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호르몬은 lacrimal system, corneal anatomy and disease, aqueous humor dynamics and glaucoma, crystalline lens and cataract, retinal disease를 포함한 안과영역의 다양한 부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Androgen은 전신에 걸친 sebaceous glands의 발달, 분화, 지질생성 등에 관여하므로 androgen deficiency는 meibomian gland의 기능장애와 건성안에서 증발을 더욱더 심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estrogens은 sebaceous glands의 크기, activity, 지질생성을 감소시켜 meibomian gland에서는 androgen과 반대되는 작용을 할 가능성이 있다. 성호르몬은 또한 각막의 구조와 질병경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각막이 월경주기 제2일째 및 배란주위기에 두꺼워지며, 폐경 여성에서 여성호르몬 치료 시 각막두께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estrogen levels과 각막 두께와의 연관을 시사하는 소견이라고 하겠다. Fuch's dystrophy 역시 폐경 후 여성에서 더 흔히 관찰되어, 나이에 따른 호르몬 변화가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으며, vernal keratoconjunctivitis 환자의 각막조직에서는 estrogen과 progesterone 수용체의 overexpresson이 발견되어 역시 이들 질환에서의 성호르몬의 역할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겠다. 성호르몬은 안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intraocular pressure와 혈중 luteinizing hormone,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estrone, estradiol, progesterone, testosterone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보고한 결과도 있으나, 혈중 progesterone의 경우 특히 임신중인 여성에서 안압과의 연관관계가 보고되었으며, 또한 폐경 여성에서 혈중 남성호르몬 농도가 높을수록 안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한편 'Female sex'는 모든 종류의 백내장의 위험요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내장으로 진단받은 여성의 경우 호르몬 측정 시 연령등을 보정하고도 폐경기에 가까운 호르몬 수치를 보였으며, 이들 백내장 환자군내에서는 estradiol과 FSH 농도 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보고되었다. 또한 DHEAS의 경우 백내장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그 기전으로 전구호르몬인 DHEA의 역할을 제시되고 있는데. 즉 백내장의 주요 기전 중 하나인 oxidative stress를 감소시키는 antioxidant activity를 DHEA가 보이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성호르몬은 망막 내 혈관의 흐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안구 내 혈류에서 여성호르몬의 긍정적인 효과와 남성호르몬의 부정적인 효과가 보고되었고,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의 경우, estradiol이 ER-$\beta$ 수용체를 통해 보호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어, ER-$\beta$ 수용체가 향후 AMD 치료에서 치료적 target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DHEAS의 경우 AMD 위험도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당뇨로 진단받은 환자에서는 혈중 testosterone 농도는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진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성호르몬은 안과영역의 다양한 질환과의 연관관계는 아직 추가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나 다양한 성호르몬이 안질환의 발생 및 경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연관관계가 규명된다면 추후 호르몬을 통해 질환의 경과 및 예방의 가능성이 제시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폐경이후 다양한 안질환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고려 시, 안과영역에 있어 폐경기 여성호르몬 치료의 긍정적인 역할에 관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x and its tropic hormones influence the lacrimal system, corneal anatomy and disease, aqueous humor dynamics and glaucoma, crystalline lens and cataract, and retinal disease. Dry eye occurs especially frequently during pregnancy, oral contraceptive use, and after menopause, during which androgen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4 한편 유리체절 제술 (vitrectomy)을 받는 한국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성호르몬 수치가 수술 후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가 최근 보고되었는데, follicularstimulating hormone (FSH), estadiol, testosterone,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DHEAS) 중, FSH의 경우 수술 후 visual acuity resolution value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testosterone의 경우 intraocular pressure (IOP)와 역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성호르몬 혹은 그의 tropic hormone이 폐경 후 여성에서 유리체절제술의 결과 및 예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위와 같은 최근의 연구결과를 감안 시 성호르몬이 안질환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으로 사료되며, 이에 다양한 문헌 고찰을 통해, 성호르몬과 안질환과의 연관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olatowska 등에 따르면 갱년기 증세를 보이는 폐경 전 여성에서는 백내장 여부를 주의 깊게 보아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백내장을 예방하기 위한 폐경기 여성호르몬 치료의 역할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이 필요하다고 한 까닭은 무엇인가? 'Female sex'는 모든 종류의 백내장의 위험요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Dolatowska 등52은 senile cataract로 수술을 받은 31~54세 여성 (평균 나이 42.2세) 31명과 백내장의 증거가 없는 37~53세 여성 (평균 나이 44.2세) 31명에서 혈중 estradiol과 FSH 농도를 비교한 결과,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성호르몬 농도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백 내장군에서는 유의하게 폐경기에 해당하는 호르몬 농도를 보였고, 폐경 증상을 가진 여성의 비율도 높았으며, 또한 백내장으로 진단된 여성 내에서 유의하게 estradiol과 FSH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갱년기 증세를 보이는 폐경 전 여성에서는 백내장 여부를 주의 깊게 보아야 한다고 하였으며, 아울러 백내장을 예방 하기 위한 폐경기 여성호르몬 치료의 역할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질병 발생에 있어서 차이가 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질병의 발생과 경과에 있어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여러 분야에서 보고가 되었으며, 여성의 경우 월경, 임신, 출산, 폐경에 따른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유방암, 심혈관계 질환, 우울증 등의 발생과 경과에서 남성과 다른 특성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안질환의 발생과 경과에 있어 남녀의 차이 역시 보고되고 있으며, 따라서 성호르몬이 안구조, 안구성요소의 기능, 안질환의 발생 및 경과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자들이 보고를 하였다.
여성에게 건성안은 언제 더 심해지는가? 건성안 (dry eye)의 경우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더 흔히 발생하고, 심한 증상을 보이는 빈도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8 여성에서의 건성안은 폐경 이후 증상이 심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9~11 특히 여성호르몬이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실제 건성안에서의 여성호르몬 치료의 긍정적인 효과는 연구자마다 그 결과가 다양하다. 예를 들어 25,665명의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한 큰 규모의 코호트 연구인 Women's Health Study에서는 여성호르몬 치료, 특히 여성호르몬 단독 치료를 받는 여성들의 경우 건성안의 빈도가 오히려 더 높았으며, 특히 호르몬 치료의 기간 및 용량과 비례해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Wickham LA, Gao J, Toda I, Rocha EM, Ono M, Sullivan DA. Identification of androgen,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 mRNAs in the eye. Acta Ophthalmol Scand 2000; 78: 146-53. 

  2. Gupta PD, Johar K Sr, Nagpal K, Vasavada AR. Sex hormone receptors in the human eye. Surv Ophthalmol 2005; 50: 274-84. 

  3. Coca-Prados M, Ghosh S, Wang Y, Escribano J, Herrala A, Vihko P. Sex steroid hormone metabolism takes place in human ocular cells.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03; 86: 207-16. 

  4. Schirra F, Suzuki T, Dickinson DP, Townsend DJ, Gipson IK, Sullivan DA. Identification of steroidogenic enzyme mRNAs in the human lacrimal gland, meibomian gland, cornea, and conjunctiva. Cornea 2006; 25: 438-42. 

  5. Yu HG, Ku SY, Choi J, Kim H, Suh CS, Kim SH, et al. Sex steroid and tropic hormone levels may be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prognosis of vitrectom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 pilot study. Menopause 2010; 17: 161-5. 

  6. Bandeen-Roche K, Munoz B, Tielsch JM, West SK, Schein OD. Self-reported assessment of dry eye in a population-based setting.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7; 38: 2469-75. 

  7. McCarty CA, Bansal AK, Livingston PM, Stanislavsky YL, Taylor HR. The epidemiology of dry eye in Melbourne, Australia. Ophthalmology 1998; 105: 1114-9. 

  8. Sullivan DA. Tearful relationships? Sex, hormones, the lacrimal gland, and aqueous-deficient dry eye. Ocul Surf 2004; 2: 92-123. 

  9. Mathers WD, Stovall D, Lane JA, Zimmerman MB, Johnson S. Menopause and tear function: the influence of prolactin and sex hormones on human tear production. Cornea 1998; 17: 353-8. 

  10. Moss SE, Klein R, Klein B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dry eye syndrome. Arch Ophthalmol 2000; 118: 1264-8. 

  11. Schaumberg DA, Buring JE, Sullivan DA, Dana M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dry eye syndrome. JAMA 2001; 286: 2114-9. 

  12. Barney NP. Ca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cause dry eye? Arch Ophthalmol 2002; 120: 641-2. 

  13. Wenderlein M, Mattes S. The "dry eye" phenomenon and ovarian function. Study of 700 women pre- and postmenopausal. Zentralbl Gynakol 1996; 118: 643-9. 

  14. Nichols KK, Jones LA, Jackson RD, Zadnik K. Dry eye in postmenopausal women enrolled in the observational study cohort of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ARVO Abstract].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3; 44: 2462. 

  15. Warren DW, Azzarolo AM, Becker L, Bjerrum K, Kaswan RL, Mircheff AK. Effects of dihydrotestosterone and prolactin on lacrimal gland function. Adv Exp Med Biol 1994; 350: 99-104. 

  16. Park SB, Lindahl KJ, Temnycky GO, Aquavella JV. The effect of pregnancy on corneal curvature. CLAO J 1992; 18: 256-9. 

  17. Serrander AM, Peek KE. Changes in contact lens comfort related to the menstrual cycle and menopause. A review of articles. J Am Optom Assoc 1993; 64: 162-6. 

  18. Wagner H, Fink BA, Zadnik K. Sex- and gender-based differences in healthy and diseased eyes. Optometry 2008; 79: 636-52. 

  19. Tamer C, Oksuz H, Sogut S. Androgen status of the nonautoimmune dry eye subtypes. Ophthalmic Res 2006; 38: 280-6. 

  20. Sullivan DA, Schaumberg DA, Suzuki T, Schirra F, Liu M, Richards S, et al. Sex steroids,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evaporative dry eye in Sjogren's syndrome. Lupus 2002; 11: 667. 

  21. Sullivan BD, Evans JE, Dana MR, Sullivan DA. Impact of androgen deficiency on the lipid profiles in human meibomian gland secretions. Adv Exp Med Biol 2002; 506: 449-58. 

  22. Yamagami H, Richards SM, Sullivan BD, Liu M, Steagall RJ, Sullivan DA. Gender-associated differences in gene expression of the meibomian gland. Adv Exp Med Biol 2002; 506: 459- 63. 

  23. Kiely PM, Carney LG, Smith G. Menstrual cycle variations of corneal topography and thickness. Am J Optom Physiol Opt 1983; 60: 822-9. 

  24. Manchester PT Jr. Hydration of the cornea. Trans Am Ophthalmol Soc 1970; 68: 425-61. 

  25. Feldman F, Bain J, Matuk AR. Daily assessment of ocular and hormonal variables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 Arch Ophthalmol 1978; 96: 1835-8. 

  26. Hirji NK, Larke JR. Thickness of human cornea measured by topographic pachometry. Am J Optom Physiol Opt 1978; 55: 97-100. 

  27. el-Hage SG, Beaulne C. Changes in central and peripheral corneal thickness with menstrual cycle. Am J Optom Arch Am Acad Optom 1973; 50: 863-71. 

  28. Weinreb RN, Lu A, Beeson C. Maternal corneal thickness during pregnancy. Am J Ophthalmol 1988; 105: 258-60. 

  29. Ziai N, Ory SJ, Khan AR, Brubaker RF. Beta-human chorionic gonadotropin, progesterone, and aqueous dynamics during pregnancy. Arch Ophthalmol 1994; 112: 801-6. 

  30. Sanchis-Gimeno JA, Lleo-Perez A, Alonso L, Rahhal MS, Martinez-Soriano F. Reduced corneal thickness value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dry eye. Cornea 2005; 24: 39-44. 

  31. Sorrentino C, Affinito P, Mattace Raso F, Loffredo M, Merlino P, Loffredo A, et al.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postmenopausal ocular function. Minerva Ginecol 1998; 50: 19-24. 

  32. Affinito P, Di Spiezio Sardo A, Di Carlo C, Sammartino A, Tommaselli GA, Bifulco G, et al. Effect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ocular function in postmenopause. Menopause 2003; 10: 482-7. 

  33. van Bijsterveld OP, Mansour KH, Dubois FJ. Thygeson's superficial punctate keratitis. Ann Ophthalmol 1985; 17: 150-3. 

  34. Nagra PK, Rapuano CJ, Cohen EJ, Laibson PR. Thygeson's superficial punctate keratitis: ten years' experience. Ophthalmology 2004; 111: 34-7. 

  35. Johnson DH, Bourne WM, Campbell RJ. The ultrastructure of Descemet's membrane. I. Changes with age in normal corneas. Arch Ophthalmol 1982; 100: 1942-7. 

  36. Bonini S, Lambiase A, Schiavone M, Centofanti M, Palma LA.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in vernal keratoconjunctivitis. Ophthalmology 1995; 102: 1374-9. 

  37. Bonini S, Coassin M, Aronni S, Lambiase A. Vernal keratoconjunctivitis. Eye (Lond) 2004; 18: 345-51. 

  38. Zhang XH, Sun HM, Ji J, Zhang H, Ma WJ, Jin Z, et al. Sex hormones and their receptors in patients with age-related cataract. J Cataract Refract Surg 2003; 29: 71-7. 

  39. Lim KJ, Hyung SM, Youn DH. Ocular dimensions with aging in normal eyes. Korean J Ophthalmol 1992; 6: 19-31. 

  40. Razeghinejad MR, Amini H, Esfandiari H. Lesser anterior chamber dimensions in women may be a predisposing factor for malignant glaucoma. Med Hypotheses 2005; 64: 572-4. 

  41. Qureshi IA. Intraocular pressure: association with menstrual cycle, pregnancy and menopause in apparently healthy women. Chin J Physiol 1995; 38: 229-34. 

  42. Qureshi IA, Huang YB, Xi XR, Wu XD. Hormonal changes associated with menstrual cycle have no definite influence on ocular pressure. Proc Natl Sci Counc Repub China B 1997; 21: 49-53. 

  43. Qureshi IA, Xi XR, Wu XD, Pasha N, Huang YB. Variations in ocular pressure during menstrual cycle. J Pak Med Assoc 1998; 48: 37-40. 

  44. Toker E, Yenice O, Temel A. Influence of serum levels of sex hormones on intraocular pressure in menopausal women. J Glaucoma 2003; 12: 436-40. 

  45. Brubaker RF. Flow of aqueous humor in humans [The Friedenwald Lecture].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1; 32: 3145-66. 

  46. Gharagozloo NZ, Brubaker RF.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progesterone and aqueous dynamics during the menstrual cycle. Acta Ophthalmol (Copenh) 1991; 69: 791-5. 

  47. Abramov Y, Borik S, Yahalom C, Fatum M, Avgil G, Brzezinski A, et al. Does post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ffect intraocular pressure? J Glaucoma 2005; 14: 271-5. 

  48. Huber JC, Schneeberger C, Tempfer CB. Genetic modelling of the estrogen metabolism as a risk factor of hormonedependent disorders. Maturitas 2002; 42: 1-12. 

  49. Qureshi IA. Ocular hypertensive effect of menopause with and without systemic hypertension. Acta Obstet Gynecol Scand 1996; 75: 266-9. 

  50. Hulsman CA, Westendorp IC, Ramrattan RS, Wolfs RC, Witteman JC, Vingerling JR, et al. Is open-angle glaucoma associated with early menopause? The Rotterdam Study. Am J Epidemiol 2001; 154: 138-44. 

  51. Pasquale LR, Kang J, Rosner B, Willett W, Hankinson S. Age at menopause and primary open-angle glaucoma: a prospective study [ARVO Abstract].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3; 44: 795. 

  52. Dolatowska E. The evaluation of estradiol and FSH serum levels in menopausal women with primary cataract. Klin Oczna 2002; 104: 357-61. 

  53. Defay R, Pinchinat S, Lumbroso S, Sultan C, Papoz L, Delcourt C. Relationships between hormonal status and cataract in french postmenopausal women: the POLA study. Ann Epidemiol 2003; 13: 638-44. 

  54. Toker E, Yenice O, Akpinar I, Aribal E, Kazokoglu H. The influence of sex hormones on ocular blood flow in women. Acta Ophthalmol Scand 2003; 81: 617-24. 

  55. Evans JR, Schwartz SD, McHugh JD, Thamby-Rajah Y, Hodgson SA, Wormald RP, et al. Systemic risk factors for idiopathic macular holes: a case-control study. Eye (Lond) 1998; 12(Pt 2): 256-9. 

  56. Kumagai K, Ogino N, Demizu S, Atsumi K, Kurihara H, Iwaki M, et al. Clinical features of idiopathic macular holes. Nippon Ganka Gakkai Zasshi 2000; 104: 819-2557. 

  57. Risk factors for idiopathic macular holes. The Eye Disease Case-Control Study Group. Am J Ophthalmol 1994; 118: 754-61. 

  58. Lei J, Silbiger S, Ziyadeh FN, Neugarten J. Serum-stimulated alpha 1 type IV collagen gene transcription is mediated by TGF-beta and inhibited by estradiol. Am J Physiol 1998; 274: F252-8. 

  59. Potier M, Elliot SJ, Tack I, Lenz O, Striker GE, Striker LJ, et al.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estrogen receptors in mesangial cells: influence on matrix metalloproteinase-9. J Am Soc Nephrol 2001; 12: 241-51. 

  60. Elliot S, Catanuto P, Fernandez P, Espinosa-Heidmann D, Karl M, Korach K, et al. Subtype specific estrogen receptor action protects against changes in MMP-2 activation in mouse retinal pigmented epithelial cells. Exp Eye Res 2008; 86: 653-60. 

  61. Defay R, Pinchinat S, Lumbroso S, Sutan C, Delcourt C. Sex steroids an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older French women: the POLA study. Ann Epidemiol 2004; 14: 202-8. 

  62. Davis MD, Fisher MR, Gangnon RE, Barton F, Aiello LM, Chew EY, et al. Risk factors for high-risk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and severe visual loss: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port #18.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8; 39: 233-52. 

  63. Hill DJ, Flyvbjerg A, Arany E, Lauszus FF, Klebe JG. Increased levels of serum fibroblast growth factor-2 in diabetic pregnant women with retinopathy. J Clin Endocrinol Metab 1997; 82: 1452-7. 

  64. Loukovaara S, Immonen IJ, Yandle TG, Nicholls G, Hiilesmaa VK, Kaaja RJ. Vasoactive mediators and retinopathy during type 1 diabetic pregnancy. Acta Ophthalmol Scand 2005; 83: 57-62. 

  65. Loukovaara S, Immonen I, Koistinen R, Hiilesmaa V, Kaaja R. Inflammatory markers and retinopathy in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type I diabetes. Eye (Lond) 2005; 19: 422-30. 

  66. Haffner SM, Klein R, Dunn JF, Moss SE, Klein BE. Increased testosterone in type I diabetic subjects with severe retinopathy. Ophthalmology 1990; 97: 127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