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물학적 지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송천 금은광산 광미 내 중금속 및 비소의 거동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광미 내 광물조성은 X-선 회절분석, 에너지 분산분광분석, 전자탐침미세현미분석(EPMA)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중금속과 비소의 농도와 화학적 존재형태는 각각 왕수분해법과 연속추출법으로 분석하였다. 광물학적 연구결과, 방연석, 섬아연석, 황철석, 석영, 그리고 스코로다이트로 구성된 수지상 광물집합체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스코로다이트는 기질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광물집합체 내 다양한 황화광물의 풍화반응 정도를 평가하고자 EPM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유비철석, 방연석, 섬아연석, 황철석 순으로 풍화반응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방연석의 풍화는 이차광물로 이루어진 누대구조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누대구조에서 다량의 앵글레사이트와 소량의 보이단타이트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유비철석은 거의 모두 스코로다이트로 변질되어 스코로다이트가 기질의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기질 내에서 유비철석보다 풍화반응성이 떨어지는 방연석, 섬아연석, 황철석 등이 관찰되었다. 유비철석으로부터 스코로다이트로 변질되는 과정 중 일부 비소는 용출되어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EPMA 정량분석결과로 볼 때, 이러한 스코로다이트는 안정도가 비교적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안정한 스코로다이트는 광미를 피복하여 광미 내 다른 일차광물들의 풍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원인으로 송천광미가 지표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풍화진행단계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광물학적, 지구화학적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납과 비소가 이동성이 높은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광미가 지표에 계속 노출되어 풍화반응이 지속된다면 그러한 유해원소들의 용출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스코로다이트의 안정도가 감소하여 비소의 재용출 가능성도 높아 송천광산의 환경위해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havior of heavy metals and arsenic in the tailings of Songcheon Au-Ag mine was characterized via both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methods. Mineral composition of the tailings was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ometry, 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and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EPMA) an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광미 내 중금속 및 비소의 광물학적·화학적형태를 규명하고, 일차 광물과 이차 광물의 풍화 및 생성 등 광미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반응이 중금속 및 비소의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이었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송천광산의 환경위해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광미 내 중금속 및 비소의 광물학적·화학적형태를 규명하고, 일차 광물과 이차 광물의 풍화 및 생성 등 광미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반응이 중금속 및 비소의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이었다.
  • 송천광미 내 중금속 및 비소의 광물학적·화학적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광미 내 다양한 작용이 중금속 및 비소의 거동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 송천광산은 중금속 및 비소로 복합 오염된 지역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오염물질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광물학적·지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 비자성광물은 실체현미경을 통해 광물입자 내 색 분포에 따라 상, 중, 하 세 등급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광물의 고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변질된 2차 광물을 관찰하고자 이루어졌다. 위와 같은 분류방법을 토대로 각 시료에 대해서 광물색이나 광택색에 따른 산출빈도를 표 2에 요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송천광산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송천광산은 금과 은을 주로 채광한 광산으로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에 위치해 있다. 광산일대의 지질은 선캠프리아기의 저반상 화강암질 편마암 내 좁은 압쇄대 또는 각력대를 충전한 함금은석 영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영, 황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자연은, 엘렉트럼(electrum), 자연금이 산출되며, 그 외 송천광산의 현황을 표 1에 정리하였다(대한광업진흥공사, 1973).
송천광미가 일반 광미와는 다르게 모래와 실트가 다소 높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이라 판단되는가? 일반적으로 광미는 미세 입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송청광미는 모래와 실트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실체 현미경 상으로 관찰시 석영, 은빛 광택과 황금빛 광택을 가지는 광물 사이에 회색을 띠는 시멘트물질로 구성된 입자가 다량으로 존재하여 모래와 실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1). 맥석광물, 비자성 광물, 그리고 자성광물의 X-선 회절 분석결과, 규산염광물인 석영(quartz)과 백운모(muscovite), 점토광물인 일라이트(illite)와 카올리나이트(kaolinite), 황화광물인 황철석, 섬아연석, 그리고 방연석, 황산염광물인 스코로다이트, 철 (산)수산화물인 적철석(hematite), 자철석(magnetite), 그리고 침철석(goethite)이 검출되었으며(그림 2), 일차 광물과 이차광물로 분류하여 표 5에 정리하였다.
가행광산의 현황은 어떠한가? 6%)로 전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가행광산의 현황은 석탄광산은 9개와 일반광산 중 금속광 52개, 비금속광 669개이다. 그리고 폐광산의 현황은 석탄광산은 338개(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대한광업진흥공사 (1973) 한국의 광상: 금은편. 5, 791. 

  2. 이진수, 전효택, 김경웅, 김주용 (2003) 폐금속광산 지역에서의 독성중금속에 대한 위해성평가.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40, 264-273. 

  3. 임혜숙, 이진수, 전효택 (2004) 송천 Au-Ag 폐광산 주변 지역의 중금속 오염과 인체 위해성 평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집, 202-207. 

  4. 정명채, 정문영 (2006) 국내 휴폐광금속광산의 환경오염평가 및 향후 관리 방안.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43,383-394. 

  5. Blowes, D.W. and Jambor, J.L. (1990) The pore water geochemistry and the mineralogy of the vadose zone of sulfide tailings, Waite Amulet, Quebec, Canada. Geochemistry, 5, 327-346. 

  6. Bluteau, M.C. and Demopoulos, G.P. (2007) The incongruent dissolution of scorodite-solubility, kinetics and mechanism. Hydrometallurgy, 87, 163?177. 

  7. Buckly, A.N. and Walker, W. (1988) The surface composition of arsenopyrite exposed to oxidizing environments. Applied Surface Science, 35, 227-240. 

  8. Courtin-Nomade, A., Bril, H., Neel, C., and Lenain, J. (2003) Arsenic in iron cements developed within tailings of a former metalliferous mine-Enguiales, Aveyron, France. Applied Geochemistry, 18, 395-408. 

  9. Dove, P.M. and Rimstidt, J.D. (1985) The solubility and stability of scorodite, $FeAsO_{4}$ . $2H_{2}O$ . American Mineralogist, 70, 838-844. 

  10. Inskeep, W.P., McDermott, T.R., and Fendorf, S. (2002) Arsenic (V)/(III) cycling in soils and natural waters: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cesses, In: W.T. Frankenberger Jr. (ed.), Environmental Chemistry of Arsenic, Marcel Dekker, New York, 183-215. 

  11. Jambor, J.L. and Dutrizac, J.E. (1983) Beaverite-plumbojarocite solid solution. Canada. Geochemistry, 21, 101-113. 

  12. Jambor, J.L. and Blowes, D.W. (1994) Environmental geochemistry of sulfide Mine wastes. Minera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Shot Course, 22, 438. 

  13. Jeong, G.Y. and Lee, B.Y. (2003) Secondary mineralogy and microtextures of weathered sulfides and manganoan carbonates in mine waste-rock dumps, with implications for heavy-metal fixation. American Mineralogist, 88, 1933-1942. 

  14. Lee, K.Y., Kim, K.W., and Kim, S.O. (2010) Geochemical and microbial effects on the mobilization of arsenic in mine tailing soils.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32, 31-44. 

  15. Liu Y.G., Zhou M., Zeng G.M., Li X., Xu W.H., and Fan T. (2007) Effect of solids concentration on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mine tailings via bioleaching.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41, 202-208. 

  16. Mineral Database (2010) http://www.webmineral.com 

  17. Morin, G. and Calas, G. (2006) Arsenic in soils, mine tailings, and former industrial sites. Elements, 2, 97-101. 

  18. Monn, K.A. and Hutt, N.M. (1997) Environmental geoche mistry of mine site drainage practical theory and case studies; Description and assesment of drainage chemistry. MDAG Publishing, 63-138. 

  19. Nesbitt, H.W., Muir, I.J., and Pratt, A.R. (1995) Oxidation of arsenopyrite by air, air-saturated, distilled water, implications for mechanism of oxidation.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59, 1773-1786. 

  20. Peter, D. and Michal, F. (2009) Secondary arsenic minerals in the environment: A review. Enviroment. International. 35, 1243-1255. 

  21. Papassiopi, N., Vircikova, E., Nenov, V., Kontopoulos, A., and Molnar, L. (1996) Removal and fixation of arsenic in the form of ferric arsenates; three parallel experimental studies. Hydrometallurgy, 41, 243-253. 

  22. Plumlee, G.S. (1998) The environmental geology of mineral deposits. In: Plumlee G.S. and Logsdon, M.J. (eds.), The Environmental Geochemistry of Mineral Deposits Part A: Processes, Techniques, and Health Issues. Reviews i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chemistry, 6A, 71-116. 

  23. Pokrovski, G.S., Kara, S., and Roux, J. (2002) Stability and Solubility of arsenopyrite, FeAsS, in crustal fluid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66, 2361-2378. 

  24. Richardson, S. and Vaughan, D.J. (1989) Arsenopyrite: a spectroscopic investigation of altered surfaces. Mineralogical Magazine, 53, 223-229. 

  25. Rodriguez, L., Ruiz, E., Alonso-Azcarate, J., and Rincon, J. (2009) Heavy metal distribution and chemical speciation in tailings and soils around a Pb-Zn mine in Spai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0, 1106-1116. 

  26. Roussel, C., Neel, X., and Bril, H. (2000) Mineral control ling arsenic and lead solubility in an abandoned gold mine tailing.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63, 209-219. 

  27. Sam, R. and Isablle, K.B. (1999) Magnetic susceptibilities of minerals. U.S. Geological Survey, 99-529. 

  28. Sheoran, A.S. and Sheoran, V. (2006) Heavy metal removal mechanism of acid mine drainage in wetlands: A critical review. Minerals Engineering, 19, 105-116. 

  29. Smedley, P.L. and Kinniburgh, D.G. (2002) A review of the source, behaviour and distribution of arsenic in natural waters. Applied Geochemistry, 17, 517-568. 

  30. Sun, X. and Doner, H. (1998) Adsorption and oxidation of arsenite on goethite. Soil Science, 163, 278-287. 

  31. Tessier, A., Campbell, P.G.C., and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Analytical Chemistry, 51, 844-851. 

  32. Ure, A.M. (1995) Method of analysis for heavy metals in soils. In: Alloway, B. J.(eds.), Heavy metal in soils. Chapman and Hall, Glasgow, 55-68. 

  33. Wang, S. and Mulligan, C.N. (2006) Occurrence of arsenic contamination in Canada: Sources, behavior and distribution.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66, 701-721. 

  34. Wenzel, W.W., Kirchbaumer, N., Prohaska, T., Stingeder, G., Lombi, E., and Adriano, D.D. (2001) Arsenic fractionation in soils using an improved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Analytica Chimca Acta, 436, 309-3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