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생태계획의 도시기후 변화 대응 가능성 연구 -남양주 월산리 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climate Mitigation Effects with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with reference to Namyang-Ju Walsanli Master-plan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0 no.6, 2010년, pp.11 - 19  

문수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계획환경연구실) ,  김현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성장연구실) ,  이광복 (남양주시 도시국)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meet with the nation's policy of Green Growth, local governments are rushing to propose an ecological urban development plan. And although various studies stress on the need of ecological planning to harmonize development with preservation, we have come to a point in which a quantitative evalu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경생태계획은 1990년대 중반에 학술적 연구 차원에서 한국에 도입되었다. 그 이후 학자들을 중심으로 국토의 난개발로 인한 자연환경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생태계획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2004년부터 국토해양부의 신도시조성을 위한 지침에 대규모 도시조성 시 반드시 수립해야 하는 계획으로 자리 잡게 되어 점차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 당초 개발계획에서 아직 1~6지구 중 2,3,5지구에 구체적인 개발 계획을 수립하지 못하였지만, 마스터플랜을 통해 전체 지구에 대하여 필요한 주거지 면적, 세대수, 총 계획인구를 만족하도록 계획이 수립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인구를 수용고 교통량과 기반시설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한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 기존의 환경생태계획 관련 연구가 생태적인 기능과 동식물을 비롯한 자연자원의 보전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본 연구는 환경생태계획이 도시 미기후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토지이용계획과 건물 배치안을 이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기 때문에 실제 계획안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한계가 있지만, 환경생태계획을 통해 주변 환경에 어느 정도 환경부하를 낮출 수 있다는 정량적인 결과를 보여주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남양주 월산리 1~6단지 일대에 수립한 기존의 토지이용계획을 생태적인 계획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환경생태정보지도를 구축하고 이에 대하여 환경생태계획과 생태적 외부공간계획을 수립하고 두 계획에 대하여 도시기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였다. 여름철과 겨울철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여름철에 가장 더운 14시에는 단지 부분적으로 최고 7℃까지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 본 연구는 남양주 월산리에 기존의 개발 방법론으로 계획된 토지이용계획 대비 환경생태계획을 기반으로 제시한 계획안에 대하여 열섬저감 효과를 검토하고 환경생태 계획의 도시기후 변화 대응 가능성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두 가지 방법으로 수립된 계획기법에 대한 도시기후 변화 대응 가능성 검증을 위해 독일 Mainz 대학의 Michel Bruse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미기상 수치모델인 Envi-met 3.
  • 본 연구는 환경생태계획의 도시기후 변화에 대응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남양주 월산리 일대에 환경생태계획을 기반으로 수립한 마스터플랜에 대하여 기존의 토지이용계획에 대비하여 기후 측면에서 개선 여부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환경생태계획이 도시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 방법론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시범단지를 제외한 주변 공간에 일반 아파트가 각각 서로 다른 사업자들이 개별 설계로 계획되어 주거단지의 통일성이나 조화를 찾아볼 수가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일대의 무분별한 개발을 제어하고 친환경적인 개발을 유도하며, 차후 남양주시의 도시개발 사업에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는 주거단지를 짓고자 환경생태계획 기반의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환경생태계획의 도시기후 변화에 대응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남양주 월산리 일대에 환경생태계획을 기반으로 수립한 마스터플랜에 대하여 기존의 토지이용계획에 대비하여 기후 측면에서 개선 여부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환경생태계획이 도시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 방법론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리고 이 지점의 위․경도(37.39°N, 127.19°E)를 입력하여 Envi-met에서 제공하는 일사량이 두 대상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가정 하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1지구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시 외부공간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Envi-met에서 제공하는 아스팔트포장, 벽돌포장, 물 등에 대한 물성치가 우리나라와 동일하다는 전제 하여 그대로 활용하였다. 식생의 경우 Envi-met에서 제공하는 식물에 대한 정보 중에서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초지, 교목, 관목으로 분류를 추려 역시 이들의 물성치가 우리나라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입력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 지점의 위․경도(3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쾌적하고 환경친화적인 도시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는 이유는? 국토해양부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2005년 이후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은 90%를 넘었고 매해 100㎢의 새로운 도시가 생겨난다고 한다. 인구증가와 소득수준의 향상, 생활 패턴의 변화에 맞추어 도시수요는 꾸준히 증가하면서 동시에 쾌적하고 환경친화적인 도시에 대한 요구 역시 점점 높아지고 있다. 또한 무분별한 난개발을 방지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 정책에 부응하기 위하여 각 지자체에서는 앞 다투어 생태도시 개발계획을 제시하고 있고,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지침 등에서도 도시 규모별로 환경생태계획을 수립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환경생태 계획이 유도하는 것은? 환경생태 계획은 도시를 계획할 때 자연의 기본 요소에 대하여 인위적인 변화를 최소화하고 본연의 생태적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개발과 보전을 최대한 조화시키는 계획방법론이다. 이는 지형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녹지와 비오톱, 바람길을 보전하며, 자연의 물순환 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개발을 유도한다. 최근에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 정책에 힘입어 도시의 탄소발생 및 에너지 사용 저감이라는 이슈와 부합하여 환경생태계획이 도시를 조성하는데 기존의 개발 위주의 도시조성 방법론에 대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 앞 다투어 생태도시 개발계획을 제시하는 이유는? 인구증가와 소득수준의 향상, 생활 패턴의 변화에 맞추어 도시수요는 꾸준히 증가하면서 동시에 쾌적하고 환경친화적인 도시에 대한 요구 역시 점점 높아지고 있다. 또한 무분별한 난개발을 방지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 정책에 부응하기 위하여 각 지자체에서는 앞 다투어 생태도시 개발계획을 제시하고 있고,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지침 등에서도 도시 규모별로 환경생태계획을 수립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환경생태 계획은 도시를 계획할 때 자연의 기본 요소에 대하여 인위적인 변화를 최소화하고 본연의 생태적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개발과 보전을 최대한 조화시키는 계획방법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박창석 외(2004), 지역환경보전을 위한 환경계획과 환경평가의 연계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 구해정 외(2006).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시대기환경 특성변화,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 김선희(2006), 에너지절약적 도시개발과 과제, 국토, 2006년 10월호 

  4. 정우식 외(2006) 개발에 따른 지형변화가 국지 바람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Envi-met 모형을 이용한 수치모의, 888-903,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22권 제6호 

  5. 홍정선 외(2007), 라이다 데이터를 활용한 비오톱의 자연성 평가 방법론,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7권 1호 

  6. 김중권 외(2008), Envi-met모델을 이용한 공동주택단지의 미기후 환경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 남양주(2009), 저탄소 녹색성장 실천을 위한 환경생태계획 기반의 MP 구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8. 문수영(2009), 남양주 생태주거단지 환경생태계획 수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 Brief 

  9. 문수영 외(2009),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Atlas Using a Moving Vehicle, Gest2009 

  10. 배소연 외(2009), The Use of LiDAR in Estimation of the Green Volume and the Building Volume, Gest2009 

  11. 김연미 외(2009), Ubiquitous Eco-City Planning in Korea - A Project for the Realization of Ecological City Planning and Ubiquitous Network, REAL CORP 2009 

  12. 환경부(2009), 저탄소 녹색도시 만들기, (사)도시환경연구센터) 

  13. 국토해양부(2009), U-기술기반 환경생태계획 및 생태도시설계기 법 2차년도 보고서, U-Eco City 사업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4. 국토해양부(2009), U-기술기반 환경생태정보 지도화 및 변화예측 모니터링체계개발 2차년도 보고서, U-Eco City 사업단, KT 종합기술원 

  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9), 도시기후 변화 대응 생태단지 조성 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6. 문수영 외(2010), 환경생태계획의 환경부하 저감효과 분석 : 바람길, 소음, 물수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계획학회 2010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0권 제1호(통권 18호) 

  17. 문수영 외(2010), A study on the urban climate improvement of the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using ENVI-met model, SET2010 

  18. E.Gregory Mcpherson(1994), Energy-saving potential pf trees in Chicago, USDA Forest Service Gen. Tech. Rep. NE-186 

  19. H Taha et al(1997), Mitigation of urban heat islands : Meteorology, energy and air quality impact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Urban Heat Islands, CREST/JST. 124-163. Keio University, Fujisawa, Japan. 

  20. Bruse, M.(1998) Development of a microscale model for the calculation of furface temoeratures in structured terrain, MSc Thesis, Inst. Geo. Univ. Bochum 

  21. William D. Solecki et al(2005), Mitigation of the heat island effect in urban New Jersey, Environmental Hazards Vol. 6, 34-39 

  22. Wong Nyuk Hien(2007), GIS-based greenery evaluation on campus master pla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84. 166-182 

  23. H Akbari et al(2008), Urban surfaces and heat island mitigation potentials, In Press, J. Human-Envrionment Systeem, Vol.11, No.2,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Report KBNL-xxxxx, Berkeley, CA. 

  24. Chen et al(2009), Sensitive analysis of landscaping effects on outdoor thermal envionment in a residential community of hot humid area in china, The 7th Internatinal Conference on Urban Climate, Yokohama, Japan. 

  25. www. envi-met.co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