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알코올 발효 효모 종류를 달리하여 현미탁주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현미식초(정치배양 및 교반배양)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효모 종류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B가 14.3%로 가장 높았으며 적정산도는 모든 구간에서 0.6% 이하로 나타났다. 이를 이용한 교반 및 정치배양 현미식초의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교반배양구간에서는 초기산도 1.0%, 초기 pH는 3.9~4.0에서 발효 7일째 DV구간에서 산도가 6.05%로 가장 높았고 AV, CV 및 BV가 5.64, 5.55 및 5.3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치배양구간에서도 산도는 발효 14일째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5.01~5.31%로 나타났고 발효 16일째부터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효모 종류에 따른 현미식초의 산도 및 pH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현미식초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비교한 결과, 교반배양구간에서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BV, DV, AV 및 CV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필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BV에서 100 mg%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정치배양구간에서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구간에서 교반배양구간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serine, alanine, valine, isoleucine, leucine$\gamma$-aminobutyric acid 등이 교반배양구간에 비하여 높았으며 특히 $\gamma$-aminobutyric acid는 45.69~52.27 mg%로 약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현재까지의 결과는 현미식초의 품질특성은 효모 종류보다는 초산발효 방법에 따른 품질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숙성과정에서 변화를 거치면서 향기성분,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다양한 식초의 품질인자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agitated culture and static culture) derived from brown rice Takju with different types of yeasts. The alcohol content by yeast was the highest in B (brown rice Takju produced by S. cerevisiae GRJ) at 14.3% and the titratab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효식초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고려한 품질지표 설정을 위해 알코올발효 조건 및 효모 종류에 따른 현미 탁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교반배양 및 전통적인 정치배양 방법에 따른 현미식초의 품질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초란 무엇인가? 식초는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발효식품으로 소량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ester 등을 함유한 독특한 방향과 신맛을 가진다(1,2). 이러한 식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동맥경화증이나 혈전증을 일으키는 과산화지질을 분해해 동맥경화 예방과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 소화 및 식욕촉진, 항종양효과, 체지방 감소, 피로회복 효과 및 면역기능 향상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3,4).
알코올 발효 효모 종류에 따라 현미식초는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 27 mg%로 약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현재까지의 결과는 현미식초의 품질특성은 효모 종류보다는 초산발효 방법에 따른 품질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숙성과정에서 변화를 거치면서 향기성분,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다양한 식초의 품질인자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식초는 어떤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가? 식초는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발효식품으로 소량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ester 등을 함유한 독특한 방향과 신맛을 가진다(1,2). 이러한 식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동맥경화증이나 혈전증을 일으키는 과산화지질을 분해해 동맥경화 예방과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 소화 및 식욕촉진, 항종양효과, 체지방 감소, 피로회복 효과 및 면역기능 향상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3,4). 국내의 식초는 주정을 희석하여 무기염류를 첨가한 발효식초, 과즙 30% 이상을 함유하는 과실식초, 곡물함량 4% 이상을 함유하는 곡물식초가 대부분이었으나 식초가 단순 조미료 기능에서 건강용 식초로 소비 패턴이 변화되면서 100% 과즙 원료 식초 및 곡물함량이 높고 유기산뿐 아니라 아미노산이 풍부한 생쌀발효 흑초와 같은 고품질 발효식초가 등장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Food Ind Nutr 5: 18-24. 

  2. Joo KH, Cho MH, Park KJ, Jeong SW, Lim JH. 2009. Effects of fermentation method and brown rice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6: 33-39. 

  3. Lee WJ, Kim SS. 1998. Preparation of Sikhe with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6-150. 

  4. Casale M, Saiz Abajo MJ, Gonzalez Saiz JM, Pizarro C, Forina M. 2006. Study of the aging and oxidation processes of vinegar samples from different origins during storage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Analy Chim Acta 557: 360-366. 

  5. Jeong YJ. 2009.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Korean vinegar industry. Food Sci Ind 42: 52-59. 

  6. Lee OS, Jang SY, Jeong YJ. 2002. Culture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with Gluconacetobacter perimmonus KJ145. Korean J Food Sci Nutr 4: 572-577. 

  7. Chun YK, Choi HS, Cha BS, Oh HI, Kim WJ. 1997. Effect of enzymatic hydrolysi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rsimmon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98- 203. 

  8. Kim AR,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8.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9.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2006. Changes in quality of spray-dried and freeze-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13-520. 

  10.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11. Lee WK, Kim JR, Lee MW. 1987. Studies of the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J Korean Agric Chem Soc 30: 323-327. 

  12. Hong SW, Hah YC, Min KH. 1970. The bio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mashes and Takju. Korean J Microbiol 8: 107-115. 

  13. Lee JS, Lee TS, Choi JY, Lee D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non-glutinous rice T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9: 249-254. 

  14. Lee TS, Han EH.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15. Lee HS, Park CS, Choi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6-62. 

  16. So MH. 1995. Aptitudes for Takju brewing of wheat flournuluks made with different mold species. Korean J Food Nutr 8: 6-12. 

  17. Korea National Tax Service Liquor Analysis Regulation. 2008.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Korea. p 62-66. 

  18. Shin JS, Jeong YJ. 2003.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brown rice using raw starch digesting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81-387. 

  19. Oh YA, Kim SD, Kim KH. 1997. Changes of sugars, organic acids and amino acids content during fermentation of pine needle added Kimchi . J Food Sci and Technol CUTH 9: 45-50. 

  20. Lee OS, Jeong YJ, Ha YD, Kim KE, Shin JS, Kwon H. 2001.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with brown rice using raw starch-digesting enzyme. Korean J Food Preserv 8: 412-418. 

  21. Kim ML, Choi KH. 2005. Sensory characteristics of citrus vinegar fermented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CV1.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263-269. 

  22. Sim KS. 1984. The metabolism and health of vinegar. Food Sci Industry 17: 51-59. 

  23. Jeong YJ, Seo JH, Jung SH, Shin SR, Kim KS.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uncleaned ric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uncleaned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5: 374-3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