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주지역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식행동과 신체만족도 및 체중조절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Dietary Behaviors, Body Satisfaction and Factors Affecting the Weight Control Interest According to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Area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9, 2010년, pp.1295 - 1304  

김복란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김윤선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원주지역 중학생 446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비만도, 식행동 및 신체만족도, 그리고 체중조절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각각 $164.8{\pm}8.3\;cm$$55.5{\pm}12.3\;kg$이었고, 여학생은 $158.8{\pm}5.0\;cm$$48.7{\pm}7.4\;kg$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BMI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20.3과 19.3으로 나타났다. 하루 식사 중 세 끼를 다 먹는 경우는 남녀학생 모두 69.7%로 나타났으며, 식사를 거르는 경우는 남녀학생 모두 아침결식율(43%)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간식은 거의 대부분이 하루에 1번 이상 섭취(95.5%)하고 있었는데, 가공식품 구매 및 선택 시 영양표시를 읽는 지의 여부에 관해 '읽지 않는다'가 73.1%로 나타나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양표시를 읽지 않고 가공식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이섭취태도 전체점수는 여학생이 $35.08{\pm}5.91$점, 남학생이 $33.81{\pm}5.45$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는데(p<0.01),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고열량 및 지방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선호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식이자기효능감의 전체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이장애증상 전체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조사대상자의 87.2%가 정상군으로, 12.8%가 식이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남학생의 식이장애 위험군은 다른 연구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신체만족도는 여학생이 $28.00{\pm}5.52$점, 남학생이 $30.16{\pm}5.08$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신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각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식이자기효능감은 식이섭취태도와 양의 상관관계(r=0.398, p<0.01)를 나타내었으며, 신체만족도는 식이섭취태도와 양의 상관관계(r=0.117, p<0.05)를, 식이장애증상(r=-0.104, p<0.05)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성별, BMI, 식이섭취태도 및 식이자기효능감, 식이장애증상 그리고 신체만족도와 같은 변인들이 체중조절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러 독립변인들은 체중조절 관심도를 33.3% 설명해 주고 있으며, 신체만족도($\beta=-0.387$, p<0.001)가 체중조절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청소년들이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사방법과 자신의 신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형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식행동 및 신체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된다면 청소년들의 건강한 식사패턴과 이상체형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개선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MI, dietary behaviors, body satisfaction and factors affecting the weight control interest according to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195 boys and 251 girls) in Wonju area.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the boys were $164.8{\pm}8.3\;c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체중조절에 대한 식이행동과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고등학생과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이루어졌고 중학생 이하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므로 이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식행동과 신체만족도 및 체중조절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조사하여 청소년들이 자신의 신체에 대한 올바른 인식 및 식습관을 형성하여 무분별한 체중조절행동을 예방하고 올바른 체중조절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원주지역 중학생 446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비만도, 식행동 및 신체만족도, 그리고 체중조절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각각 1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무엇의 영향을 받아 영양섭취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급격한 성장과 성숙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균형 잡힌 영양공급과 규칙적인 생활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입시위주의 교육 제도,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불규칙한 식사와 결식,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의 잦은 섭취, 그리고 매스미디어를 통한 식품의 과대광고 등의 영향으로 영양섭취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실정이다(1-3). 또한 청소년들의 체격은 과거에 비해 향상된 반면 운동 장려를 위한 여가 및 체육시간 활용부족 등으로 신체활동량은 감소되고 있다(4).
청소년기의 체중조절 방법은 주로 어떤 것을 사용하는가? 8% 이상이 체중조절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15,16),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만족을 크게 지각함으로써 무리한 체중조절행위에 집착한다고 하였다(12). 체중조절 시도방법으로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절식, 단식 등 비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 또한 신체에 대한 불만족과 체중에 의존한 자기평가가 식이장애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11).
청소년의 비만은 어떤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가? 7배로 급격히 증가하였다(5). 청소년의 비만은 식행동, 간식 섭취실태, 생활태도, 식사관련 가정환경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6), 성인기의 고지혈증, 고혈압 등 생활습관병의 원인이 되고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심리적 위축, 자신감 상실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7). 한편 청소년기는 외모와 체형에 대한 관심도 높은 시기로 사회문화적으로 받아들여진 마른 체형을 선호함으로 인해 비만한 사람뿐만 아니라 정상·저체중인 사람들까지도 체중조절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8,9) 식사패턴이 부정적으로 형성되기 쉽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Kim BR. 2009.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 and food habit by fast food intake fre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area. J Korean Home Econo Edu Assoc 21: 19-33. 

  2. Kim KN, Park EJ. 2005. Nutrient density of fast-food consum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 in Cheongju city. Korean J Commu Nutr 10: 271-280. 

  3. Song SM. 2005. A study on the co-relationship of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food behavior, nutritional knowledge and obes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4. Lee KW. 2002. The study on direction of leisure education at the time of learning the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Korean J School Physical Edu 12: 23-32. 

  5.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6. Han YS, Joo NM. 2005.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adolescence obesity. Korean J Food Culture 20: 172-185. 

  7. Son SM, Lee KH, Kim KW, Lee YK. 2009.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2th ed. Life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 20, 375. 

  8. Lee JS, Yun JW. 2003. A study on perception about body imag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95-301. 

  9. Lee JS, Ha BJ. 2003. A study of th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ices in Gyeong-Nam. Korean J Commu Nutr 8: 171-180. 

  10. Park SH. 2001. A study on diet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 among normal or low-weight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J Korean Soc School Health 14: 115-130 

  11. Lee HJ, Rhie SG, Won HR. 2008. Weight, eating habits and dietary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girls with eating disorder. Korean J Commu Liv Sci 19: 283-295. 

  12. Kim YS, Kong SS. 2004. A study on weight-control behaviors, eating disorder symptoms and depression among female adolescents. J Korean Acd Psych Mental Health Nurs 13: 304-314. 

  13. Yoo HJ, Cho SM, Kim CY, Hong TY, Han OS. 1996. The epidemiology of eating disorders in Korean adolescents. Korean J Psycopathol 5: 130-137. 

  14. Paik YS, Ahn DH, Cho YG, Nam JH, Choi BY, Kang YJ, Koh BJ. 1999. A transcultural study of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among adolesc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8: 554-570. 

  15. Ryu HK. 1997. A survey of adolescents' concern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at Miryang city). Korean J Commu Nutr 2: 197-205. 

  16. Soh HK, Lee EJ, Choi BS. 2008.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body perception of middle school girls (the analysis of problems according to the body perception of middle school girls). Korean 

  17. Ryu HK, Yoon JS. 2000. A Comparative study of nutrition intakes and health status with body size and weigh control experience in adolescent females. Korean J Commu Nutr 5: 345-357. 

  18. Mansfield JL, Wade T. 2000. Assessing the relevance of the hopelessness theory of depression to women with disorders eating. Int J Eat Disord 28: 113-119. 

  19. Kim JY. 2006.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perception on body image, weight control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by body image satisfaction.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 Won HR. 2008. Relationships among eating behavior, dietary self 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Korean J Commu Liv Sci 19: 707-719 

  21. Kim WY, Cho MS, Lee H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36: 83-92. 

  22. Choi SJ. 1998. Dietary self-efficacy &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3. Garner DM, Garfinkel PE. 1979. The eating attitudes test, an index of the symptoms of anorexia nervosa. Psychol Med 9: 273-279. 

  24. Garner DM, Olmsted MP, Bohr Y, Garfinkel PE. 1982. The eating attitudes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 Med 12: 871-878. 

  25. Choi JH, Ahn DH, Nam JH, Cho YG, Choi BY. 1998. Reliability testing of eating attitude test for Korean adolescents. Korean J Child Adol Psychiatr 9: 91-97. 

  26. Mendelson BK, White DR. 1996. Self-esteem and body esteem: Effects of gender, age, and weight. J Appl Develop Psych 17: 321-346. 

  27. Cho JS. 1992.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bodyimage, physical attractiveness, body image distortion and self-esteem.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8. Jung YK. 2003. Predictive factors of body weight control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M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29.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8th ed. 

  30. Hur HK, Park SM, Kim GY, Song HY, Jeon EP. 2004. A comparative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BMI, body weight perception, body weight satisfaction and eat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Health Edu Promotion 21: 53-56. 

  31. Jo JI, Kim HK. 2008. Food habits and eating snack behaviors 

  32. Sung SH, Yu OK, Sohn HS, Cha YS. 2007. A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and obesity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95-1009. 

  33. Gail CR, Mark AP, Beverly LG, Judi A, Jordan DM. 2005. Breakfast habits, nutritional status, body weigh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05: 743-760. 

  34. Lee MS, Park YS, Hyun HJ, Song ES, Lee KA, Lee SY, Hyun TS, Kim HS, Yoon EY. 2007. Living topics diet for you. 2th ed. Kyomunsa, Seoul, Korea. p 207. 

  35.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 Dietetic Assoc 5: 215-224. 

  36. Park SH, Jung RW, Lee HG. 1991. The study on the state of health and dietary habits of boy's and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Sci 7: 67-80. 

  37. Kim KH, Lim YS. 1995.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 and the attitude about weight's control of the high school girls in Kangwondo. J Korean Home Econo Edu Assoc 7: 29-45. 

  38. Lee JE, Lee LH. 2006. Classification of eating disorder pattern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elf-body image, weight control behavior, and eating behavior.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7: 89-103. 

  39. Choi MY, Kim HY. 2008.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student's stage of regular breakfast of exercise. Korean J Commu Nutr 13: 653-662 

  40. Lee JS. 2003. The effects of gender, obesity rat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on the dietary self-efficacy of adolescents. Korean J Commu Nutr 8: 652-657. 

  41. Lee OH, Chang SO, Park MJ. 2008.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habi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27-1434. 

  42. Kim JH, Jung IK. 2007. A study on body image perception and eating disorders by gender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Home Econo Edu Assoc 45: 101-109. 

  43. Rhie SG, Jung EH, Won HR, Kang HY. 2009. The study on the weight, food group intake and tendency of eating disorder of adolescents in Osan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 Liv Sci 20: 157-168. 

  44. Lee SY, Kim SW, Kang JH. 2001. Relationship of eating disorder symptoms with anxiety and depression tendency. J Korean Soc Study Obesity 10: 376-391 

  45. Ahn BY, Song HJ. 2007.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eating disorders; a review. J Psychother 7: 57-74. 

  46. Kim YK, Yoon KS. 2009. Awareness of body shape, weight control, and eating disorders in female adolescents living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5: 232-252. 

  47. Hong KH. 2008. The influence of male college students' extent of mass media exposure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orientation. J Korean Soc Clothing and Textiles 32: 1149-1159. 

  48. Kim Y. 2007.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pressure, internalization ideal beauty stereotyp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n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49. Ghaderi A. 2001. Eating disorders: prevalence, incidence, and prospective risk factors for eating disorders among young adult women in the general population. PhD Dissertation. Uppsala University, Uppsala, Sweden. 

  50. Kong SS. 2001. A study on binge eating, eating attitud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female binge eaters. J Korean Soc Material Child Health 5: 185-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