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 생약재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y by Fermented Products of Some Medicinal Plan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6 = no.122, 2010년, pp.940 - 947  

차재영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양현주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정재준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서원석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박준석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옥민 ((주)미애부 발효과학연구소)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한방 생약재의 생리활성 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40종의 한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시켜 얻은 발효 한방액의 phenolics, flavonoids, minerals,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 함량과 항산화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 하였다.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물에서 Corydalis turtschaminovill 0.24%~Syringa velutina 11.42% (건물기준) 범위 였으며, 발효 한방액에서는 Poria cocos 0.18%~S. velutina 12.27% 범위였다. 한방 생약재 추출물의 코직산 함량은 Poria cocos Sclerotium 0.02~S. velutina 9.67 mM 범위였으며, 발효액에서는 P. cocos 0.33~S. velutina 10.32 mM 범위였다. 특히 Syringa velutina은 높은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과 코직산을 함유하고 있었는데 추출물 보다는 발효액에서 더 높았다. 높은 항산화 활성(>60%)은 A. sessiliflorum, Citrus nobillis 및 Angelica gigas의 추출물과 A. sessiliflorum의 발효액에서 다른 한방 생약재 보다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의 높은 저해 활성(>50%)은 Morus alba, Glycyrrhiza glabra 및 Rubus coreanus 추출물과 G. glabra, Cnidium officinale 및 S. velutina 발효액에서 높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 40종의 한방 생약재 중에서 G. glabra, C. officinale 및 S. velutina 3종은 발효에 의해 tyrosinase 저해 활성과 코직산이 증가함으로서 이를 활용한 기능성 미백 화장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해주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fermented products from 40 medicinal herbals commonly available in Korea were examined according to concentra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 and kojic acid, and the activities of DPPH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도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40종의 한방 생약재를 중심으로 천연물 유래의 미백 기능성 소재 탐색과 발효 기술의 적용으로 새로운 효능과 안전성이 뛰어난 기능성 미백 화장품 개발의 일환으로 생리활성물질, 항산화 효과, tyrosinase 활성 억제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이란? 멜라닌은 피부, 머리카락, 눈동자 등 생물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색소 성분으로 인체 내에서는 표피층의 melanocyte라는 색소세포 내의 melanosome에서 합성되는데, tyrosine을 전구물질로 tyrosinase 효소에 의해 DOPA (3,4-dihydroxy-phenylalanine) 또는 DOPA quinone으로 산화 및 중합 반응에 의해 멜라닌이 생합성 된다[30]. 이때 생성된 멜라닌이 피부색을 검게 하므로 tyrosinase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는 실험이 미백 효과를 찾아내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13,16].
멜라닌은 인체 내 어디에서 합성되는가? 멜라닌은 피부, 머리카락, 눈동자 등 생물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색소 성분으로 인체 내에서는 표피층의 melanocyte라는 색소세포 내의 melanosome에서 합성되는데, tyrosine을 전구물질로 tyrosinase 효소에 의해 DOPA (3,4-dihydroxy-phenylalanine) 또는 DOPA quinone으로 산화 및 중합 반응에 의해 멜라닌이 생합성 된다[30]. 이때 생성된 멜라닌이 피부색을 검게 하므로 tyrosinase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는 실험이 미백 효과를 찾아내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13,16].
폴리페놀 화합물 중 특히 높은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폴리페놀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로서 flavonoid, catechin, tannin 류로 크게 구분된다. 특히, 페놀성 화합물들은 전자공여능이 있어 높은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e, N., T. Murata, and A. Hirota. 1998. Novel DPPH radical scavengers, bisorbicillinol and demethyltrichodimerol, from a fungus.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661-666. 

  2. Bentley, R. 1957. Preparation and analysis of kojic acid. Meth. Enzymol. 3, 238-241. 

  3. Cabanes, J., S. Chazarra, and F. Garcia-Carmona. 1994.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 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46, 982-985. 

  4. Cha, J. Y., H. J. Kim, C. H. Chung, and Y. S. Cho.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5. Cha, J. Y., H. Y. Ahn, K. E. Eom, B. K. Park, B. S. Jun, and Y. S. Cho.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Aralia elata shoot and leaf extracts. J. Life Sci. 19, 652-658. 

  6. Cho, H. O., J. H. Lee, S. H. Cho, and Y. H. Choi. 1976. Approach to the extraction method on minerals of ginseng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8, 95-106. 

  7. Choi, U. D., H. Shin, Y. S. Chang, and J. I. Shin. 1992.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antioxidant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8. Choi, Y. M., J. B. Gu, M. H. Kim, and J. S. Lee. 2008.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thirty Korean medicinal plants. Food Sci. Biotechnol. 17, 1235-1239. 

  9. Duncan, D. B. 1959.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 1-42. 

  10. Hwang, E. Y., Y. H. Kang, Y. C. Lee, Y. C. Kim, Y. C. Kim, K. M. Yoo, Y. O. Jo, and S. Y. Choi. 2006.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contents between white and red ginseng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biosynthesis. J. Ginseng Res. 30, 82-87. 

  11. Jee, S. O.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the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2, 145-151. 

  12. Jung, A. Y., K. G. Lee, M. J. Kwun, and K. H. Row. 2003. Separation of glabridin from Licorice by RP-HPLC.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 408-411. 

  13. Jung, S. W., N. K. Lee, S. J. Kim, and D. S. Han.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14. Kim, C. H., M. C. Kwon, H. G. Han, C. S. Na, H. G. Kwak, G. P. Choi, U. Y. Park, and H. Y. Lee. 2008. Skin-whitening and UV-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on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 255-260. 

  15. Kim, E. Y., I. H. Baik, J. H. Kim, S. R. Kim, and M. 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6. Kim, S. J., M. Y. Heo, K. H. Bae, S. S. Kang, and H. P. Kim. 2003.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 (III): Fifty Korean indigenous plants. J. Applied Phamacol. 11, 245-248. 

  17. Kim, Y. K., Q. Guo, and L. Packer. 2002.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ed ginseng aqueous extracts. Toxicology 172, 149-156. 

  18. Lee, J. H. and S. R. Lee.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n Korea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19. Lee, S., W. G. Kim, E. Kim, I. J. Ryoo, H. K. Lee, J. N. Kim, S. H. Jung, and I. D. Yoo. 2005. Synthesis and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of (+/-)-terrein produced by Penicillium sp. 20135. Bioorg. Med. Chem. Lett. 15, 471-473. 

  20. Masamoto, Y., H. Ando, Y. Murata, Y. Shimoishi, M. Tada, and K. Takahata. 2003.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sculetin isolated from seeds of Euphorbia lathyris L.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631-634. 

  21. Mishima, Y., S. Hata, Y. Ohyama, and M. Inazu. 1988. Induction of melanomagenesis suppression cellular pharmacology and mode of differential action. Pigment Cell Res. 1, 367-374. 

  22. Oh, S. L., S. S. Kim, B. Y. Min, and D. H. Chung.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23. Park, S. S., Y. B. Ryu, Y. H. Lee, Y. U. Cho, S. J. Cho, Y. J. Choi, K. H. Park, and S. W. Gal. 2007.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by mycelial cul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ulberry leaf extract. J. Life Sci. 17, 816-821. 

  24. Rosfarizan, M. and A. S. Ariff. 2006. Kinetics kojic acid fermentation by Aspergillus flavus link S44-1 using sucrose as a carbon source under different pH conditions. Biotech. Bioprocess Eng. 11, 72-79. 

  25. Shon, M. Y. 2007.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oria cocos and Machilus thunbergii fermented with mycelial mushrooms. Food Indus. Nutr. 12, 51-57. 

  26. Sim, G. S., J. H. Kim, B. C. Lee, D. H. Lee, G. S. Lee, and H. B. Pyo. 2008.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of Sedum sarmentosum. Yakhak Hoeji 52, 165-171. 

  27. Swain, T., W. E. Hillis, and M. Ori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28. Yoo, J. H., J. Y. Cha, Y. K. Jeong, K. T. Chung, and Y. S. Cho.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pine (Pinus denstifora) needle extracts. J. Life Sci. 14, 863-867. 

  29. You, J. K., M. J. Chung, D. J. Kim, D. J. Seo, J. H. Park, T. W. Kim, and M. Choi. 2009.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Paeonia suffruticosa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92-296. 

  30. Vile, G. F. and R. M. Tyrrell. 1995. UVA radiation-induced oxidative damage to lipid and protein in vitro and in human skin fibroblast is dependent on iron and singlet oxygen. Free Radical Biol. Med. 18, 721-7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