동, 의복행동과 기성복 착용감을 비교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조사가 미국과 한국에서 동일한 시기에 실시되지 않아 유행에 민감한 의복의 선호 형태나 착용실태 등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사의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노년 초기 여성들로 한정하여 한국과 미국 노인 여성들을 비교하였으므로 후속적으로 노인 중기와 후기 여성들의 의복행동과 착용감에는 두 나라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복 시장이 젊은 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된 이유는? 노인복 시장은 의복 수명이 길고 추구하는 패션의 정도가 낮으며 사회 활동이나 외출의 기회가 적어 의복 활용 및 구매 횟수가 적다는 이유로 젊은 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지만 일생에서 노년기로 보내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최근 백화점에서는 상품과 문화센터를 결합하여 여가 생활을 즐기면서 물건을 구매하는 신 노년층이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으며 이들의 매출 비중과 관련 상품 판매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한다(“디지털 실버족”, 2010).
고령자 통계(2007)에 의하면 2020년에 우리나라 평균수명은? 베이비부머(1946-1964년 출생)들이 2007년을 기준으로 60대로 진입하기 시작하면서 고령화는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고령자 통계(2007)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020년에는 평균수명이 남자 78.2세, 여자 84.4세로 늘어나고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0.8%가 되고, 2050년이 되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비율이 세계최고 수준이 되는 37.
한국과 미국 노년 초기 여성의 의복행동과 착용감을 비교한 결과는? 첫째, 한국 노년 초기 여성들은 의복구매 시 정보원으로 인적정보를 많이 활용하고 미국 여성들은 매체정보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의 노인들은 미국의 노인들처럼 잡지나 신문 등의 매체를 통해 얻은 정보 보다 친구나 텔레비젼에 나오는 연예인들이 착용한 옷 등을 통해 얻은 정보가 의복 구매에 영향을 미치므로 한국 노년 초기 여성들에게는 연예인을 활용한 마케팅전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과 미국 모두 노년 초기 여성들이 유행을 따르는 비율이 50%이상으로 나타나 노년 초기 여성들도 유행에 민감한 연령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노인복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노인들이 유행에 민감하지 않을 것이라는 선입견에서 벗어나 유행경향에 대해 철저히 분석하고 유행경향을 반영한 노인복을 생산해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의복구매 시 한국 노년 초기 여성들은 색이나 문양 등의 미적인 면을 가장 중요시하나 미국 여성들은 편안함을 가장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의 노년 초기 여성들이 미국 노인들에 비해 미적인 면에 더욱 민감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 노인들을 위한 노인복은 무조건 기능 적이고 편안함만을 강조하는 것 보다는 좀 더 젊게 보일 수 있는 디자인과 색을 사용한 기능적 의복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노년 초기 여성들은 점퍼와 티셔츠를 가장 많이 착용하나 미국은 재킷과 스웨터를 가장 많이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의로는 양국 모두 바지를 가장 많이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재킷형태는 한국과 미국 모두 테일러드 칼라 재킷형태였으나 한국 노년 초기 여성들이 미국 여성들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재킷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지는 모두 캐주얼한 형태를 선호하였다. 선호형태에서 다른 아이템에 비해 두 나라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스커트는 한국은 플레어스커트, 미국은 A라인 스커트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원피스드레스는 한국은 셔츠형원피스, 미국은 랩과 셔츠 원피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국 노인 여성들이 미국에 비해 정장 형태보다는 여유가 있으며 편안한 형태의 의복을 선호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성복 착용감에서 재킷은 한국은 어깨, 미국은 허리에서 착용감이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과 미국의 노년 초기 여성들은 소매길이, 바지길이, 스커트길이, 원피스길이에서 착용감이 떨어진다고 느끼고 있으므로 노인복 설계시 횡적인 요소보다 종적인 요소에 대한 배려와 사이즈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과 미국 노년 초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의복행동과 기성복 착용감을 비교해 본 결과 착용감에 비해 의복행동에서 더큰 차이를 나타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나라간의 문화적, 경제적 환경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글로벌한 노년기 여성복 마케팅 전략 수립 위해서는 문화권에 따른 의복 행동 특성을 연구한 후 구체적인 전략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연건. (2005). 2006년 일본 시장 트렌드와 전망 : 2005년도 日經 히트상품 분석을 바탕으로. Kotra, p.15. 

  2. 김용숙. (2000). 노년기 여성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시장 세분화. 복식, 50(8), 99-111. 

  3. 김인숙. (2006). 지역과 소득에 따른 노년 여성의 의복구매행동 및 맞음새 선호경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점해, 이영주. (2007). 노인여성의 의복행동과 기성복 맞음새.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123-135. 

  5. 김정실, 이선재. (2008). 뉴실버 여성 소비자의 지각연령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 쇼핑성향연구(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32(11), 1729-1738. 

  6. 남궁민지. (2008). 시니어 패션디자인 분석 및 선호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남윤자, 김인숙. (1998). 한국 노인여성들의 의복구매행동과 의복불만. 복식문화연구, 6(4), 162-174. 

  8. 박정희. (1996). 노인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관한 연구-의복 구매관습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임숙자, 양윤, 이승희, 안춘순, Sharron, J. Lennon. (2003).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의복행동에 관한 비교 조사. 한국의류학회지, 27(3/4), 268-297. 

  10. 이민정. (1996). 노년층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의복행동 연구. 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야마사키신지. (2005). 시니어가 사회를 건강하게 한다. 일본포럼, p.64. 

  12. 고령자 통계. (2007, 10). 통계청. 자료검색일 2009, 9. 10, 자료 출처 http://www.kostat.go.kr 

  13. 디지털 실버족, 인터넷쇼핑 '전면부상'. (2010, 4. 22). 지드넷 코리아 자료검색일 2010, 2. 22, 자료출처 http://www.zdnet.co.kr 

  14. Earlin, Rainer-Jeanes. (1994). Clothing interest, leisure activity continunity and their association to clothing fit satisfaction for women 55years and ol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15. Karol, E. B. (1999). Determining apparel style preferences of older women and the age of which these preference are develop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en's University. 

  16. Spruiell, P., Jernigan, M. (1982). Clothing preferences of older women: Implication for gerontology and the American clothing Industry. Educated Gerontology, 8, 485-4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