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종의 불소방출 수복재의 탈회억제 효과 및 불소침투에 관한 연구
IN VITRO STUDY OF DEMINERALIZATION INHIBITION EFFECT AND FLUORIDE UPTAKE INTO ADJACENT TEETH OF LIGHT-CURED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S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37 no.3, 2010년, pp.288 - 297  

김송이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최성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김광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최영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박재홍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이오머(Giomer)는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에 견줄 만큼 불소방출량이 많다고 하나, 우식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많지 않아 임상적용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이오머(BF 군)를 포함하여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FF 군), 콤포머(DA 군)와 대조군인 콤포짓(FZ 군)의 우식억제 효과와 주변 치질로의 불소침투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과 전자탐침미세분석기를 이용하여 각 수복재의 우식예방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복물 주위 이차 인공우식에서 법랑질 외측병변의 깊이는 FZ 군에서 가장 깊었으며, BF 군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p<0.05). 2. 수복물과 법랑질 계면에 나타난 탈회억제층의 두께를 관찰한 결과 FZ 군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FF, DA, BF 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법랑질에 침투된 불소농도는 BF, FF, DA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상아질에 침투된 불소농도는 DA, BF, FF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상아질-수복물의 접착 계면에 영향 받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light cured fluoride-releasing materials on the inhibition of demineralization. In addition, the pattern of fluoride uptake of adjacent tooth structure was analyzed with EPMA. Eighty intact premolars were restored with $Filtek^{T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정을 목적으로 발거된 상하악 소구치를 대상으로 하여, 자이오머인 Beautifil Ⅱ(BF)를 포함한 불소를 방출하는 수복재인 Fuji FillingTM LC(FF), Dyract® AP(DA)와 불소를 방출하지 않는 복합레진 FiltekTM Z250(FZ)의 우식억제 효과와 주변 치질로의 불소침투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과 전자탐침미세분석기를 이용하여 각 수복재의 우식예방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 본 연구에서는 다른 방법에 비해 편차가 작게 나타나는 IZ의 두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FZ 군을 제외한 군에서 시편의 15개 중 11개에서 IZ가 나타났으며, 그 세 군 간에 IZ의 두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자이오머는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에 견줄 만큼 불소방출량이 많다고 하나, 수복재로 사용되었을 때 우식억제와 치질로의 불소침투 등의 우식예방에 관한 연구들이 많지 않아 임상 적용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이오머를 포함한 불소방출 광중합 수복재들의 인공우식에 대한 억제효과를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CLSM)을 이용하여 관찰및 비교해보고, 인접 치질로의 불소침투량을 전자탐침미세분석기(EPMA)로 측정하여 자이오머의 우식예방 효과를 다른 불소방출 수복재들과 비교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치과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는 불소방출 수복재료는? 현재 사용되는 직접 수복재들은 변연봉쇄가 완전하지 않아 미세누출을 피하기 어려우므로 이차우식 예방을 위해 수복재들의 항균성과 불소방출능이 요구된다6,7). 현재 소아치과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는 불소방출 수복재료에는 글라스아이오노머,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 콤포머, 콤포짓, 아말감 등이 있다8).
물성이 개선된 하이브리드 재료의 대표적인 예는? 이에 물성이 개선된 하이브리드 재료들이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것이 광중합을 이용하는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와 콤포머이다. 특히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는 글라스아이오노머와 유사한 양의 불소를 방출하는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19).
글라스아이오노머의 단점? 글라스아이오노머는 불화알루미늄규산화유리(fluoroaluminosilicate glass)와 폴리알케노익산(polyalkenoic acid) 간의 산-염기 반응을 통해 다량의 불소가 방출되며9,10), 불소의 재충전이 가능하여 많은 연구에서 수복물 주위 법랑질과 상아질의 불소함량 증가 및 우식예방 효과를 보였다11-17). 하지만, 구강 내에서 용해도가 높으며, 초기물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Dahl JE, Eriksen HM : Reasons for replacement of amalgam dental restorations. Scandinavian J Dent Res, 86:404-407, 1978. 

  2. Mjor IA : Frequency of secondary caries at various anatomical locations. Oper Dent, 10:88-92, 1985. 

  3. Mjor IA, Toffenetti F : Secondary caries: a literature review with case reports. Quintessence Int, 31:165- 179, 2000. 

  4. Arends J, Dijkman G, Dijkman A : Review of fluoride release and secondary caries reduction by fluoridating composites. Adv Dent Res, 9:367-376, 1995. 

  5. Brannstrom M, Nordenvall KJ : Bacterial penetration, pulpal rea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concise enamel bond. Composite fillings in etched and unetched cavities. J Dent Res, 57:3-10, 1978. 

  6. Sjodn L, Uusitalo M, Van diken J :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s. In vitro microleakage in direct Class V and Class II sandwich restorations. Swed Dent J, 20:77-86, 1996. 

  7. Yap AU, Lim CC, Neo JC : Marginal sealing ability of three cervical restorative systems. Quintessence Int, 26:817-820, 1995. 

  8. Annette Wiegand, Wolfgang Buchalla, Tomas Attin : Review on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Fluoride release and uptake characteristics, antibacterial activity and influence on caries formation. Dent Mater, 23:343-362, 2007. 

  9. Creanor SL, Carruther LM, Saunders WP, et al. : Fluoride uptake and release characteristics of glass ionomer cements. Caries Res, 28:322-328, 1994. 

  10. Forsten L. : Short-and long-term fluoride release from glass ionomers and other fluoride-containing filling materials in vitro. Scand J Dent, 98:179-185, 1990. 

  11. Dionysopoulos P, Kotsanos N, Papadogiannis Y, et al. : Artificial secondary caries around two new Fcontaing restoratives. Oper Dent, 23: 81-86, 1998. 

  12. Retief DH, Bradley EL, Denton JC, et al. : Enamel and cementum fluoride uptake from a glass ionomer cement. Caries Res, 18:250-257, 1984. 

  13. Forss H, Seppa L : Prevention of enamel demineralization adjacent to glass ionomer filling materials. Scand J Dent Res, 98:173-178, 1990. 

  14. Skartveit L, Tveit AB, Totdal B, et al. : In vivo fluoride uptake in enamel and dentine from fluoride containing materials. J Dent Child, 57:97-100, 1990. 

  15. Hicks MJ, Flaitz CM, Silversone LM : Secondary caries formation in vitro around glass ionomer restorations. Quintessence Int, 17:527-532, 1986. 

  16. Tyas MJ : Cariostatics effect of glass ionomer cement: A five-year clinical study. Aust Dent J, 36: 236-239, 1991. 

  17. Varpio M, Noren JG : Artificial caries in primary and permanent teeth adjacent to composite resin and glass ionomer cement restorations. Pediatr Dent, 16:107-109, 1994. 

  18. Guggenberger R, May R, Stefan KP : New trends in glass ionomer chemistry. Biomaterials, 19:479-483, 1998. 

  19. Robertello FJ, Coffey JP, Lynde TA, et al. : Fluoride release of glass ionomer-based luting cements in vitro. J Prosthet Dent, 82:172-176, 1999. 

  20. Itota T, Carrick TE, Yoshiyama M, et al. : Fluoride release and recharge in giomer, compomer, and resin composite. Dent Mater, 20:789-795, 2004 

  21. Ikemura K, Tay FR, Endo T, et al. : A review of chemical-approach and ultramorphological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luoride-releasing dental adhesives comprising new pre-reacted glass ionomer(PRG) fillers. Dent Mater J, 27:315-339, 2008. 

  22. Yap AU, Wang X, Wu X, et al. : Comparative hardness and modulus of tooth-colored restoratives: a depth-sensing microindentation study. Biomaterials, 25:2179-2185, 2004. 

  23. Okuyama K, Nakata T, Pereira PNR, et al. : Prevention of artificial caries:Effect of bonding agent, resin composite and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Oper Dent, 31:135-142, 2006. 

  24. Itota T, Nakabo S, Narukami T, et al. : Effect of two-step adhesive systems on inhibition of secondary caries around fluoride-releasing resin composite restorations in root dentine. J Dent, 33:147-154, 2005. 

  25. Attar N, Onen A : Artificial formed caries-like lesions around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J Clin Pediatr Dent, 26:289-296, 2002. 

  26. Tam LE, Chan GP, Yim P : In vitro caries inhibition effects by conventional and resin-modified glassionomer restorations. Oper Dent, 22:4-14, 1997. 

  27. Hicks MJ, Silverstone LM : Fissure sealants and dental enamel: a histological study of microleakage in vitro. Caries Res, 16:353-360, 1982. 

  28. Kidd EAM, Siverstone LM : Remineralization in vitro of artificial caries-like lesions produced in relation to amalgam restorations. Caries Res, 12:238-242, 1978. 

  29. Banerjee A, Boyde A : Autofluorescence and mineral content of carious dentine: scanning optical and backscattered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Caries Res, 32:219-226, 1998. 

  30. Banerjee A, Sherriff M, Kidd EAM, et al. : A confocal microscopy study relating the autofluorescene of carious dentine to its microhardness. Br Dent J, 187:206-210, 1999. 

  31. van der Veen MH, ten Bosch JJ : The influence of mineral loss on the auto-fluorescent behavior of in vitro demineralized dentine. Caries Res, 30:93-99, 1996. 

  32. 박성호 : 수복용 compomer의 항우식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존학회지, 27:12-15, 2002. 

  33. Pioch T, Stotz S, Staehle HJ, et al. : Applications of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to dental bonding. Adv Dent Res, 11:453-461, 1997. 

  34. Hicks MJ, Flaitz CM : Resin-modified glass-ionomer restorations and in vitro secondary caries formation in coronal enamel. Dent Mater, 31:570-578, 2000. 

  35. Dunne SM, Goolnik JS, Millar BJ, et al. : Caries inhibition by a resin-modified and a conventional glass ionomer cement, in vitro. J Dent, 24:91-94, 1996. 

  36. Millar BJ, Abiden F, Nicholson JW : In vitro caries inhibition by polyacid-modified composite resins("compomers"). J Dent, 26:133-136, 1998. 

  37. Gonzalez EH, Yap AUJ, Hsu SCY : Demineralization inhibition of direct tooth-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Oper Dent, 29:578-585, 2004. 

  38. Donly KJ, Grandgenett C : Dentin demineralization inhibition at restoration margins of vitremer, Dyract and Compoglass. Am J Dent, 11:245-248. 

  39. Hicks J, Garcia-Godoy F, Milano M, et al. : Compomer materials and secondary caries formation. Am J Dent, 13:231-234, 2000 

  40. Okuda M, Pereira PNR, Nikaido T, et al. : Evaluation of in vitro secondary caries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X-Ray analytical microscope. Am J Dent, 16:191-196. 

  41. Itota T, Nakabo S, Iwai Y, et al. : Inhibition of artificial secondary caries by fluoride-releasing adhesives on root dentin. J Oral Rehabil, 29:523-527, 2002. 

  42. Shinohara MS, Yamauti M, Inoue G, et al. :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nd fluoride-releasing adhesive system on dentin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acid-base challenge. Dent Mater J, 25:545-552, 2006. 

  43. Tsuchiya S, Nikaido T, Sonoda H, et al. : Ultrastructure of the dentine-adhesive interface after acidbase challenge. J Adhes Dent, 6:183-190, 2004. 

  44. Yap AU, Tham SY, Zhu LY, et, al. : Short-term fluoride release from various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Oper Dent, 27:259;265, 2002. 

  45. Attar N, Onen A : Fluoride release and uptak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J Oral Rehabil, 29:791-798, 2002. 

  46. Kirsten L. Van Landuyt, Johan Snauwaert, et al. : Systemic review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ntemporary dental adhesives. Biomaterials, 28:3757;3785, 2007. 

  47. Hara AT, Queiroz CS, Freitas PM, et al. : Fluoride release and secondary caries inhibition by adhesive systems on root dentine. Eur J Oral Sci, 113:245-250, 2005. 

  48. 정회민, 김용기 : 수종의 구강 위생 방법에 따른 인공 초기 우식 법랑질의 재석회화에 관한 비교 생체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18:94-116, 1991. 

  49. 김정욱 : 불소방출 치면열구전색제의 항우식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5:849-857, 1998. 

  50. Kawai K, Tantbirojn D, Kamalawat AS, et al. : In vitro enamel and cementum fluoride uptake from three fluoride-containg composites. Caries Res, 32:463-469, 1998. 

  51. Pereira PN, Yamada T, Inokoshi S, et al. : Adhesion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s using resin bonding systems. J Dent, 26:479-48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