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렁쉥이와 붉은멍게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Research of Halocynthia roretzi and Halocynthia aurantiu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0, 2010년, pp.1481 - 1486  

조지은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미향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나영 (중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주 (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렁쉥이의 경우 그동안 대량으로 양식되어져 생산되어 왔던 한편, 붉은멍게는 자연산 어획에만 의존해오다가 최근 종묘생산에 성공하여 앞으로 보급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렁쉥이와 붉은멍게의 몇 가지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시료의 pH는 우렁쉥이가 6.08, 붉은멍게가 6.20으로 붉은멍게의 pH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휘발성 염기질소는 우렁쉥이가 22.41 mg%, 붉은멍게가 16.80 mg%이었다. 두 시료의 색도 측정결과 L값(명도)은 우렁쉥이가 다소 높았고, a값(적색도)은 붉은멍게가 훨씬 높았으며, b값(황색도)은 우렁쉥이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의 평가결과는 색, 냄새, 맛, 기호도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붉은멍게가 더 높은 점수로 관능적 특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 조성의 측정 결과 총 함량은 우렁쉥이가 $36368.23\;{\mu}mol/g$, 붉은멍게가 $36500.12\;{\mu}mol/g$이었고, Asp, Glu, Gly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우렁쉥이와 붉은멍게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50 mg/mL의 농도에서 우렁쉥이가 42.9%, 붉은멍게가 3.2%로 우렁쉥이가 훨씬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 역시 같은 농도에서 우렁쉥이가 56.1%, 붉은멍게가 30.1%로 우렁쉥이의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환원력 역시 농도에 따라 우렁쉥이가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의 측정결과 10 mg/mL의 농도에서 우렁쉥이는 300.21 ppm, 붉은멍게는 176.04 ppm의 값으로 우렁쉥이가 더 높은 페놀함량을 나타내 페놀함량과 항산화활성과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붉은멍게는 우렁쉥이에 비하여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나 항산화활성이 미약한 바, 대량생산과 대중적 보급을 위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locynthia aurantium and Halocynthia roretzi. The pH of H. aurantium was higher than that of H. roretzi. The volatile basic nitrogens of H. roretzi and H. aurantium were 22.41 mg% and 16.80 mg%, respectively.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우렁쉥이의 경우 그동안 대량으로 양식되어져 생산되어 왔던 한편, 붉은멍게는 자연산 어획에만 의존해오다가 최근 종묘생산에 성공하여 앞으로 보급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렁쉥이와 붉은멍게의 몇 가지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2)Each value is mean ± SD (n=20).
  • 2)Each value is mean ± SD (n=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붉은멍게와 우렁쉥이 맛에 대해 어떻게 알려져 있는가? 멍게의 식품학적 특징으로는 특유의 맛과 취기성분을 들수 있는데, 이중 취기성분들은 trans-2, cis-7-decadien-1-ol 등과 같은 포화 및 불포화 1급 알코올로서, 근막 및 내장에 함유되어 있는 무취의 알킬황산염이 내장 중의 alkyl-sulfohydrolase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3-5). 이러한 우렁쉥이의 맛은 기호적으로 이를 즐기는 사 람이 있는가 하면 극히 싫어하는 사람이 있는 정도로 그 맛이 특이한 반면, 붉은멍게는 우렁쉥이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향과 부드러운 맛을 가졌다고 알려져 식품학적 측면뿐 아니라 기호적 측면에서도 종이 다른 붉은멍게와 우렁쉥이의 품질특성상의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에 주로 서식하는 두 종류의 멍게는? 멍게류는 분류학적으로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의 중간에 위치한 원색동물문 미색강 측성멍게목 우렁쉥이과 우렁쉥 이속에 속하는 생물로서, 전 세계적으로 약 2,000여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는 두 종류의 멍게가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동해안에서 서식하는 붉은멍게(Halocynthia aurantium)와 남해안에서 주로 서식하거나 양식되는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가 있다(1,2).
우렁쉥이와 붉은멍게 시료에서 구성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우렁쉥이와 붉은멍게의 구성 아미노산 조성은 Table 4와 같으며 시료를 4회 반복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들 시료의 구성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각각 36368.23μmol/g, 36500.12 μmol/g로 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각시료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으로는 Asp(31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ee KH, Lee MJ, Jung BC, Cho HS, Lee DH, Jung WJ. 1994. Cold storage and quality stability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82-388. 

  2. Oh KS, Kim JS, Heu MS. 1997. Food constituents of edible ascidians Halocynthia roretzi and Pyura michaelseni.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55-962. 

  3. Fujimoto K, Uehara H, Sato M, Konosu S. 1982. Mechanism of the formation of ascidian flavor in Halocynthia roretzi. Bull J apan Soc Sci Fish 48: 1323-1326. 

  4. Fujimoto K, Ohtomo H, Kanazawa A, Kaneda T. 1982. Alkyl sulfates as precursors of ascidian flavor in Halocynthia roretzi. Bull J apan Soc Sci Fish 48: 1327-1331. 

  5. Kusaka H, Narita H, Iwata K, Ohta S. 1983. Gas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lavor component from ascidian. Bull J apan Soc Sci Fish 49: 617-620. 

  6. Lee KH, Park CS, Hong BI, Jung WJ. 1993. Chemical composition of ascidian and its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 Bull Korean Fish Soc 26: 8-12. 

  7. Lee KH, Park CS, Hong BI, Jung WJ. 1993. Lipids of ascidian with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 Bull Korean Fish Soc 26: 141-149. 

  8. Lee KH, Park CS, Hong BI, Jung WJ. 1993. Taste compounds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Bull Korean Fish Soc 26: 150-158. 

  9. Watanabe K, Uehara H, Sato M, Konosu S. 1985. Seasonal variation of extractive nitrogeneous constituents in the muscle of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Bull J apan Soc Sci Fish 51: 1293-1298. 

  10. Park CK, Matsui T, Watanabe K, Yamaguchi K, Konosu S. 1990. Seasonal variation of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issues. Nippon Suisan Gakkaishi 56: 1319-1330. 

  11. Park CK, Matsui T, Watanabe K, Yamaguchi K, Konosu S. 1991. Regional variation of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muscle. Nippon Suisan Gakkaishi 57: 731-735. 

  12. Watababe K, Maezawa H, Nakamura H, Konosu S. 1983. Seasonal variation of extractive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in the muscle of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Bull J apan Soc Sci Fish 49: 1755-1758. 

  13. Tsuchiya Y, Suzuki Y. 1959. Biochemical studies on the ascidian, Cynthia roretzi V. Drasche IV. Carotenoids in test. Tohoku J Agr Res 10: 397-407. 

  14. Tsuchiya Y, Suzuki Y. 1963. Biochemical studies on the ascidian, Cynthia roretzi V. Drasche V. carotenoid in test. Tohoku J Agr Res 14: 39-43. 

  15. Ha BS, Baek SH, Kim SY. 2000. Carotenoids components of tunicata, shellfishes and its inhibitory effects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tumor ce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22-934. 

  16. Lee KH, Hong BI, Jung BC, Cho HS, Lee DH, Jung WJ. 1994. Processing of dried products of ascidian, Halocynthia rerotzi. J Korean Soc Food Nutr 23: 625-633. 

  17. Matsuno T, Ookubo M, Nishizawa T, Shimizu I. 1984. Carotenoids of sea squirt-I. Chem Pharm Bull 32: 4309-4315. 

  18. Ookubo M, Matsuno T. 1985. Carotenoids of sea squirts-II. Comparative biochemical studies of carotenoids in sea squirts. Comp Biochem Physiol 81: 137-141. 

  19. Kim SK, Choi KS, Son SM. 2007.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peptides from munggae, Halocynthia roretzi. Food Eng Prog 11: 54-59. 

  20. Japanese Ministry of Hygiene. 1973. Food Sanitation Indices I. Volatile basic nitrogen. p 30-32. 

  21. Lee SC, Kim JJ, Kim SJ, Kim SH, Park HR. 2006.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tyela clava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and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78-283. 

  22.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23. Pellegrin N, Re R, Yang M, Rice-Evans C.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 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24. Shin JH, Lee SJ, Seo JK, Cheon EW, Sung N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hot-water extract from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peel. Journal of Life Science 18: 1745-1751. 

  25. Kim JJ, Kim SJ, Kim SH, Park HR, Lee SC. 2005.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37-941. 

  26. Jung ES, Park EJ,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arts of Styela clav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74-1678. 

  2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8. Yokozawa T, Chen CP, Dong E, Tanaka T, Nonaka GI, Nishioka I. 1998.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 of tannins and flavonoids against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Biochem Pharm 56: 213-222. 

  29. Yoshino M, Murakami K. 1998. Interaction of iron with polyphenolic compounds, applic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Anal Biochem 257: 40-44. 

  30. Bondent V, Brand-Williams W, Bere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s. Lebensm-Wiss Technol 30: 609-615. 

  31. Li H, Choi YM, Lee JS, Park JS, Yeon KS, Han CD. 2007.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0-254. 

  32. Ji EJ, Yoo KM, Park JB, Hwang IK. 2008. Preparation of citron peel tea containing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and its antioxidant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60-465. 

  33. Mier S, Kanner J, Akiri B, Hadas SP. 1995. Determination and involvement of aqueous reducing compounds in oxidative defense systems of various senescing leaves. J Agric Food Chem 43: 1813-1819. 

  34. Diplock AT. 1997. Will the 'good fairies' please prove to us that vitamin E lessens human degenerative disease? Free Radic Res 27: 511-532. 

  35. Kim HG, Cheigh HS. 1995. Effect of lipoxygenase and other factors on the co-oxidation of β-carotene on aqueous model system. J Korean Soc Food Nutr 24: 202-207. 

  36. Norman IK. 2001. Carotenoids as antioxidants. Nutrition 17: 815-8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