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청도의 지질과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
Geology and Stromatolite Fossil Localities of Socheong Island, Korea: An Introductory Review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1 no.1, 2010년, pp.8 - 17  

김정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한성희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연구 결과와 최근의 야외 지질 조사를 통하여 소청도의 지질 개요와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의 보존 상태를 간단히 소개한다. 분암 지역에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새로운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선착장 부근에서 평행 엽층습곡 구조가 발달한 지층의 노두를 발견하였는 바, 이는 소청도의 관문에 위치한 소청도의 중요 지질학적 상징 중의 하나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는 다양하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상원계의 묵천통과 멸악산통에 대비되는 후기 원생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뿐만 아니라 물결 자국, 건열, 빗방울 자국 등의 다양한 퇴적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 천연기념물로서 정밀한 학술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가적인 보존 관리 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ology and stromatolite fossil localities of Socheong Island are review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recent field survey. A new fossil locality of stromatolites which are very well preserved is recognized in Bunam area, northeast of Socheong Island. An outcrop composed of sandstone and 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두에서는 클리노미터로 지층의 주향과 경사를 측정하였으며, 습곡, 단층, 관입 등의 지질 구조와 퇴적 구조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Kim et al.(1999), Kim and Kim(1999)의 논문을 내용과 2009년 여름 현지를 답사한 결과를 중심으로 소청도의 지질 개요와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를 간단히 소개하는 데 있다.

가설 설정

  • 화석 산지 3: 예동 마을 가운데에 위치한 이 산지는 풀이 덮여서 노두를 찾을 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로마톨라이트란 무엇인가? 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는 남조류에 의해 만들어진 생물 기원의 퇴적 구조로서 선캄브리아 시대의 생물 층서 대비에 매우 중요한 화석이다(Preiss, 1976). 선캄브리아 시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주로 러시아(Semikhatov, 1976)와 캐나다(Donaldson, 1976) 등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주로 북한(Pak, 1986)에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소청도는 어떤 지역인가? 선캄브리아 시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주로 러시아(Semikhatov, 1976)와 캐나다(Donaldson, 1976) 등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주로 북한(Pak, 1986)에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소청도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원생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이 산출되는 석회암이 널리 분포하는 지역이며, 이 스트로마톨라이트는 형성 시기가 약 10억 년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이다. 소청도에 분포하는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에 대한 고생물학적 연구가 수행되어 천연기념물로서의 학술적 가치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의 협조를 얻지 못하여 아직까지 국가 지정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었으나, 다행히도 2009년 11월 국가지정 문화재 천연기념물 제508호로 지정되었다.
소청도의 근처에 어떤 섬이 있는가? 인천에서 북서쪽으로 224 km 떨어져 있는 소청도는 면적이 2 km2의 작은 섬이다. 북서쪽 약 4 km에 대청도가, 20 km에 백령도가 위치한다. 동쪽으로약 20 km 거리에 북한의 기린도가 위치하여 휴전선을 제외하고는 북한 땅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섬이다. 인천 연안부두에서 백령도 가는 여객선을 이용하면 약 4시간이 소요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이성주, 공달용, 2004, 경상남도 남해지역 진주층에 분포하는 막대기형 스트로마톨라이트. 대한지질학회지, 40, 13-26. 

  2. Choi, H.I., 1981, Depositionl environments of the Sindong Group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44 p. 

  3. Choi, S.J. and Woo, K.S., 1993, Depositionl environments of the Ordovician Yeongheung Formation near Marchari area, Yeongheung, Kangweond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9, 375-386. 

  4. Chun, H.Y., Choi, H.I., Son, J.D., Oh, J.K., Kwak, Y.H., Shin, S.C., and Yun, H.S., 1990, Ge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n the Gyeongsang Supergroup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124 p. 

  5. Donaldson, J.A., 1976, Aphebian stromatolites in Canada: Implications for stromatolite zonation. In Walter, M.R. (ed.), Stromatolites. Developments in Sedimentology 20,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371-380. 

  6. Harland, W.B., Armstrong, R.L., Cox, A.V., Craig, L.E., Smith, A.G., and Smith, D.G., 1990, A geologic time scale 19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irdge, 263 p. 

  7. Kim, J.Y., Kim, K.S., and Kim, T.S., 1999, Raindrop imprints from the Late Proterozoic Sangwon System of the Sochong Island of Ongjin-gun, Incheo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 55-60. 

  8. Kim, J.Y. and Kim, T.S., 1999, Occurrence and geological significance of stromatolites from the Precambrian strata in the Socheong Island, Incheo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 115-125. 

  9. Kobayashi, T., 1997, Our knoweledge from past to present on the geological history of Korea. Journal of Earth Sciencs, 86, 46-62. 

  10. Krylov, I.N. and Semikhatov, M.A., 1976, Table of time ranges of the principal groups of Precambrian stromatolites. In Walter, M.R. (ed.), Stromatolites, Developments in Sedimentology 20. Elsevier Scientifis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693-694. 

  11. Lee, K.C. and Paik, K.H., 1988, Occurrence of Cretaceous stromatolites in the Kyongsang Basin,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4, 119-134. 

  12. Lee, K.C., Woo, K.S., Paik, K.H., and Choi, S.J., 1991,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diagenetic history of the Panyawol, Hwasan, and Shinyangdong Formations, Kyongsang Supergroup, Korea with emphasis on carbonate rock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471-492. 

  13. Liang, Y., Zhu, S., Zhang, L., Cao, R., and Bu, D., 1985, Stromatolite assemblages of the late Precambrian in China. Precambrian Research, 29, 15-32. 

  14. Paek, R.J., Ri, S.R., Kim, S.J. and Im, M.G., 1996, A geological map of Korea (1:1,000,000). The Institute of Gelogy, State Academy of Science, DPR of Korea. 

  15. Paik, I.S., 1985, Evaporate mineral casts in the Maggol Formation (Ordovician), Jangseong, Kangweond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1, 219-226. 

  16. Paik, I.S., 1986,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Maggol Formation (Middle Ordovician) in Jangseong area, Gangweondo, Korea.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01 p. 

  17. Paik, I.S., Woo, K.S., and Chung, G.S., 1991, Stratigraphic, sedimentologic and paleontologic investigation of the Paleozoic sedimentary rocks in Yeongweol and Gabsan areas: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Lower Ordovician Mungok Formation in the vicinity of Yeongweol.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357-370. 

  18. Pak, M.H., 1986, On stromatolite fossils found in the Sangwon System of the Sangwon-Yonsan region. Geology and Geography, 4, 14-20. 

  19. Preiss, W.V., 1976, Interconitinental correlations. In Walter, M.R. (ed.), Stromatolites. Developments in Sedimentology 20.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359-370. 

  20. Ri, S.R. and Om, H.Y., 1996, Middle-Upper Proterozoic Era. In Paek, R.J., Kang, H.S., and Jon, G.P. (eds.), Gelogy of Korea, Foreign Languages Books Publishing House. Pyongyang, DPR of Korea, 52-79. 

  21. Semikhatov, M.A., 1976, Experience in stromatolite studies in the U.S.S.R. In Walter, M.R. (ed.), Stromatolites. Developments in Sedimentology 20,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337-357. 

  22. Um, S.H., Choi, H.I., Son, J.D., Oh, J.H., Kwak, Y.H., Shin, S.C., and Yun, H.S., 1983, Ge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n the Gyeongsang Supergroup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ources Bulletin, 36, 124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