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w quality fresh ginseng was fermented by Pheliuus linteus mycelium at $22^{\circ}C$ for 30 days, then extracted by water solvent at $100^{\circ}C$ for 180 min. On human normal cell lines (HEK293), cytotoxicity was about 10% lower in adding extracts of the fermentation ginse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은 Blois 등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 5 ㎖ 혼합하여 25℃에서 20분 동안 암실에 방치 한 후 52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대조구에 대한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 Fig. 4는 상황 균사체를 이용한 수삼 발효물의 열수 및 초음파 추출 공정을 통한 추출물의 HPLC 분석 결과로, 수삼 열수 추출물을 대조군으로 정하여 상황 버섯을 이용한 발효삼을 일반 수삼 추출물과 비교함으로써 균사체 발효를 통한 수삼에 존재하는 유용성분의 증감 및 본래 수삼에 존재하지 않던 성분의 생성 유무를 알아보았다.
  • 상황버섯 균사체에 의해 발효된 파삼과 일반 파삼 추출물의 Ginsenosdie 성분을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PLC 분석을 위해 시료를 수포화 부탄올 추출법을 통해 전처리한 후 Methanol에 충분히 용해시켜 0.45 ㎛ Filter로 여과한 다음 시료 주입량을 20 ㎕로 하여 ginsenosdie를 분석하였다. Ginsenoside 분석에 사용된 HPLC는 Alltech binary gradient HPLC system model 627 (Alltech associateds, Inc.
  • , 1981). 따라서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된 수삼의 페놀 함량 변화가 생리활성에 기초적인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일반 수삼과 발효삼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Table 2에 비교하였다. 일반 수삼의 경우 6.
  • 제공받은 발효인삼을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 추출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된 열수 추출은 수직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추출 플라스크에 시료 중량의 10배수 증류수를 용매로 100℃에서 60분 추출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하여 회전 감압 농축기 (Rotary vaccum evaporator N-N series, Eyela, Tokyo, Japan)로 여과 후 감압 농축과 동결건조를 거쳐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파우더 상태의 추출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품성이 떨어지는 파삼을 기질로 하여 생리 활성 작용이 좋은 버섯 균사체를 접종시켜 배양하였다. 이러한 발효로 인해 고분자 구성성분과 연결되어 있어 인체 내 흡수 시 수용 정도가 비효율적이며, 체내 흡수가 용이하지 못하여 물리, 화학적인 작용이나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필요하였던 인삼의 주요 활성성분인 ginsenoside의 생물학적 변환을 유도하여 인삼 본래의 유용 성분의 약리적 효과가 증가되거나 또는 버섯과 인삼의 생리활성 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새로운 생리활성 성분의 창출에 기인한 생리활성 증진효과를 기대하였다.
  • 총 페놀의 함량은 Folin-Denis 방법에 의하여 비색정량하여 측정하였다. 분말형태의 상황버섯 균사체에 의해 발효된 파삼과 일반 파삼 추출물을 메탄올에 10 ㎎/㎖로 용해한 용액1 ㎖과 Folin 시약을 1 ㎖을 혼합한 뒤 3분간 정치하여 발색시킨 후 1 ㎖의 10% Sodium carbonate 용액을 서서히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90분간 정치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76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0 ㎎/㎖로 조절하여 각각 100 ㎕ 씩 첨가한후 48시간 배양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하고 4℃, 10% (w/v) TCA (Trichloroacetic acid) 100 ㎕을 가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정치한 후 증류수로 5회 세척하여 TCA를 제거하고 실온 건조하였다. 건조된 plate의 각 well에 1% (v/v) acetic acid로 녹인 0.
  •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발효삼의 항암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유래 위암 세포주인 AGS, 대장암 세포주인 Caco2, 폐암 세포주인 A549와 자궁암 세포주인 MCF-7을 이용하여 농도별 추출물 첨가에 따른 암세포 저해 활성 및 선택적 사멸도를 측정하였다.
  • 상황버섯 균사체에 의해 발효된 파삼과 일반 파삼 추출물의 Ginsenosdie 성분을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PLC 분석을 위해 시료를 수포화 부탄올 추출법을 통해 전처리한 후 Methanol에 충분히 용해시켜 0.
  • SRB assay (Doll and Peto, 1983)는 세포의 단백질 염색을 통해 세포 증식 및 독성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실험에 앞서 상기 세포의 농도를 4~5 × 104 cells/㎖가 되도록 조절하여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100 ㎕ 씩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 (37℃, 5% CO2 incubator)하였다. 상황버섯 균사체에 의해 발효된 파삼과 일반 파삼 추출물의 최종 농도를 0.2, 0.4, 0.6, 0.8, 1.0 ㎎/㎖로 조절하여 각각 100 ㎕ 씩 첨가한후 48시간 배양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하고 4℃, 10% (w/v) TCA (Trichloroacetic acid) 100 ㎕을 가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정치한 후 증류수로 5회 세척하여 TCA를 제거하고 실온 건조하였다.
  • 4% (w/v) SRB 용액을 100 ㎕ 씩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시킨 후 결합되지 않은 SRB 염색액 제거를 위해 1% acetic acid로 4~5회 세척한다.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한 후 10 mM Tris buffer 100 ㎕를 첨가하여 염색액을 녹여낸 후 540 ㎚ 에서 Microplate reader (THERMO max,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 및 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을 계산하고, 각각의 시료 농도에서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에 대한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비를 Selectivity로 나타내었다.
  •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은 Blois 등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용매를 Ethanol로 하여 제조한 0.1 mM DPPH 용액 1 ㎖과 0.2, 0.4, 0.6, 0.8, 1.0 ㎎/㎖의 농도로 조절된 상황버섯 균사체에 의해 발효된 파삼과 일반 파삼 추출물을 0.5 ㎖ 혼합하여 25℃에서 20분 동안 암실에 방치 한 후 52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대조구에 대한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 음성 인삼 연구소에서 2008년에 재배된 4년근 파삼을 지원받아 음지의 서늘한 곳에서 자연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70%로 조절한 후 균사의 생육 영양원 5~15%를 첨가하여 고압멸균하였다. 상황버섯 액체 종균을 상기 제조된 인삼 기질 표면에 5~10% 고르게 분무하여 접종시킨 다음 22~23℃, 습도 70%에서 30일 동안 발효시킨 고체 발효물을 충주대학교로부터 지원받았다.
  • 본 연구에서는 상품성이 떨어지는 파삼을 기질로 하여 생리 활성 작용이 좋은 버섯 균사체를 접종시켜 배양하였다. 이러한 발효로 인해 고분자 구성성분과 연결되어 있어 인체 내 흡수 시 수용 정도가 비효율적이며, 체내 흡수가 용이하지 못하여 물리, 화학적인 작용이나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필요하였던 인삼의 주요 활성성분인 ginsenoside의 생물학적 변환을 유도하여 인삼 본래의 유용 성분의 약리적 효과가 증가되거나 또는 버섯과 인삼의 생리활성 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새로운 생리활성 성분의 창출에 기인한 생리활성 증진효과를 기대하였다.
  • 인간 유래 소화기계 암세포 주에 대한 농도별 발효삼 추출물의 항암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유래 위암 세포인 AGS에 대한 항암활성을 평가였다. 위암 세포에 대한 생육저해 활성과 selectivity를 측정한 결과 (Fig.
  • 이 혼합액을 90분간 정치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76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Gallic acid를 사용하여 구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당량으로 환산하여 시료 중의 총 페놀 함량을 구하였다(Cicco et al., 2009).

대상 데이터

  • Ginsenoside 분석에 사용된 HPLC는 Alltech binary gradient HPLC system model 627 (Alltech associateds, Inc., USA)이며, Column은 Prevail carbohydrate ES 5 µ, 250 × 4.6 ㎜, detector는 ELSD 2000ES (203 ㎚)을 사용하였다.
  •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Ginsenoside 분석에 사용한 Standard는 아름사이언스 (Yongin, Kore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의 세포배양 시 사용되는 RPMI1640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배지와 FBS (Fetal bovine serum) 은 GIBCO (Carlsbad, CA,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Hepes buffer, Gentamycin sulfate, Trypsin-EDTA는 SIGMA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Ginsenoside 분석에 사용한 Standard는 아름사이언스 (Yongin, Kore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은 인간 신장세포인 HEK293 (Human embryonic kidney cell, ATTC, Manassas, USA)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항암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암세포주로는 인간 유래 위암세포인 AGS (Human stomach adenocarcinoma, ATTC, Manassas, USA), 대장암세포인 Caco-2 (Human epithelial adenocarcinoma, ATTC, Manassas, USA), 유방암 세포인 MCF-7 (Human breast adenocarcinoma, ATTC, Manassas, USA), 폐암세포인 A549 (Human lung carcinoma, ATTC, Manassas, USA)를 이용하였다. 상기의 인간 전과립세포의 배양은 37℃, 5% CO2 조건하에서 10% heating inactivated FBS를 포함한 RPMI1640 배지를 이용하여 4~5세대 계대 배양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 음성 인삼 연구소에서 2008년에 재배된 4년근 파삼을 지원받아 음지의 서늘한 곳에서 자연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70%로 조절한 후 균사의 생육 영양원 5~15%를 첨가하여 고압멸균하였다. 상황버섯 액체 종균을 상기 제조된 인삼 기질 표면에 5~10% 고르게 분무하여 접종시킨 다음 22~23℃, 습도 70%에서 30일 동안 발효시킨 고체 발효물을 충주대학교로부터 지원받았다. 제공받은 발효인삼을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 추출에 사용하였다.
  •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은 인간 신장세포인 HEK293 (Human embryonic kidney cell, ATTC, Manassas, USA)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항암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암세포주로는 인간 유래 위암세포인 AGS (Human stomach adenocarcinoma, ATTC, Manassas, USA), 대장암세포인 Caco-2 (Human epithelial adenocarcinoma, ATTC, Manassas, USA), 유방암 세포인 MCF-7 (Human breast adenocarcinoma, ATTC, Manassas, USA), 폐암세포인 A549 (Human lung carcinoma, ATTC, Manassas, USA)를 이용하였다. 상기의 인간 전과립세포의 배양은 37℃, 5% CO2 조건하에서 10% heating inactivated FBS를 포함한 RPMI1640 배지를 이용하여 4~5세대 계대 배양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 상황버섯 액체 종균을 상기 제조된 인삼 기질 표면에 5~10% 고르게 분무하여 접종시킨 다음 22~23℃, 습도 70%에서 30일 동안 발효시킨 고체 발효물을 충주대학교로부터 지원받았다. 제공받은 발효인삼을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 추출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된 열수 추출은 수직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추출 플라스크에 시료 중량의 10배수 증류수를 용매로 100℃에서 60분 추출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하여 회전 감압 농축기 (Rotary vaccum evaporator N-N series, Eyela, Tokyo, Japan)로 여과 후 감압 농축과 동결건조를 거쳐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파우더 상태의 추출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Microsoft excel의 student t-test에 의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각 실험 결과는 triplicate determinations에 의한 Mean ± standard deviation (SD)로 표시하였으며, 각 평균치 간의 차이는 student t-test에 의해 P < 0.
  • 또한 각 실험 결과는 triplicate determinations에 의한 Mean ± standard deviation (SD)로 표시하였으며, 각 평균치 간의 차이는 student t-test에 의해 P < 0.001, P < 0.005, P <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총 페놀의 함량은 Folin-Denis 방법에 의하여 비색정량하여 측정하였다. 분말형태의 상황버섯 균사체에 의해 발효된 파삼과 일반 파삼 추출물을 메탄올에 10 ㎎/㎖로 용해한 용액1 ㎖과 Folin 시약을 1 ㎖을 혼합한 뒤 3분간 정치하여 발색시킨 후 1 ㎖의 10% Sodium carbonate 용액을 서서히 가하였다.
  • 항산화 활성 측정법 중의 하나인 DPPH 전자공여능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측정 방법을 통해 발효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Blois, 1958). DPPH는 안정한 free radical로서 이 홀전자로 인해 상자성 (Paramagnetism)을 띄게 되며 전자나 hydrogen radical을 받아들여 안정화시키기 쉽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류는 일반적으로 어떤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가? 반면 최근 새로운 식량자원의 개발과 유용물질의 생산을 위해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로서 버섯류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 소재 및 각종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신약개발 소재로써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버섯류는 일반적으로 고분자 다당체, 단백질, 아미노산,비타민, 미네랄, 무기질 등과 같은 인체에 중요한 각종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Genccelep et al., 2009), 약용버섯의 약리적 효능으로는 면역증강 작용에 의한 항암효과 (Liu et al.
인삼은 무엇인가? A. Mayer)은 수천 년간 사용되어진 대표적인 약용식물로서 오갈피나무과 (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 triterpenoid saponins을 비롯한 polyacetylenes, phenolic compounds, polysaccharide, peptidoglycans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Attele et al., 1999).
과학적으로 입증된 인삼의 약리작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1999). 또한 ginsenoside 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면역증강(Rivera et al., 2005), 암세포 증식 및 전이 억제 작용 (Lee et al., 1999), 항스트레스 (Kim et al., 2003), 항산화 (Kim et al., 2002), 기억 및 학습 능력 증진 (Wang et al., 2010) 등의 여러 가지 약리작용이 과학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동양 한방 뿐 아니라 현대의학에서도 의약품 및 기능성 보조식품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ttele AS, Wu JA and Yuan CS. (1999). Ginseng pharmacology: Multiple constituents and multiple actions. Biochemical Pharmacology. 58:1685-1693.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3. Chen JH and Ho CT. (1997). Antioxidant activities of caffeic acid and its related hydroxycinnamic acid compounds.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od Chemistry. 45:2374-2378. 

  4. Cho EJ, Oh JY, Chang HY and Yun JW. (2006). Production of exopolysaccharides by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a mushroom Tremella fuciformis. Journal of Biotechnology. 127:128-140. 

  5. Cicco N, T.Lanorte M, Paraggio M, Viggiano M and Lattanzio V. (2009). A reproducible, rapid and inexpensive folin-ciocalteu micro-method in determining phenolics of plant methanol extracts. Microchemical Journal. 91:107-110. 

  6. Cu Y, Wang GJ, Sun JG, Jia YW, Wang W, Xu MJ, Lv T, Zheng YT and Sai Y. (2009). Pharmacokinetic characterization of ginsenoside Rh2, an anticancer nutrient from ginseng, in rats and dog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7:2257-2268. 

  7. Doll and Peto R. (1983). The cause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66:1191-1308. 

  8. Rivera E, Pettersson F.E, Inganas M, Paulie S and Gronvik KO. (2005). The Rb1 fraction of ginseng elicits a balanced Th1 and Th2 immune response. Vaccine. 23:5411-5419. 

  9. Genccelep H, Uzun Y, Tuncturk Y and Demirel K. (2009). Determination of mineral contents of wild-grown edible muchrooms. Food Chemistry. 113:1033-1036. 

  10. Han BH, Park MH and Han YN. (1981). Studies on the antioxidant compound of Korean ginseng (III). Identification of phenilic acid.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4:53-58. 

  11. Han ST, Whang WK, Kim IH, Yang BW, Cho SH and Ko SK. (2005). Analysis of ginsenosides of black ginseng. Yakhak Hoeji. 49:490-494. 

  12. Jang KH, Shin KO and Kim SD. (2005). Free amino acid and polysaccharide content of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Fomitopsis pinicola. Korean Journal of Food Presuemation. 12:379-386. 

  13. Jeong SC, Jeong YT, Yang BK, Islam R, Koyyalamudi SR, Pang G, Cho KY and Song CH. (2010). Whit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lower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in diabetic and hypercholesterolemic rats. Nutrition Research. 30:49-56. 

  14. Kim DH, Moon YS, Lee TH, Jung JS, Suh HW and Song DK. (2003). The inhibitory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the stressinduced plasma interleukin-6 level in mice. Neuroscience Letters. 353:13-16. 

  15. Kim GY, Choi GS, Lee SH and Park YM. (2004). Acidic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Phellinus linteus enhances through the up-regulation of nitric oxide and tumor mecrosis factor- $\alpha$ from peritoneal macrophag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5:69-76. 

  16. Kim SH, Song YS, Kim SK, Kim BC, Lim CJ and Park EH. (2004). Anti-inflammatory and relate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the n-BuOH subfraction of mushroom Phellimus linteu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3:141-146 

  17. Kim YK, Guo Q and Packer L. (2002).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ed ginseng aqueous extracts. Toxicology. 172:149- 156. 

  18. Lau KM, He ZD, Dong H, Fung KP and But PPH. (2002).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igustrum robustum.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83:63-71. 

  19. Lee HB, Kim HJ, Chong MS, Cho HE, Choi YH, Lim KS and Lee KN. (2008).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medical herbs and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and Cordyceps militaris by fermetation.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3:1-8. 

  20. Lee JJ, Shin DH, Park SE, Kim WI, Park DI, Choi YH and Hong SH. (2008). Euphorbiae humifusae sensitizes apoptosis of TRAIL-resistant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GS. Journal of Life Science. 18:120-128. 

  21. Lee KY, Park JA, Chung EA, Lee YH, Kim SI and Lee SK. (1996). Ginsenoside-Rh2 blocks the cell cycle of SK-HEP-1 cells at the G1/S boundary by selectively inducing the protein expression of p27kip1. Cancer Letters. 110:193-200. 

  22. Lee SJ, Sung JH, Lee SJ, Moon CK and Lee BH. (1999). Antitumor activity of a novel ginseng saponin metabolite in human pulmonary adenocarcinoma cells resistant to cisplatin. Cancer Letters. 144:39-43. 

  23. Lee YJ, Jin YR, Lim WC, Ji SM, Choi SH, Jang SY and Lee SK. (2003). A ginsenoside-Rh1, a component of ginseng saponin, activates estrogen receptor in human breast carcinoma MCF-7 cells.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 84:462-468. 

  24. Liu F, Ooi VEC and Fung MC. (1999). Analysis of immunomudulating cytokine mRNAs in the mouse induced by mushroom polysaccharides. Life Sciences. 64:1005-1011. 

  25. Manzi P, Marconi S. Aguzzi A and Pizzoferrato L. (2004). Commercial mushrooms : nutritional quality and effect of cooking. Food Chemistry. 84:201-206. 

  26. Park EM, Kim SJ, Ye EJ, Bae MJ and Jo KC. (2005). Effect of mycelia extracts of mushroom-cultured ginseng by-product on proliferation in cancer cell lin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od science and Nutrition. 34:323-329. 

  27. Park JG and Kim SW. (1998). Molecular study of aging by free radical. Journal of Basic Science. 9:103-114. 

  28. Ronald Han SS, Cho CK, Lee YW and Yoo HS. (2009). Antimetastatic and immunomodulating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various mushrooms. Journal of Acupuncture and Meridian Studies. 2:218-227. 

  29. Song YS, Kim SH, Sa JH, Jin CB, Lim CJ and Park EH. (2003). Anti-angiogenic, antioxidant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e mushroom Phellinus linteu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88:113-116. 

  30. Wang Y, Jiang RS, Li GR, Chen YH, Luo HM, Gao Y and Gao QP. (2010). Structural and enhanced memory activity studies of extracts from Panax ginseng root. Food Chemistry. 119:969-973. 

  31. Wong JY and Chye FY. (2009). Antioxidant properties of selected tropical wild edible mushrooms.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2:269-2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