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 간호사의 혈액매개감염 주의지침에 대한 수행정도
A Study on Performance Level for Universal Precautions on Blood-Borne Infections among Nurses in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6 no.1, 2010년, pp.92 - 100  

안지연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이영미 (한북대학교 간호학과) ,  송정희 (김천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level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universal precautions on blood-borne infections and to analyze related-factors on the performance level for universal precautions among the nurses. Method: A total of 166 nurses participated in the su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Janjua, Razaq, Chandir, Rozi 및 Mahmood(2007)의 연구결과에서처럼 병원내 감염예방시스템이 없거나, 혈액매개감염 예방에 대한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이 제공되지 않거나, 보호장비가 충분히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사후 접종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혈액매개감염에 대한 예방수행정도가 낮을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혈액매개감염에 대한 통제 및 관리의 목적은 혈액매개감염 주의지침에 대한 인식정도를 높이고 실제 의료현장에서 이러한 주의지침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접근하는 데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처럼 혈액매개감염 주의지침에 대한 인식정도는 높으나 수행정도가 낮은 것은 혈액매개감염 주의지침에 대한 수행정도를 높일 수 있는 병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주사침 자상 뿐 아니라 그 외 혈액매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원인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주사침 자상 등 혈액매개감염에의 노출이 가장 많은 간호사의 혈액매개감염 주의지침에 대한 인식정도와 수행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혈액매개감염 주의지침에 대한 인식정도와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 간호사의 혈액매개감염 주의지침에 대한 수행정도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인의 직업과 관련된 위험에는 어떤 것이 포함되는가? 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근무하는 보건의료인은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가진 대상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인 외상의 위험 뿐 아니라 다양한 경로를 통한 감염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다. 이처럼 보건의료인의 직업과 관련된 위험에는눈, 입, 점막, 손상된 피부 그리고 혈관을 통한 잠재적인 감염원에의 노출이 포함된다(Gerberding, 1995). 비록 감염원에의 노출이 혈액매개감염으로 전환되는 것은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노출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Gabriel, 2009).
국내 근로복지공단에서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을 승인한 의료종사자 중 혈액매개감염은 전체 중 얼마인가? 특히 HBV, HCV, HIV 등 혈액매개감염에의 노출은 보건의료인에게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으며(Sadoh, Fawole, Sadoh, Oladimeji, & Sotiloye, 2006), 이는 단순히 보건의료인 개인의 건강 뿐 아니라 조직원으로서의 역할수행에도 영향을 미쳐 업무의 효율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국내 근로복지공단에서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을 승인한 의료종사자를 살펴보면 혈액이 매개하는 감염성 질환(AIDS, B형 간염, C형 간염 등)이 전체 중 43%이었고, 특히 이 중 72%가 간호사, 14.8%가 의사로 나타나 간호사와 의사의 업무상 질병 중 감염성 질환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임현술, 안연순, 2003).
HBV, HCV, HIV 등 혈액매개감염에의 노출은 보건의료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비록 감염원에의 노출이 혈액매개감염으로 전환되는 것은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노출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Gabriel, 2009). 특히 HBV, HCV, HIV 등 혈액매개감염에의 노출은 보건의료인에게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으며(Sadoh, Fawole, Sadoh, Oladimeji, & Sotiloye, 2006), 이는 단순히 보건의료인 개인의 건강 뿐 아니라 조직원으로서의 역할수행에도 영향을 미쳐 업무의 효율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국내 근로복지공단에서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을 승인한 의료종사자를 살펴보면 혈액이 매개하는 감염성 질환(AIDS, B형 간염, C형 간염 등)이 전체 중 43%이었고, 특히 이 중 72%가 간호사,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경혜 (2001). AIDS에 대한 간호사의 예방적 감염관리와 취약성 인지정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임현술, 안연순 (2003).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의료기관 종사자 및 질병의 특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5(2), 196-204. 

  3. 정재심, 윤성원, 박은숙, 김경미, 유소연, 정인숙, 신용애, 최선주, 김승주, 오향순, 김봉수, 이영선, 양숙자, 김상일, 송영구, 강문원 (2006). 우리나라 종합병원에서 인력, 기구와 활동을 중심으로 한 감염관리의 실상.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지, 11(1), 58-69. 

  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5. 11). 의료업 종사 근로자들의 감염성 질환 실태조사: 보건관리 현황을 중심으로. 보건분야 -연구자료(2005-115-594). Retrieved September 15, 2009, From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eb site: http://www.kosha.or.kr/main 

  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8. 10). 병?의원 종사자의 주사침 등에 의한 손상예방 지침. KOSHA CODE H-47-2008. Retrieved September 15, 2009, From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eb site: http://www.kosha.or. kr/main 

  6. Ayranci, U., & Kosgeroglu, N. (2004).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nurses in the healthcare sector in a city of western Turkey. J Hosp Infect, 58(3), 216-223. 

  7. Beghdadli, B., Belhadj, Z., Chabane, W., Ghomari, O., Kandouci, A. B., & Fanello, S. (2008). Standard precautions practice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Western Algeria. Sante Publique, 20(5), 445-453. 

  8. Bolyard, E. A., Tablan, O. C., Williams, W. W., Pearson, M. L., Shapiro, C. N., Deitchman, S. D., & The Hospital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1998).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in health care personnel.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9(6), 407-463. 

  9.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9). Guidelines for national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case surveillance, including monitoring fo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and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MMWR Recomm Rep, 48(10)(RR-13), 1-27. 

  10.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87).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of HIV transmission in healthcare settings. MMWR Morb Mortal Wkly Rep, 36(Suppl 2). S1-S18. 

  11. Dement, J. M., Epling, C., Ostbye, T., Pompeii, L. A., & Hunt, D. L. (2004). Blood and body fluid exposure risks among health care workers: results from the Duke Health and Safety Surveillance System. Am J Ind Med, 46(6). 637-648. 

  12. Gabriel J. (2009). Reducing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healthcare workers. Nurs Stand, 23(22), 41-44. 

  13. Gerberding, J. L. (1995). Management of occupational exposures to blood-borne viruses. N Engl J Med, 332(7), 444-451. 

  14. Gerberding, J. L. (2003). Occupational exposure to HIV in health care settings. N Engl J Med, 348(9), 826-833, 

  15. Gershon, R. R. (1996). Facilitator report: bloodborne pathogens exposure among health care workers. Am J Ind Med, 29(4), 418-420. 

  16. Gershon, R. R., Vlahov, D., Felknor, S. A., Vesley, D., Johnson, P. C., Delclos, G. L., & Murphy, L. R. (1995). Compliance with universal precautions among health care workers at three regional hospitals. Am J Infect Control, 23(4), 225-23. 

  17. Janjua, N. Z., Razaq, M., Chandir, S., Rozi, S., & Mahmood, B. (2007). Poor knowledge-predictor of nonadherence to universal precautions for blood borne pathogens at first level care facilities in Pakistan. BMC Infect Dis, 7, 81-92. 

  18. Joardar, G. K., Chatterjee, C., Sadhukhan, S. K., Chakraborty, M., Dass, P., & Mandal, A. (2008). Needle sticks injury among nurses involved in patient care: A study in two medical college hospitals of West Bengal. Indian J Public Health, 52(3), 150-153. 

  19. Ko, N. Y., Yeh, S. H., Tsay, S. L., Pan, S. M., Feng, M. C., Chiang, M. C., Lee, Y. W., Chang, L. H., & Jang, J. F. (2009). Adherence to management after occupational exposure to blood-borne pathogen among health care workers in Taiwan. Am J Infect Control, 37(7), 609-611. 

  20. Sadoh, W. E., Fawolo, A. O., Sadoh, A. E., Oladimeji, A. O., & Sotiloye, O. S. (2006). Practice of universal precautions among healthcare workers. J Natl Med Assoc, 98(5), 722-726. 

  21. Twitchell, K. T. (2003). Bloodborne pathogens. what you need to know-part I. AAOHN J, 51(1), 38-45. 

  22. Williams, C. O., Campbell, S., Henry, K., & Collier, P. (1994). Variables influencing worker compliance with universal precaution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m J Infect Control, 22(3), 138-1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