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 마 추출물의 항산화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Effects of Extracts from Dried Yam on Antioxidant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9 = no.125, 2010년, pp.1365 - 1372  

장주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황성연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마를 건조 후 분말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건조 마 분말에 대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로 건조된 마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마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H_2O_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인체 암세포(HT1080 인체 섬유육종세포, HT-29 인체 결장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마는 항비만, 항변비, 항돌연변이, 혈당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활성이 있어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H_2O_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저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CFH-DA assay를 행하였다. 건조 마 A+M 추출물을 농도별로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억제시켰다. 각 분획물들 중 85% aq. MeOH 분획물은 다른 분획물과 비교하여 높은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인체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실험에서 A+M 및 MeOH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인체 섬유육종 및 결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마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n-hexane, 85% aq. MeOH 및 n-butanol (n-BuOH) 분획물들은 첨가농도 0.5 mg/ml 이상 처리했을 때 이들 두 암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로 부터 건조 마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마의 A+M 추출물이 MeOH 추출물에 비해 높았고, 분획물들의 경우에는 water 분획물을 제외한 분획물들의 암세포 억제 효과가 높았다. 특히 85% aq. MeOH 분획물은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뿐만 아니라 세포 내 활성산소종 감소시키는 효과가 높아 이들 분획물에 활성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yam on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growth of cancer cell lines (HT1080 human fibrosarc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Yam (Dioscoreacea) has been recognized as a healthy food due to its various biol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러한 과잉의 활성산소종의 제거 및 생체 내 항산화 방어 시스템의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약물이 아닌 천연성분에서 그 효능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온진공건조기를 도입하여 마를 건조 후 분말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건조된 마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마 추출물과 분획물들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 억제 및 인체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의 분포는? 마(산약, 山藥)는 백합목 마과(Dioscoreacea)의 다년생 덩굴식물로 현재까지 10속 650여 종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중 약 10여 종이 식량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1]. 한국, 일본, 중국지역과 열대,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전세계 생산량의 2/3가 적도 아프리카의 Yam belt에서 생산되어 아프리카 사람들의 중요한 식량자원이 되고 있다[13,22]. 약용작물로 분류되어있는 마(산약)의 경우, 국내 생산량은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2007년에는 8,043 M/T으로 현재까지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주로 경북 안동지역과 경남 진주지역에서 많은 양이 생산되고 있다.
마란? 마(산약, 山藥)는 백합목 마과(Dioscoreacea)의 다년생 덩굴식물로 현재까지 10속 650여 종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중 약 10여 종이 식량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1]. 한국, 일본, 중국지역과 열대,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전세계 생산량의 2/3가 적도 아프리카의 Yam belt에서 생산되어 아프리카 사람들의 중요한 식량자원이 되고 있다[13,22].
마는 한방에서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됐는가? 또한 특유의 끈끈한 점질물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주로 mannan으로 이루어진 식이섬유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mannan의 대부분은 아세틸화된 acetylmannan으로 수용성으로 알려져 있다[21,30]. 한편 마에 대해서는 삼국유사에도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래 전부터 식용의 대상이 되어 왔던 것으로 여겨지며, 예부터 한방에서는 산약이라 부르며 자양강장, 당뇨병, 폐결핵, 빈뇨 및 지사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유용 생리활성 물질에 의한 콜레스테롤 저하효과[15], 항당뇨[7,8], 혈당 강하[16], 지질분해효소 저해 활성[12] 및 항돌연변이 활성[19]과 항비만 및 배변 증대 활성을 나타내는 뮤신에 대한 연구[5,6]가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 H., K. H. Son, H. Y. Sohn, and S. T. Kwon. 2005. In vitro culture of adventitious roots from Dioscorea nipponica Makino for the production of steroidal saponins. Korean J. Plant Biotechnol. 32, 317-223. 

  2. Ciacco, C. F. and B. L. D’appolonia. 1977. Characterization of starches from various tubers and their use in bread-baking. Cereal Chem. 54, 1096-1107. 

  3. Denizot, F. and R. Lang.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lity. J. Immunol. Methods 89, 271-277. 

  4. Ha, Y. D., S. P. Lee, and Y. G. Kwak. 1998. Removal of heavy metal and ACE inhibition of yam mucil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51-756. 

  5. Han, Y. N., S. H. Hahn, and I. R. Lee. 1990. Purification of mucilages from Dioscorea batatas and D. japonica and their content analysis. Korean J. Pharmacogn. 21, 274-283. 

  6. Hironaka, K., K. Takada, and K. Ishilbashi. 1990. Chemical composition of mucilage of Chinese yam.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7, 48-51. 

  7. Kang, T. H., S. Choi, T. Lee, M. Son, and S. Y. Kim. 2008, Characteristics of antidiabetic effect of Dioscorea rhizome (1) - Hypoglycemic effect. Korean J. Food Nutr. 21, 425-429. 

  8. Kang, T. H., S. Choi, T. Lee, M. Son, J. Park, and S. Y. Kim. 2008. Characteristics of antidiabetic effect of Dioscorea rhizoma (2)-prevention of diabetic neuropathy by NGF induction. Korean J. Food Nutr. 21, 430-435. 

  9. Kim, J. I., H. S. Jang, J. S. Kim, and H. Y. Sohn. 2009.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oscorea batatas Decn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133-139. 

  10. Kim, K. K. 1999. Therm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by low temperature vacuum dryer. pp. 1-6, Proceedings of the KSME 1999 Spring Annual Meeting. 

  11. Kim, K. K., B. Y. Sung, H. S. Jung, S. Y. Choi, and S. B. Moon. 2000.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low temperature vacuum dryer for biological drying. J. Korean Soc. Marine Engineers 24, 427-434. 

  12. Kim, M. W. 2001. Effects of $H_2O$ -fraction of Dioscorea japonica Thunb and selenium on lipid peroxidation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44-352. 

  13. Kum, E. J., S. J. Park, B. H. Lee, J. S. Kim, K. H. Son, and H. Y. Sohn. 2006. Antifungal activity of phenanthrene derivatives from aerial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ne. J. Life Sci. 16, 647-652. 

  14. Kwon, C. S., H. Y. Sohn, S. H. Kim, J. H. Kim, K. H. Son, J. S. Lee, J. K. Lim, and J. S. Kim. 2003. Anti-obesity effect of Dioscorea nipponica Makino with lipase-inhibitory activity in roden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1451-1456. 

  15. Kwon, C. S., I. S. Son, H. Y. Shim, I. S. Kwun, and K. M. Chung. 1999. Effects of yam on lowering cholesterol level and its mechanism. Korean J. Food Nutr. 32, 637-643. 

  16. Kwon, E. G., E. M. Choe, and S. J. Gu. 2001. Effects of mucilage from yam (Dioscorea batatas Decne)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95-801. 

  17. Kwon, J. H., G. D. Lee, S. J. Lee, S. K. Chung, and J. U. Choi. 1998.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with freeze dring and hot air-drying of Dioscorea batat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08-913. 

  18. LeBel, C. P., H. Ischiropoulos, and S. C. Bondy. 1992. Evaluation of the probe 2', 7'-Dichlorofluorescin as an indicator of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and oxidative stress. Chem. Res. Toxicol. 5, 227-231. 

  19. Lee, I. S., S. Y. Chung, C. S. Shim, and S. J. Koo. 1995. Inhibitory effect of yam (Dioscorea batatas Decne) extracts on the mutagenicity. Korean J. Soc. Food Sci. 11, 351-355. 

  20. Lee, K. J., S. J. Hwang, J. H. Choi, and H. G. Jeong. 2008. Saponins derived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inhibit HT-1080 cell invasion and MMPs activities: Regulation of NF- ${\kappa}B$ activation via ROS signal pathway. Cancer Letters 268, 233-243. 

  21. Ohtani, K. and K. Murakami. 1991. Structure of mannan fractionated from water soluble mucilage of nagaimo (Dioscorea batatas Decne). Agric Biol. Chem., 55, 2413-2414. 

  22. Onayemi, O. 1986. Some chemic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processed yam. J. Food. Sci. 51, 161-164. 

  23. Ozo, O. N., J. C. caygill, and K. G. Coursey. 1984. Phenolics of five yam species. Pytochem. 23, 329-331. 

  24. Park, C. S., K. M. Yang, and M. L. Kim. 2006. Functional proper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720-727. 

  25. Pryored, W. A. 1984. Free radicals in biology. Academic Press. VI. 371. 

  26. Ryu, H. Y., K. H. Bae, E. J. Kum, S. J. Park, B. H. Lee, and H. Y. Sohn. 2007.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natural spices for Fresh-cut yam. J. Life Sci. 17, 652-657. 

  27. Shin, N. H. and S. J. Koo. 1998. Antimutagenic effect of dietary fiber from yam (Dioscorea batatas Decne) against 2-AF and MNNG. Korean J. Soc. Food Sci. 14, 333-338. 

  28. Shin, S. R. 2004.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yam snack by process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1, 516-521. 

  29. Tsuchiya, M., M. Suematsu, and H. Suzuki. 1994. In vivo visualization of oxygen radical-dependent photoemission. Methods Enzymol. 233, 128-140. 

  30. Tomoda, M., K. Ishikawa, and M. Yokoi. 1981. Plant mucilage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ucilage "Dioscorea-mucilage B" from the rhizophors of Dioscorea batatas. Chem. Pham. Bull. 29, 3256-32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