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촉각 자극과 두점식별 자극에 따른 뇌활성도 분석: fMRI 사례 연구
Comparison of Cortical Activation between Tactile Stimulation and Two-point Discrimination: An fMRI Case Study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4, 2010년, pp.97 - 101  

박지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중선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ensory input is very important for proper performance of human. Two-point discrimination is the most widely used tactile sensory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nges in cortical activation patterns between tactile stimulation and two-point discrimination. Methods: Two 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점식별법은 정형외과적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감각검사와, 환자의 치료과정에서의 회복의 정도를 파악하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간단하면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촉각 감각 검사법으로 이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두점식별의 뇌활성도와 정확한 메커니즘 알아내는 것은 물리치료 영역에서 그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점식별에 관한 뇌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벼운 접촉자극과 두점 자극에 대한 반응을 기능적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두점식별 자극에 대한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통하여 임상 검사와 치료과정에서 두점식별법의 사용이 정확한 근거와 자료를 바탕으로 실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하지만 지금까지 임상학적으로만 평가하고 사용되었을 뿐 두점식별이 뇌의 어떠한 부분에서 담당하고 활성화 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학적, 임상학적으로 감각평가에 많이 쓰이고 있는 두점식별법의 정확한 매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해 뇌의 활성되는 부분을 기능적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fMRI)을 통하여 측정 분석하여 뇌의 신경학적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두점식별 검사는 정형외과적 신경학적 손상을 입은 환자에서 환자의 손상 정도를 파악하고 손상 후 치료 과정에서 회복의 여부를 검사하는 가장 보편화된 촉각 감각 검사방법으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각의 입력과 운동과제의 수행 및 인지에 따른 뇌신경 활동에서의 변화를 해상도 높은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적자기공명영상을 사용하여 대뇌피질 변화를 알아보았다.12-14
  •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가벼운 접촉 자극과 두점 자극 시 뇌활성도의 변화를 측정 비교를 통하여 두점식별에 관한 뇌활성도의 메커니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가벼운 접촉 자극에 의한 뇌활성도는 자극 부위 반대측 대뇌반구의 일차체성감각영역에서 나타난 반면 두점 자극을 주었을 때 뇌활성도는 반대측의 일차체성감각영역뿐만 아니라 동측의 일차체성감각영역, 보조감각영역에서도 활성도가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기능적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두점식별 검사에 따른 뇌 활성화의 변화된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두점식별 검사는 정형외과적 신경학적 손상을 입은 환자에서 환자의 손상 정도를 파악하고 손상 후 치료 과정에서 회복의 여부를 검사하는 가장 보편화된 촉각 감각 검사방법으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점식별법은 왜 사용되는가? 두점식별법은 정형외과적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감각검사와, 환자의 치료과정에서의 회복의 정도를 파악하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간단하면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촉각 감각 검사법으로 이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두점식별의 뇌활성도와 정확한 메커니즘 알아내는 것은 물리치료 영역에서 그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점식별에 관한 뇌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벼운 접촉자극과 두점 자극에 대한 반응을 기능적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가벼운 접촉 자극과 두점 자극 시 뇌활성도의 변화를 측정 비교를 통하여 두점식별에 관한 뇌활성도의 메커니즘을 통해 무엇을 알게되었는가?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가벼운 접촉 자극과 두점 자극 시 뇌활성도의 변화를 측정 비교를 통하여 두점식별에 관한 뇌활성도의 메커니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가벼운 접촉 자극에 의한 뇌활성도는 자극 부위 반대측 대뇌반구의 일차체성감각영역에서 나타난 반면 두점 자극을 주었을 때 뇌활성도는 반대측의 일차체성감각영역뿐만 아니라 동측의 일차체성감각영역, 보조감각영역에서도 활성도가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단순 가벼운 촉각 자극에 비해 두점 자극이 감각을 받아들이는 데 있어 더 복잡하고 의식적인 수준이 필요하며 상위감각영역에서 반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감각 수용기를 통한 감각입력은 삶의 질에 어떻게 도움을 주는가? 감각 수용기를 통한 감각입력은 인간의 적절한 수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감각은 많은 위험 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삶의 질을 다양하고 다채롭게 해준다. 이러한 감각은 일반적으로 크게 특수감각(special sense)과 일반감각(general sense)으로 분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Tamura Y, Hoshiyama M, Inui K et al. Cognitive processes in two-point discrimination: An erp study. Clin Neurophysiol. 2004;115(8):1875-84. 

  2. Wallesch CW, Curio N, Galazky I et al. The neuropsychology of blunt head injury in the early postacute stage: Effects of focal lesions and diffuse axonal injury. J Neurotrauma. 2001;18(1):11-20. 

  3. Tamura Y, Hoshiyama M, Inui K et al. Central mechanisms for two-point discrimination in humans. Neurosci Lett. 2003;342(3):187-90. 

  4. Morch CD, Andersen OK, Quevedo AS et al. Exteroceptive aspects of nociception: Insights from graphesthesia and two-point discrimination. Pain. 2010. 

  5. Lesny I. Disturbance of two-point discrimination sensitivity in different forms of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1971;13(3):330-4. 

  6. Lesny I, Stehlik A, Tomasek J et al. Sensory disorders in cerebral palsy: Two-point discrimination. Dev Med Child Neurol. 1993;35(5):402-5. 

  7. Salanova V, Andermann F, Rasmussen T et al. Tumoural parietal lobe epileps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outcome in 34 patients treated between 1934 and 1988. Brain. 1995;118 ( Pt 5):1289-304. 

  8. Felmingham KL, Baguley IJ, Crooks J. A comparison of acute and postdischarge predictors of employment 2 year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01;82(4):435-9. 

  9. Fatemi MJ, Jalilimanesh M, Dini MT. Evaluation of moving and static two point discriminations of volar forearm skin before and after transfer as a sensate radial forearm island flap in reconstruction of degloving injury of the thumb.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2007;60(4):356-9. 

  10. Lenzenweger MF. Two-point discrimination thresholds and schizotypy: Illuminating a somatosensory dysfunction. Schizophr Res. 2000;42(2):111-24. 

  11. Oldfield RC.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handedness: The edinburgh inventory. Neuropsychologia. 1971;9(1): 97-113. 

  12. Choi JH, Kwon YH. Medial reorganization of primary motor cortex in patient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fmri case study. J Kor Soc Phys Ther. 2005;17(3):421-8. 

  13. Yang GA, Kim SH, Lim YE et al. Comparison of the activity of cortical neurons according to muscle contraction type between post stroke hemiplegic subjects and healthy subjects. J Kor SocPhys Ther. 2009;21(1):73-80. 

  14. Park JW, Jang SH. The difference of cortical activation pattern according to motor learning in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 An fmri case study. J Kor Soc Phys Ther. 2009;21(1):8. 

  15. Choi JJ, Jang HJ, Hong IP et al. A clinical study on the two-point discrimination of the replanted digits. The korean society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1995;22(3): 615-21. 

  16. Heriseanu R, Baguley IJ, Slewa-Younan S. Two-point discrimination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J Clin Neurosci. 2005;12(2):156-60. 

  17. Akatsuka K, Noguchi Y, Harada T et al. Neural codes for somatosensory two-point discrimination in inferior parietal lobule: An fmri study. Neuroimage. 2008;40(2):852-8. 

  18. Pastor MA, Day BL, Macaluso E et al.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temporal discrimination. J Neurosci. 2004;24(10):2585-91. 

  19. Pastor MA, Macaluso E, Day BL et al. The neural basis of temporal auditory discrimination. Neuroimage. 2006;30(2): 512-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