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물방출 스텐트용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으로부터 파크리탁셀의 조절 방출

Controlled Release of Paclitaxel from Biodegradable Polymer Films for Drug-Eluting Stents

폴리머 = Polymer (Korea), v.34 no.2, 2010년, pp.172 - 177  

김시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소재센터) ,  이봉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소재센터) ,  김진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소재센터) ,  박귀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소재센터) ,  한동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소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20년간 다양한 세포에서 파크리탁셀(PTX)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세포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약물방출 동역학에 관한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방출스텐트 (DES)에 적용하기 위해서 생분해성 고분자로부터 파크리탁셀의 방출거동을 고찰하였다. 다양한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PLGA), poly-L-lactide(PLLA) 및 polycaprolactone(PCL)에 파크리탁셀의 함유량을 달리하여 필름을 제조한 후 약물방출 거동을 평가하였다. 약물방출은 8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FE-SEM을 통해 고분자의 분해정도를 관찰하였다. PCL의 생분해 속도는 가장 느리지만 파크리탁셀의 함량이 같을 경우 PCL로부터의 파크리탁셀 방출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PLGA 그리고 PLLA 순서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PCL과 같이 유리전이온도($T_g$)가 낮은 고분자의 경우 체내에서 파크리탁셀과 같은 소수성 약물의 움직임이 용이하기 때문에 약물방출 속도가 빠를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efficacy of paclitaxel (PTX) on many cells during the last two decades, little work has been reported on the importance of release kinetics inhibiting cell prolifer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ease behavior of the PTX on various biode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텐트의 재협착을 막기 위한 기초연구로 DES에 적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생분해성 고분자에 일정량의 PTX 를 넣어서 필름을 제조한 다음 8주 동안 일정시간세 따른 약물빙줄거동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스텐트의 약물방출 속도가 혈관내 세포와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약물이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여 약물방출 거동을 비교하였다. 생분해성 고분자로부터의 PTX 방출속도는 그 함유량과 고분자의 종류에 띠라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PTX 의 방출속도는 %가 다른 다양한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었다 또한 PLGA와 PCL의 8주간 방출 후 SEM 사진을 비교해 보았을 때 PCL로부터 약물방출 속도가 현저하게 빠른 것으로 보아, 고분자의 분해속도보다 7;가 약물방출 속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고분지로부터의 PTX의 빙출과 그 함량을 조절했을 때 약물방출 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PLGA, PCL 그리고 PLLA의 이들 3가지 고분자 재료를 비교해 보았을 때, 고분자의 분해속도보다 가 약물방출 속도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약 가 약물방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면 다른 고분자에서도 소수성인 약물의 방출속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F. Alexis, S. S. Venkatraman. and S, K. Rath, J. Control. Rel., 98, 67 (2004). 

  2. E. Kang, H. Wang, and I. K. Kwon, Anal. Chem., 78, 8036 (2006). 

  3. B. L. Hiatt, F. Ikeno, and A. C. Yeung, Catheter. Cardiovasc. Interv., 55, 409 (2002). 

  4. G. W. Stone, S. G. Ellis, and D. A. Cox, Circulation, 109, 1942 (2004). 

  5. K. S. Soppimath, T. M. Aminabhavi, and A. R. Kulkarni, J. Control. Rel., 70, 1 (2001). 

  6. A. Frank, S. K. Rath, and S. S. Venkatraman, J. Control. Rel., 102, 333 (2005). 

  7. K. B. Seung, Kor. Circul. J., 33, 857 (2003). 

  8. G. Winzenburg, C. Schmidt, and S. Fuchs, Adv. Drug. Deliv. Rev., 56, 1453 (2004). 

  9. J. Liebmann, J. A. Cook, and C. Lipschultz, Cancer Chemother. Pharm., 33, 331 (1994). 

  10. T. H. Wang, H. S. Wang, and Y. K. Soong, Cancer, 88, 2619 (2000). 

  11. R. Wessely, Eur. Heart J., 28, 2720 (2007). 

  12. F. Danhire, N. Lecouturier, and B. Vroman, J. Control. Rel., 133, 11 (2009). 

  13. L. L. Lao and S. S. Venkatraman, J. Control. Rel., 130, 9 (2008). 

  14. P. Serruys, G. Sianos, and A. Abizaid, J. Am. Coll. Cardiol., 46, 253 (2005). 

  15. M. Hamoudeh, R. Diab, and H. Fessi, Drug. Dev. Ind Pharm., 34, 698 (2008). 

  16. R. T. Ligginsand H. M. Burt, Int. J. Pharm., 282, 61 (2004). 

  17. J. K. Jacksona, J. Smitha, and K. Letchford, Int. J. Pharm., 283, 97 (2004). 

  18. N. R. Jadhav, V. L. Gaikwad, and K. J. Nair, Asian J. Pharm., 3, 82 (2009). 

  19. U. Westedt, M. Wittmar, and M. Hellwig, J. Control. Rel., 111, 235 (2006). 

  20. R. Shi and H. M. Burt, Int. J. Pharm., 271, 167 (2004). 

  21. T. Ooya, J. Lee, and K. Park, J. Control. Rel., 93, 121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