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Network for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4 no.2, 2010년, pp.177 - 197  

조윤희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후 50여년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동안 수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국, 영국, 일본에 비해 1관당 봉사대상인원수는 여전히 많고, 공간, 예산, 인력 등 운영상 제약으로 지식정보서비스의 지속가능한 확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권을 중심으로 지식정보서비스 연계와 경영 효율성을 도모하고 있는 영국의 캄덴구, 일본의 대전구(大田區), 한국 부천시의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협력 네트워크 모형과 정책 제도적 지원 및 운영 효율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libraries in Korea have increased dramatically in number through the last 45 years.However, compared to the public librari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ted Kingdom of Britain, and Japan, public libraries in Korea tended to have a higher rate of capita visits per a public library, s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관은 한개관(千代田區)에서 16개관(大田區)에 이르기까지 자치구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장 많은 수의 분관이 운영되고 있는 大田區를 중심으로 일본의 공공도서관 네트워크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헌조사방법을 통하여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이다. 영국과 일본의 사례는 문헌 조사만으로 정리하였고, 우리나라 부천시의 사례는 문헌조사 자료와 담당자 면담을 통하여 수집한 내부 자료를 참고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이를 위하여 중·소규모의 공공도서관들은 대규모 공공도서관과 협력을 통하여 풍부한 지식정보자원과 다양한 문화프로그램 등 풍부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협력 기반을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행정구역권을 중심으로 도서관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모형으로는 중앙집중식-분관등급형이 보다 용이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앙관을 중심으로 지역적 인구 분포와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규모의 적정성을 기반으로 분관을 설립, 운영하는 중앙집중식-분관등급형을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모형으로 제안한다.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권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들의 효율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사례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행정구역권을 기반으로 공공도서관과 중·소규모의 도서관들이 협력을 통하여 개별 도서관의 한계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영국의 캄덴구, 일본의 大田區, 그리고 우리나라 부천시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행정구역권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의 협력 네트워크 구성 필요성과 관련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를 문헌 조사를 통하여 정리하였다.
  • 영국, 일본의 선진 사례와 우리나라 부천시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효율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진우(2007)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지원하고 있는 작은도서관 조성사업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작은도서관 설립 정책의 문제점과 작은도서관의 설립이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도서관협회의 통계를 통한 도서관 수의 추세는 어떠한가? 1963년 최초의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래 채 50년이 경과되지 않은 기간 동안 공공도서관은 양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한국도서관협회(2009)의 통계에 의하면 2002년 462개관에서 2008년 644개관으로 6년간 182개관 72%의 증가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이 가진 한계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후 50여년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동안 수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국, 영국, 일본에 비해 1관당 봉사대상인원수는 여전히 많고, 공간, 예산, 인력 등 운영상 제약으로 지식정보서비스의 지속가능한 확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권을 중심으로 지식정보서비스 연계와 경영 효율성을 도모하고 있는 영국의 캄덴구, 일본의 대전구(大田區), 한국 부천시의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사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현재 수준에서 지식정보서비스를 확대하여 접근성을 증진방안 중 하나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이 아직 그 수적인 면에서 여전히 부족하지만 현재 수준에서 지식정보서비스를 확대하여 접근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크고 작은 도서관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영석. 2007.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확충 방안 연구?운영체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29-48. 

  2. 김준. 2006. 작은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도서관계, 140(3): 6-11. 

  3. 김태승, 류병장. 2007. 문고를 이용한 공공도서관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논문집, 1-18. 

  4. 남영준, 김규환, 남태우. 2008. 공공도서관 협력업무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177-192. 

  5.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0.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10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6. 문화체육관광부. 2009. 공공도서관의 경제적 가치 측정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7. 부천시립도서관. [online]. [cited 2010.1.31]. . 

  8. 부천시작은도서관(공립) 편. 2009. 작은도서관 운영 매뉴얼.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9. 육경애. 2008.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공공도서관의 운영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10. 이상호, 공순구. 2000. 대도시의 공공도서관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회지, 26: 221-228. 

  11. 이용남. 2006.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분관 운영체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353-372. 

  12. 이재희. 2008.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논문. 

  13. 이진우. 2007. 작은도서관의 설립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4. 최동식, 이상호. 2004. 도심지에 있어서 공공도서관 지역계획에 관한 연구(I): 공공도서관 지역배치계획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6(2): 19-24. 

  15. 최은주. 2009.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공공도서관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16. 통계청. e-나라지표. [online]. [cited 2010.1.31]. . 

  17. 한국도서관협회. 2009.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8.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 방안.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9. 藤谷幸弘. 2008. 公共圖書館の利用をめぐる評價. 名古屋: あるむ. 

  20. IFLA/UNESCO. 1994. Public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 2010.1.30]. . 

  21. Camden Council. 2010. Libraries and Online Learning Centres. [online]. [cited 2010.1.31]. . 

  22. Library Research Service. 2009. Public Libraries: a wise investment. Colorado: LRS. 

  23.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2010. Service trends in U.S. Public Libraries, 1997-2007. [online]. [cited 2010.1.31]. . 

  24.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2008. 21st Century Skills. [online]. [cited 2010.1.31].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