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방법에 따른 잎담배 종류별 휘발성 향기성분 특성비교
Comparis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different tobacco type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연초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v.32 no.2, 2010년, pp.77 - 87  

이장미 (KT&G 연구원) ,  이정민 (KT&G 연구원) ,  이창국 (KT&G 연구원) ,  복진영 (KT&G 연구원) ,  황건중 (KT&G 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ditional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SDE) and solid-phase micro extraction(SPME) methods using GC/MS were compared for their effectiveness in the extrac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different tobacco leaves types(flue-cured, burley, oriental).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잎담배 품종에 따른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어지는 정유성분의 추출방법인 SDE법과 SPME법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연기 향끽미에 관여하는 원료 잎담배 향미 성분의 분석법 정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원료엽의 향끽미 특성을 구명하여 제품담배의 끽미를 예측하여 향기성분과 관능특성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잎담배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을 위한 최적의 fiber를 찾기 위해 fiber 고정상 극성 정도에 따라 세 종류의 fiber를 비교 실험하였다. 10개의 대표적인 잎담배 휘발성 향기성분의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우선 비극성(non-polar) 고정상 fiber인 PDMS(Polydimethylsiloxane)와 극성(polar) 고정상 fiber인 PA(Polyacrylate), 그리고 극성과 비극성 성분을 모두 갖고 있어 다양한 범위의 분석물질 추출이 가능한 PDMS/DVB(Polydimethylsiloxane/Divinylbenzene) fiber 종류별로 3분간 흡착, 2분간 탈착시간으로 하였고 그 이외는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비교 실험한 결과를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eophytadiene란 무엇인가? 많은 담배과학자들(Matsushima, 1979)이 담배연기성분을 질소화합물, 휘발성 성분, 비휘발성 성분으로 분류하고 이들 각 성분의 잎담배 품종에 따른 차이를 조사한 바 있다. 원료 잎담배의 많은 성분들이 담배의 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어지고 있으며 그 중 neophytadiene은 담배의 diterpene 화합물로서 담배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휘발성 입자들과 함께 담배의 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Leffingwell, 1977) 그 외에도 megastigmatrienone, fanesol, phytol, solanone 등의 화합물이 담배의 향과 깊은 관련이 있는 성분들로 보고되고 있다.
neophytadiene의 역할은? 많은 담배과학자들(Matsushima, 1979)이 담배연기성분을 질소화합물, 휘발성 성분, 비휘발성 성분으로 분류하고 이들 각 성분의 잎담배 품종에 따른 차이를 조사한 바 있다. 원료 잎담배의 많은 성분들이 담배의 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어지고 있으며 그 중 neophytadiene은 담배의 diterpene 화합물로서 담배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휘발성 입자들과 함께 담배의 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Leffingwell, 1977) 그 외에도 megastigmatrienone, fanesol, phytol, solanone 등의 화합물이 담배의 향과 깊은 관련이 있는 성분들로 보고되고 있다.
동시증류추출법의 장점은?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동시증류추출(simultaneous distillation & extraction, SDE)법, 용매추출(solvent extraction, SE)법, Headspace법, 고체상미량추출(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법 등이 있다. SDE법은 소량의 용매로 추출하면서 비교적 향기의 손실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시료를 추출하는 동안 고온을 유지해야 하므로 주요 성분들이 열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열에 안정된 시료인 경우에는 SDE법이 많이 이용되는 반면, SPME법은 분석 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양의 시료로 간단히 전처리 할 수 있어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처리 시에 시료의 특성에 따라 추출온도, 추출시간, fiber의 종류나 코팅된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서 선택적인 추출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분석법 개발에도 이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Elena E. S. (2007) Sampling volitile compounds from natural products with headspace / solid-phase micro extraction. J. Biochem. Biophys. Methods. 70: 235-242. 

  2. Fumin Peng, et al. (2004) Comparison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steam distillation,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nd headspace co-distillation,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volatile components in aged flue-cured tobacco leave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1040, 1-17. 

  3. Hasebe, H., et al. (1999) The quality estimation of different tobacco types examined by headspace vapor analysis, Beitrage Zur Tabak, Inter. 18(5): 213-222. 

  4. Jibao Cai, et al. (2001) Comparison of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and solid-spase microextrac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volitile flavor component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930. 1-7. 

  5. Leffingwell, J.P. (1977) Nitrogenous compounds of leaf and their realtionship to smoke quality and aroma. Proc. Tob. Chem Res. Conf. 30th, 1-40. 

  6. Loughrin, J. H., Hamilton-Kemp, T. R., Anderson, R. A. and Hildebrand D. F. (1990) Headspace compounds from flowers of Nicotiana tabacum and related species. J. Agric. Food Chem. 38: 455-60. 

  7. Matsushima, S., Ishiguro, S. and Sugawara, S. (1979) Composition studies on some varieties of tobacco and their smoke, Beitr. Tabakforsch Int. 10(1) : 121-126. 

  8. Mookherjee, B. D. and Wilson, R. A. (1988) Tobacco constituents - Their importance in flavor and fragrance chemistry Rec. Adv. Tob. Sci. Vol. 14, Chemical and sensory aspects of tobacco flavor, 42nd TCRC, 49-78. 

  9. Roberts, D. L. (1988) Natural Tobacco Flavor. Rec. Adv. Tob. Sci. Vol 14, Chemical and sensory aspects of tobacco flavor, 42nd TSRC, 114-158. 

  10. Schultz, T. H. Flath, R. A., Mon, T. R., Eggling, S. B. and Teranishi, R. (1977)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25: 446-449. 

  11. S.S.Yang, et al. (2002) Optimization of headspace sampling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for volitile components in tobacco. Journal of Chromatography A 942: 33-39. 

  12. Stephen B. S. and David L. A. (1999) Solid-phase microextraction of alkenylbenzenes and other flavor-realted compounds from tobacco for analysis by selected ion monitor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858: 79-89. 

  13. Weeks, W. W. (1985) Chemistry of tobacco constituents influencing flavor and aroma. Rec. Adv. tob. Sci. 11: 175-200. 

  14. 김신일, 오영일, 허일 (1983) 잎담배의 중요 휘발성 정유성분 분석. 한국연초학회지 5(2) : 47-54 

  15. 정기택, 안대진, 이종률, 제병권 (2004) 황색종 잎담배의 숙성기간이 색상, 화학성분 및 끽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초학회지 26(1) : 27-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