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산식품과 채소에서 Vibrio parahaemolyticus 검출을 위한 배지배양법과 real-time PCR의 비교검증

Comparison of the Standard Culture Method and Real-time PCR for the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foods and Vegetables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3 = no.211, 2010년, pp.355 - 360  

천정환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  현지연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  황인균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미생물팀) ,  곽효선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미생물팀) ,  한정아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미생물팀) ,  정윤희 (한국소비자원 시험검사소) ,  송광영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  서건호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V. parahaemolyticus는 국내에서 여름과 가을철에 걸쳐 발생되며 생선이나 패류 등의 해산식품을 날것으로 섭취하거나 불완전하게 익혀 먹을 경우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 검출기법인 배지배양법을 이용한 V. parahaemolyticus의 검출과 real-time PCR을 이용한 V. parahaemolyticus의 검출에 있어서 그 유효성과 효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V. parahaemolyticus의 발생기록과 발생가능성이 있는 여러 해산식품과 무순에 적절한 균량을 접종하고 APW로 증균배양하였다. 증균배양이 끝난 후 TCBS선택배지에 배양액을 획선도말하고, 동시에 증균배양액에서 1 mL을 채취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TCBS에서 초록색이 나온 집락을 1-3개 선별하여 TSI 배지에 접종하여 screening test를 거친 후 API 20NE strip을 사용하여 확인동정하였다. 또한 정상세균총이 목적균의 성장과 검출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25 g의 식품 내 정상세균총의 수준을 함께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자체 제작한 real-time PCR 서열은 V. parahaemolyticus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고 검출 한계는 PBS에서 $10^3\;CFU/mL$ 였다. 또한, 식품 내 정상세균총이 높을 경우 증균배양 시 목적균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Real-time PCR은 180개의 전체 샘플 중 76개의 양성 결과를 보여 66개의 양성 결과를 낸 배지배양법에 비해 더 많은 양성 검출율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차는 발견되지 않았다. Real-time PCR은 표준검출법인 배지배양법과 비교해 볼 때 동등하거나 우수한 검출력을 지닌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realtime PCR법은 24시간 이내에 확정동정까지 가능하여 시간과 노동력의 소모가 많은 배지배양법에 앞서 선별검사로 사용할 경우 시간, 비용, 노동력 절감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brio parahaemolyticus (V. parahaemolyticus), which is commonly found in raw seafood, causes gastroenteritis in humans. Rapid and effective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s culture methods require up to 5-7 days. In this study, real-time PCR was compared with the standard culture method for detect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eal-time PCR을 통한 장염비브리오의 검출은 효율성과 감도가 좋은 우수한 검출기법으로 사료되나 실제 식품에서 배지배양법에 비교하여 검출능력과 검출감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비교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eal-time PCR과 표준검출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배지배양법을 비교검증하여 실제 식품에서 real-time PCR의 검출감도와 검출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식품의 성상과 정상세균총의 수준이 다른 다양한 식품샘플에 대해 실험하였으며, 두 방법간의 정확한 통계학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총 20개의 샘플 중에서 부분양성과 부분음성이 나와 양성검출율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실험을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TaqMan® real-time PCR을 이용한 V. parahaemolyticus의 검출을 통해 real-time PCR이 표준검출기법으로 사용되는 배지배양법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검출 능력을 지니는지 알기 위해 두 방법간의 비교검증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 parahaemolyticus 이란 무엇인가? V. parahaemolyticus는 국내에서 여름과 가을철에 걸쳐 발생되며 생선이나 패류 등의 해산식품을 날것으로 섭취하거나 불완전하게 익혀 먹을 경우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 검출기법인 배지배양법을 이용한 V.
V.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V.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은 주로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 어패류나 갑각류 등의 해산물을 날것으로 혹은 부적절하게 조리하여 섭취하는 경우 발생하며(3,4) 조리기구 및 해산물과 함께 섭취되는 채소류 등에서 교차오염 되는 경우도 있다(5,6). 보통 수온이 높은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발생하는데 국내의 경우 해산물에서 V.
real-time PCR기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real-time PCR은 독소유전자를 이용해서 병원성 장염비브리오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1). V.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oseph SW, Cowell RR, Kaper JB. Vibrio parahaemolyticus and related halophilic vibrios. Crit. Rev. Microbiol. 10: 77-123 (1983) 

  2. Su YC, Liu C. Vibrio parahaemolyticus: A concern of seafood safety. Food Microbiol. 24: 549-558 (2007) 

  3. Morris JG. Cholera and other types of vibriosis: A story of human pandemics and oysters on the half shell. Clin. Infect. Dis. 37: 272-280 (2003) 

  4. DePaola A, Hopkin LH, Peeler JT, Wentz B, McPhearson RM. Incide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US coastal waters and oysters. Appl. Environ. Microb. 56: 2299-2302(1990) 

  5. Jung SH, Hur MJ, Ju JH, Kim KA, Oh SS, Go JM, Kim YH, Im JS.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J. Food Hyg. Safety, 21: 250-257 (2006) 

  6. Kim MH, Shin WS.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and cooked foods in middle and high school food service establish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43-1356 (2008) 

  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 Drug Statistical Yearbook for 2009.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index.kfda?mid96&pageNo1&seq7181&cmdv, Accessed Nov. 10, 2009. 

  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safefood.kfda.go.kr/RS/food_menu.jsp, Accessed Nov. 21, 2009. 

  9. Ward LN, Bej AK.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shellfish by use of multiples real-time PCR with $TaqMan^{\circR}$ fluorescent probes. Appl. Environ Microb. 72: 2031-2042 (2006) 

  10. Yang C, Jiang Y, Huang K, Zhu C, Yin Y. Application of realtime PCR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in poultry, milk, and environmental water. FEMS Immunol Med Mic. 38: 265-271 (2003) 

  11. Nordstrom JL, Vickery MC, Blackstone GM, Murray SL, DePaola A. Development of a multiplex real-time PCR assay with an internal amplification control for the detection of total and pathogenic Vibrio parahaemolyticus bacteria in oysters. Appl. Environ Microb. 73: 5840-5847 (2007) 

  12. Honda T, Iida T. The pathogenic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the role of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and related hemolysins. Rev. Med. Microbiol. 4: 106-113 (1993) 

  13. Hondo S, Goto I, Minematsu I, Ikeda N, Asano N, Ishibashi M, Kinoshita Y, Nishibuchi N, Honda T, Miwatani T. Gastroenteritis due to Kanagawa negative Vibrio parahaemolyticus. Lancet 1: 331-332 (1987) 

  14. Dileep V, Kumar HS, Kumar Y, Nishibuchi M, Karunasagar I, Karunasagar I. Applicati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the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associated with tropical seafoods and coastal environment. Lett. Appl. Microbiol. 36: 423-427 (2003) 

  15. Kim YB, Okuda J, Matsumoto C, Takahashi N, Hashimoto S, Nishibuchi M. Ide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at the species level by PCR targeted to the tox R gene. J. Clin. Microbiol. 37: 1173-1177(1999) 

  16. Thompson CA, Vanderzant C. Serological and hemolytic characteristics of Vibrio parahaemolyticus from marine sources. J. Food Sci. 41: 150-151(1976) 

  17. Kawatsu K, Ishibashi M, Tsukamoto T.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rapid, simple, and sensitive immunochromatographic assay to detect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produced by Vibrio parahaemolyticus in enrichment cultures of stool specimens. J. Clin. Microbiol. 44: 1821-1827 (2006) 

  18. Blackstone GM, Nordstrom JL, Vickery MC, Bowen MD, Meyer RF, DePaola A. Detection of pathogenic Vibrio parahaemolyticus in oyster enrichment by real-time PCR. J. Microbiol. Methods 53: 149-155 (2003) 

  19. Hyeon JY, Hwang IG, Kawk HS, Park JS, Heo S, Choi IS, Park CK, Seo KH. Evaluation of an automated ELISA and real-time PCR by comparing with a conventional culture method for the detection of Salmonella spp. in steamed pork and raw broccoli sprouts.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9: 506-512 (2009) 

  20. Seo KH, Brackett RE. Rapid, specific detection of Enterobacter sakazakii in infant formula using a real-time PCR assay. J. Food Protect. 68: 59-63 (2005) 

  21. Vold L, Holck A, Wasteson Y, Nissen H. High levels of background flora inhibits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ground beef. Int. J. Food Microbiol, 56: 219-225 (2000) 

  22. Malorny B, Paccassoni E, Fach P, Bunge C, Martin A, Helmuth R. Diagnostic real-time PCR for detection of Salmonella in food. Appl. Environ Microb. 70: 7064-7052 (2004) 

  23. Bolinches J, Romalde JL, Toranzo AE. Evaluation of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vibrios from estrarine waters. J. Microbiol. Meth. 8: 151-160 (1988) 

  24. Alam MJ, Tomochika K, Miyoshi S, Shinoda S. Analysis of seawaters for the recovery of culturable Vibrio parahaemolyticus and some other vibrios. Microbiol. Immunol. 45: 393-397 (2001) 

  25. Bottone EJ, Robin T. Vibrio parahaemolyticus: Suspicion of presence based on aberrant biochemical and morphologicsl features. J. Clin. Microbiol. 8: 760-763 (19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