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간 자궁내막에서 발견되는 극소형 추정줄기세포
Very Small Putative Stem Cells Detected in Human Endometrium 원문보기

대한생식의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v.37 no.2, 2010년, pp.99 - 113  

최종렬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산부인과학교실) ,  주종길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산부인과학교실) ,  전은숙 (부산대학교병원 의학연구소) ,  고경래 (부산대학교병원 불임클리닉) ,  이홍구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동물생명자원과) ,  이규섭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산부인과학교실) ,  김원규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최근 다능성을 가진 극소형 줄기세포가 생쥐와 인간에서 발견된다고 보고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이 인간 자궁내막에 존재하는지, 그리고 이 세포들이 줄기세포의 고유 특성들과 줄기세포 표지자들을 발현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조직검사로부터 채취한 여성 5명의 자궁내막세포를 2주 동안 배양하였으며, alkaline phosphatase, OCT-4, CXCR4 면역화학염색을 통해 줄기세포 표지자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후 percoll density gradient method 방법으로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을 분리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그 유래의 세포들이 OCT-4와 CXCR4를 발현시키는지 확인하였다. 결 과: $3{\mu}m$ 미만의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5~15 ${\mu}m$의 과다염색질 원형세포들로 구성된 군집들이 모든 여성의 자궁내막세포에서 발견되었으며, alkaline phosphatase, OCT-4 및 CXCR4를 강하게 발현시켰다. Percoll을 이용하여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을 분리 배양한 결과,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은 자가재생, 배아체양 형성, 군집 형성, 분화 가소성과 같은 줄기세포의 형태학적 및 기능적인 특성들을 나타내었다.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은 세포간 응집 혹은 세포융합을 통하여 약 5~15 ${\mu}m$ 과다염색질 원형세포들과 약 10~20 ${\mu}m$ 구형세포들을 점진적으로 형성시켰다. 이후이 세포들은 섬유아세포 유사세포, 신경유사세포, 혈관내피유사세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하였다. 또한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극소형 추정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세포들은 흔히 OCT-4와 CXCR4를 강하게 발현시켰다. 결 론: 3 ${\mu}m$ 미만의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극소형 추정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세포들이 인간 자궁내막에서 발견되며, 이 세포들은 줄기세포의 고유 특성들과 줄기세포 표지자인 alkaline phosphatase, OCT-4, CXCR4를 발현시킨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It has been recently reported that very small stem cells with pluripotency are detected in murine and huma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firm whether very small putative stem cells (VSPSCs), which have the proper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stem c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들도 이전에 진행성 자궁내막증 여성의 월경혈에서 채취한 자궁내막세포 중에 3 μm 미만의 극소형 추정줄기세포 (very small putative stem cell)가 다수 발견된다고 처음 보고한 바 있는데,16 이번 연구에서는 극소형 추정줄기세포가 정상 여성의 자궁내막조직에서도 존재하는지 조사하고, 이 세포가 줄기세포의 특성 및 줄기세포 표지자를 발현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소배아양 줄기세포란 무엇인가? 그런데 최근에는 기존의 알려진 줄기세포 이외에도 극소배아양 줄기세포 (very small embryoniclike stem cell)가 쥐의 모든 장기, 인간의 제대혈, 골수 및 말초혈액에서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이 세포는 신체에서 가장 작은 세포로 알려졌던 약 8 μm 크기의 적혈구나 조혈모세포보다 더욱 작은 6~8 μm 세포로서 태생기 낭배 (gastrula)의 상배엽 (epiblast)에서 유래한 다능성 줄기세포로 추정되고 있으며, 조혈모세포, 중간엽줄기세포, 신경줄기세포, 혈관내피전구세포, 조직 특유의 줄기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9~12 이외에도 4 μm 미만의 극소형 줄기세포 (very small stem cell)가 인간의 골수, 제대혈, 난소 표면 상피에 존재한다는 보고들도 있다.
배아줄기세포란 무엇인가? 줄기세포는 반복 분열하여 자가재생하는 능력이 있으며 더욱 분화된 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미분화 세포로서 일반적으로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로 크게 나눈다. 배아줄기세포는 배반포 유래의 세포로서 3배엽으로 모두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성 줄기세포 (pluripotent stem cell)이며, 성체줄기세포는 발생이 끝난 이후에도 신체의 각 부분에 남아 있는 다분화능 줄기세포 (multipotent stem cell)이다. 대표적인 성체줄기세포의 예로는 조혈모세포, 중간엽줄기세포, 신경줄기세포, 제대혈줄기세포, 각종 조직 특유의 줄기세포 (tissue committed stem cell) 등이 있으며 자궁에서도 줄기세포가 발견되었다.
stem cell은 어떤 세포인가? 줄기세포는 반복 분열하여 자가재생하는 능력이 있으며 더욱 분화된 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미분화 세포로서 일반적으로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로 크게 나눈다. 배아줄기세포는 배반포 유래의 세포로서 3배엽으로 모두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성 줄기세포 (pluripotent stem cell)이며, 성체줄기세포는 발생이 끝난 이후에도 신체의 각 부분에 남아 있는 다분화능 줄기세포 (multipotent stem cell)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Gargett CE. Uterine stem cells: what is the evidence? Hum Reprod Update 2007; 13: 87-101. 

  2. Meng X, Ichim TE, Zhong J, Rogers A, Yin Z, Jackson J, et al. Endometrial regenerative cells: a novel stem cell population. J Transl Med 2007; 5: 57. 

  3. Gargett CE. Stem cells in gynaecology. Aust N Z J Obstet Gynaecol 2004; 44: 380-6. 

  4. Chan RW, Schwab KE, Gargett CE. Clonogenicity of human endometrial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Biol Reprod 2004; 70: 1738-50. 

  5. Bongso A, Richards M. History and perspective of stem cell research. Best Pract Res Clin Obstet Gynaecol 2004; 18: 827 -42. 

  6. Potten CS, Loeffler M. Stem cells: attributes, cycles, spirals, pitfalls and uncertainties. Lessons for and from the crypt. Development 1990; 110: 1001-20. 

  7. Morrison SJ, Shah NM, Anderson DJ. Regulatory mechanisms in stem cell biology. Cell 1997; 88: 287-98. 

  8. Gage FH. Mammalian neural stem cells. Science 2000; 287: 1433-8. 

  9. Ratajczak MZ, Zuba-Surma E, Kucia M, Reca R, Wojakowski W, Ratajczak J. The pleiotropic effects of the SDF-1-CXCR4 axis in organogenesis, regeneration and tumorigenesis. Leukemia 2006; 20: 1915-24. 

  10. Kucia M, Reca R, Campbell FR, Zuba-Surma E, Majka M, Ratajczak J, et al. A population of very small embryonic-like (VSEL) CXCR4(+)SSEA-1(+)Oct-4+ stem cells identified in adult bone marrow. Leukemia 2006; 20: 857-69. 

  11. Ratajczak MZ, Zuba-Surma EK, Wysoczynski M, Ratajczak J, Kucia M. Very small embryonic-like stem cells: characterization, developmental origin, and biological significance. Exp Hematol 2008; 36: 742-51. 

  12. Zuba-Surma EK, Wu W, Ratajczak J, Kucia M, Ratajczak MZ. Very small embryonic-like stem cells in adult tissues-potential implications for aging. Mech Ageing Dev 2009; 130: 58-66. 

  13. Hung SC, Chen NJ, Hsieh SL, Li H, Ma HL, Lo WH.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ze-sieved stem cells from human bone marrow. Stem Cells 2002; 20: 249-58. 

  14. McGuckin C, Jurga M, Ali H, Strbad M, Forraz N. Culture of embryonic-like stem cells from human umbilical cord blood andonward differentiation to neural cells in vitro. Nat Protoc 2008; 3: 1046-55. 

  15. Virant-Klun I, Rozman P, Cvjeticanin B, Vrtacnik-Bokal E, Novakovic S, Rulicke T, et al. Parthenogenetic embryo-like structures in the human ovarian surface epithelium cell culture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no naturally present follicles and oocytes. Stem Cells Dev 2009; 18: 137-49. 

  16. Choi JR, Joo JK, Na YJ, Ko KR, Lee HG, Lee KS, et al. The hyperexpressions of putative stem cells in the eutopic endometrium of patients with advanced endometriosis. Korean J Obstet Gynecol 2010; 53: 264-73. 

  17. Uchida N, Buck DW, He D, Reitsma MJ, Masek M, Phan TV, et al. Direct isolation of human central nervous system stem cells. Proc Natl Acad Sci U S A 2000; 97: 14720-5. 

  18. Pellegrini G, Golisano O, Paterna P, Lambiase A, Bonini S, Rama P, et al. Location and clonal analysis of stem cells and their differentiated progeny in the human ocular surface. J Cell Biol 1999; 145: 769-82. 

  19. Stingl J, Eaves CJ, Zandieh I, Emerman JT. Characterization of bipotent mammary epithelial progenitor cells in normal adult human breast tissue. Breast Cancer Res Treat 2001; 67: 93-109. 

  20. van Os R, Kamminga LM, de Haan G. Stem cell assays: something old, something new, something borrowed. Stem Cells 2004; 22: 1181-90. 

  21. Pittenger MF, Mackay AM, Beck SC, Jaiswal RK, Douglas R, Mosca JD, et al. Multilineage potential of adult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Science 1999; 284: 143-7. 

  22. Morris RJ, Potten CS. Slowly cycling (label-retaining) epidermal cells behave like clonogenic stem cells in vitro. Cell Prolif 1994; 27: 279-89. 

  23. Kim EE, Wyckoff HW. Reaction mechanism of alkaline phosphatase based on crystal structures. Two-metal ion catalysis. J Mol Biol 1991; 218: 449-64. 

  24. Zaehres H, Lensch MW, Daheron L, Stewart SA, Itskovitz- Eldor J, Daley GQ. High-efficiency RNA interference in human embryonic stem cells. Stem Cells 2005; 23: 299-305. 

  25. Neumuller RA, Knoblich JA. Dividing cellular asymmetry: asymmetric cell division and its implications for stem cells and cancer. Genes Dev 2009; 23: 2675-99. 

  26. Wagers AJ, Weissman IL. Plasticity of adult stem cells. Cell 2004; 116: 639-48. 

  27. Tosh D, Slack JM. How cells change their phenotype. Nat Rev Mol Cell Biol 2002; 3: 187-94. 

  28. Pomerantz J, Blau HM. Nuclear reprogramming: a key to stem cell function in regenerative medicine. Nat Cell Biol 2004; 6: 810-6. 

  29. Nilsson SK, Simmons PJ. Transplantable stem cells: home to specific niches. Curr Opin Hematol 2004; 11: 102-6. 

  30. Suh H, Consiglio A, Ray J, Sawai T, D'Amour KA, Gage FH. In vivo fate analysis reveals the multipotent and self-renewal capacities of Sox2+ neural stem cells in the adult hippocampus. Cell Stem Cell 2007; 1: 515-28. 

  31. Streckfuss-Bomeke K, Vlasov A, Hulsmann S, Yin D, Nayernia K, Engel W, et al. Generation of functional neurons and glia from multipotent adult mouse germ-line stem cells. Stem Cell Res 2009; 2: 139-54. 

  32. Mukai N, Akahori T, Komaki M, Li Q, Kanayasu-Toyoda T, Ishii-Watabe A, et al. A comparisonof the tube forming potentials of early and late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Exp Cell Res 2008; 314: 430-40. 

  33. Bellik L, Ledda F, Parenti A. Morphological and phenotypical characterization of human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in an early stage of differentiation. FEBS Lett 2005; 579: 273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