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Since it was first observed in late 1970s that human cancers often had decreased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protein expression and activity, extens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verify the association between MnSOD and cancer. Significance of MnSOD as a primary mitochondrial antioxidant enzyme is unquestionable; results from in vitro, in vivo and epidemiological studies are in harmony. On the contrary, studies regarding roles of MnSOD in cancer often report conflicting results. Although putative mechanism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how MnSOD regulates cellular proliferation, these mechanisms are not capitulated in epidemiological studies. This review discusses most recent epidemiolog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that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MnSOD and cancer, and describes emerging hypotheses of MnSOD as a mitochondrial redox regulatory enzyme and of how altered mitochondrial redox may affect physiology of normal as well as cancer cells.
#MnSOD #Mitochondria #Superoxide anion #Hydrogen peroxide #Oxidative stress #Redox #Cancer #Epidemiology #Carcinogenesis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