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악골 낭종의 적출술 후 골재생에 대한 파노라마 촬영과 컴퓨터 단층촬영의 비교 분석
Spontaneous bone regeneration after enucleation of jaw cysts: a comparative study of panoramic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원문보기

大韓口腔顎顔面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v.36 no.2, 2010년, pp.100 - 107  

김택성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이재훈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A cyst is a closed pathologic sac containing fluid or semi-solid material in central region. The most common conventional treatment for a cyst is enucleation. It was reported that spontaneous bone healing could be accomplished without bone grafting. We are trying to evaluate bone re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에서 병소의 제거 후 1차 유합이 가능하다면 조직유도재생술의 시행 없이도 골재생이 유의한 차이 없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고한 Santamarl′a 등9과, 50 mm 크기 이하의 낭종은 주로 1차 유합에 의해 치유된다고 발표한 van Doorn 등10에 비추어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얻어진 술후 경과시간에 따른 골재생 정도를 분석하여 골이식을 시행하지 않고도 자발적인 골재생이 일어나는 임계결손크기를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 Shapurian 등12은 상악 및 하악 구치부의 정상 골조직 HU 수치는 각각 +333 HU와 +321 HU라고 보고하였으며, Kim 등14은 치성낭종의 골경화성 경계부의 HU 수치는 약 +300-600 HU이라고 발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00 이하의 HU값을 가지는 지역을 대상으로 악골 낭종의 경계를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악골 낭종 적출술 후 결손부 골재생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악골 낭종의 적출술 후 골이식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자발적인 골재생이 얼마나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해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에서 연구한 후 이를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에서 비교 분석하여 술후 경과시간에 따른 골재생 정도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얻어진 술후 경과시간에 따른 골재생 정도를 분석하여 골이식을 시행하지 않고도 자발적인 골재생이 일어나는 임계결손크기를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악골 낭종의 적출술 후 결손부 골재생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악골 낭종의 적출술 후 골이식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자발적인 골의 재생이 얼마나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해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에서 연구한 후, 이를 컴퓨터 단층촬영상에서 비교 분석하여 술후 경과시간에 따른 골재생 정도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에서 병소의 제거 후 1차 유합이 가능하다면 조직유도재생술의 시행 없이도 골재생이 유의한 차이 없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고한 Santamarl′a 등9과, 50 mm 크기 이하의 낭종은 주로 1차 유합에 의해 치유된다고 발표한 van Doorn 등10에 비추어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얻어진 술후 경과시간에 따른 골재생 정도를 분석하여 골이식을 시행하지 않고도 자발적인 골재생이 일어나는 임계결손크기를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악안면 영역의 낭종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구강안안면외과 영역에서 낭종이란 연조직 또는 경조직 내에 상피성 내막이 덮힌 결합조직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그 내부에 액체 또는 반유동성 물질을 함유하는 병적 조직을 말한다. 구강악안면 영역의 낭종은 대부분 이장 상피를 지니고 있어 진성 낭(true cyst)으로 분류되고, 이는 크게 발육성 낭종과 염증성 낭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발육성 낭종은 다시 치성과 비치성으로 나눈다1, 2.
악골 낭종의 적출술 후 결손부의 골재생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한 결과는? 1. 파노라마 방사선사진과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의 술후 경과시간에 따른 면적 및 체적 변화율을 비교한 결과,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 술전 4×3 cm 이하의 병소들은 술후 12개월째에 96.54%의 면적 변화율을 나타내, 술후 12개월째는 임상적으로 인정할 수 있을 만큼 자발적인 골의 재생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었으나,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을 분석한 결과 술후 12개월째는 79.24%의 체적 변화율을 보임으로서 아직 결손부가 완전히 치유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2.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에서 얻어진 결손부의 체적 변화 율을 토대로 연구해 본 결과, 술후 24개월째에 체적이 5,000 mm3 이하인 경우에는 98.41%, 5,000 mm3 이상인 경우에는 91.75%의 체적 회복률을 보여, 두 그룹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이 5,000 (±214.0) mm3인 병소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 크기는 2.79 (±0.38)×1.91 (±0.31) cm으로, 이는 악골 낭종의 임계결손크기라고 생각한다. 3. 성별, 발생부위, 진단에 따른 분류에서는 술후 경과시간에 따른 각각의 체적 변화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령 분류에서는 5,000 mm3 이하의 병소에서 술후 18개월부터 20대 이하의 젊은 연령층에서 좀 더 큰 체적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5,000 mm3 이상의 병소에서는 연령에 따른 체적 변화율에 술후 24개월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안안면외과 영역에서 낭종이란? 구강안안면외과 영역에서 낭종이란 연조직 또는 경조직 내에 상피성 내막이 덮힌 결합조직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그 내부에 액체 또는 반유동성 물질을 함유하는 병적 조직을 말한다. 구강악안면 영역의 낭종은 대부분 이장 상피를 지니고 있어 진성 낭(true cyst)으로 분류되고, 이는 크게 발육성 낭종과 염증성 낭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발육성 낭종은 다시 치성과 비치성으로 나눈다1,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Textbook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1st ed. Seoul: Dental & Medical Publishing Co.; 1998. 

  2. Saap JP, Eversole LR, Wysocki GP. Contemporary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St Louis: Mosby; 1997. 

  3. Peterson LJ, Ellis E III, Hupp JR, Tucker MR, eds. Contemporary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3rd ed. St. Louis: Mosby; 1998. 

  4. Bodner L, Bar-Ziv J. Characteristics of bone formation following marsupialization of jaw cysts. Dentomaxillofacl Radiol 1998;27:166-71. 

  5. Thomas EH. Cysts of the jaws: saving involved vital teeth by tube drainage. J Oral Surg (Chic) 1947;5:1-9. 

  6. Chiapasco M, Rossi A, Motta JJ, Crescentini M. Spontaneous bone regeneration after enucleation of large mandibular cysts: a radiographic computed analysis of 27 consecutive cases. J Oral Maxillofac Surg 2000;58:942-8. 

  7. Ihan Hren N, Miljavec M. Spontaneous bone healing of the large bone defects in the mandible.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8; 37:1111-6. 

  8. Yim JH, Lee JH. Panoramic analysis about spontaneous bone regeneration after enucleation of jaw cyst.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09;31:229-36. 

  9. Santamarl′a J, Garcl′a AM, dxe Vicente JC, Landa S, Lo′pez- Arranz JS. Bone regeneration after radicular cyst removal with and without guided bone regeneration.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8;27:118-20. 

  10. van Doorn ME. Enucleation and primary closure of jaw cysts. Int J Oral Surg 1972;1:17-25. 

  11. Schlegel KA, Lang FJ, Donath K, Kulow JT, Wiltfang J. The monocortical critical size bone defect as an alternative experimental model in testing bone substitute material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6;102:7-13. 

  12. Shapurian T, Damoulis PD, Reiser GM, Griffin TJ, Rand WM. Quantitative evaluation of bone density using the Hounsfield index.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6;21:290-7. 

  13. McCullough EC.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quantitative information from a CT scanner. Radiology 1977;124:99-107. 

  14. Kim CH, Jung JI. Study for hounsfield units in computed tomogram with jaw lesion. J Korea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6; 32:391-6. 

  15. Huh JY, Choi BH, Kim BY, Lee SH, Zhu SJ, Jung JH. Critical size defect in the canine mandibl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5;100:296-301. 

  16. Cha SK, Kim IK, Oh SS, Choi JH, Oh NS, Lim YI, et al. Clinical study of cyst in the jaw. J Koreaa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1;27:167-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