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용 식물 발효액(들빛)의 항산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및 Nitric Oxide 생성 조절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Medical Plants (DeulBit) and Its Modulatory Effects of Nitric Oxide Production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3 no.2, 2010년, pp.91 - 98  

조은경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식품소재학과) ,  갈상완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결명자, 오미자, 구기자, 박하, 국화, 산마, 생강, 둥글레, 감초, 오가피, 녹차, 다시마를 발효시킨 들빛 발효액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들빛 발효액의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들빛 발효액의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3.4{\pm}0.5\;mg/g$으로, DPPH법을 통해 측정한 들빛 발효액의 radical 소거능은 96%로 나타났다. 들빛 발효액의 SOD 유사활성은 29%로 나타내었고, XOase에 의해 생성된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88%로 높게 나타났다. 들빛 발효액의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66%의 저해률을 나타내어 ACE 저해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혈전분해능에 대한 들빛 발효액의 분석 결과는 혈전용해제로 알려져 있는 plasmin과 유사한 활성을 보이고 있다. 들빛 발효액과 면역활성과의 연관성은 NO 생성 증가율과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성 억제율 분석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들빛 발효액은 무려 15배의 높은 NO 생성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억제율은 들빛 발효액 100%에서 42%로 나타나 높은 면역조절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들빛 발효액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항산화력, 항고혈압 효과, 혈전분해능 및 면역 조절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음료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flavonoids and the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beverage of medical plants, DeulBit (DB). 50 g of Cassia semen (Cassia tora L.), 50 g of Omija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50 g of Gugija (Lycium chinense Mill), 50g of Menthae herba, 75 g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 등을 통해 생리활성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진 약재들을 혼합하여 발효 시켜서 만든 약초 음료(들빛)의 효능에 대한 객관적 검증을 위해 면역기능 증진 및 혈행 개선 효과, 그리고 항산화 효과에 대한 실험을 하고자 하였다.
  • 또한 Kim 등[1995]이 대두에서 각종 용매를 이용하여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여 실험한 항산화능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붉나무 순차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Lee 등[1993]의 연구결과에서도 이러한 사실을 입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들빛 발효액에 대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HPLC로 정량 분석하여(Table 1) 항산화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Quercetin은 들빛 발효액에서 0.
  • subtilis KCK-7[Paik 등, 2004] 등이 혈전분해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시료인 들빛 발효액으로부터의 혈전분해능이 예상되는바 그 활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들빛 발효액에서 혈전분해능이 나타났는데, 비교분석용으로 혈전분해제 plasmin 1µg과 들빛 열수 추출물 10 mg/mL을 사용하였다(Fig.

가설 설정

  • S: Sample absorbance. C: Control absorbance. B: Blank absorbance
  • 즉, 대식세포의 NOS(nitric oxide syntase)가 TNF-α와 같은 여러 가지 cytokine 과 대장균 lipopolysaccharide(LPS)와 같은 세균내 독소의 영향을 받아 NOS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어 방어물질 NO를 대량생산한다. 이와 반대로, 세포내 독소의 영향이 적어진다면 NO 생산량 또한 줄어들 것이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대장균 LPS를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NO를 유도시킨 다음 들빛 발효액을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NO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생리활성을 갖는 약용식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게 된 이유는?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의 연장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식습관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만성질환의 증가로 인해 항산화, 항암, 면역증진 및 혈행개선 등의 생리활성을 갖는 약용식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게 되었다[Lee 등, 2003; Sun과 Tanumihardjo, 2007]. 특히, 한의학 및 민간요법에서 그 효능을 인정받고 있던 생약재가 생체내에서 식균작용을 활성화하고 항체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등 질병에 대한 방어력을 증가시켜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Lee 등, 2004].
과실 전통발효의 경우, 탄수화물원이 부족할 경우 어떻게 진행하는가? 이는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는데, 과실 전통발효의 경우가 해당된다. 주로 발효성 당이 다량 함유되어있는 과실을 발효시켜 술로 많이 이용되어 왔는데, 탄수화물원이 부족할 경우에는 발효원료에 설탕, 전분 등 탄수화물원을 첨가하여 발효해왔다[Hong 등, 2006]. 또한, 식물체에는 여러 가지의 효소가 함유되어 있는데 그 효소 자체를 섭취하게 함으로써 체내에서 신진대사 기능을 촉진되게 할 뿐만 아니라 발효시키면서 더 많은 효소들이 활성화 되어 여러 가지 효능효과를 가지게 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건강음료의 특징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건강음료의 종류는 섬유소를 주로 한 변비예방과 정장작용을 돕는 것이거나 체중조절을 위한 것, 체내 수분과 전해질공급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며, 아직은 약용식물을 이용한 음료개발에 관한 연구가 일부 영역만을 다루고 있어 건강기능성 음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약용식물이 함유하고 있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물질들을 효소로 활성화시켜 다양한 생화학반응을 일으킴으로 해서 식물체의 성분들이 소화·흡수되기 쉬운 형태로 전환될수 있게 하여 새로운 생리기능을 하는 물질로 변화시키거나 유용성분이 증가한 음료를 개발하는 것이 부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KS, Noh EJ, Zhao HL, Jung SH, Kang SS, Kim YS. 2005.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 II by Platycodon grandiflorum saponins via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k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Life Sci 76, 2315-2328. 

  2. Ahn SW, Kim MH, Chung WT, Hwang B, Seong NS, Lee HY. 2000. Enhancement of alcohol fermentation yield by adding the extract of dried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Kor J Medicinal Crop Sci 8, 351-361 

  3. Astrup, T. and S. Hullertz. 1952.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 Biochem Biophy 40, 346- 351. 

  4. Bae IY, Yoon EJ, Woo JM, Kim JS, Lee HG, Yang CB.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wine using th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I. Characteristics of Mashes and Soju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5, 11-17. 

  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6. Cho EK, Song HJ, Cho HE, Kim MH, Choi IS, Choi YJ. 2009.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ine buds (Pinus densiflora)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and nitric oxide synthesis. J Life Sci. 19, 1629-1636. 

  7.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8. Hierholzer C, Harbrecht B, Menezes JM, Kane J, MacMicking J, Nathan CF, Peitzman AB, Billiar TR, Tweardy DJ. 1998. Essential role of induced nitric oxide in the initiat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after hemorrhagic shock. J Exp Med 187, 917-928. 

  9. Hong HD, Kang NK, Kim SS. 1998.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10. Hong SW, Kim JY, Lee BK, Chung KS. 2006. The bacterial biological response modifiee enriched chungkookja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8-553. 

  11. Hyun SH, Jung SK, Jwa MK, Song CK, Kim JH, Lim SB. 2007. Screen of antioxidants and cosmeceutical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in Jeju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00- 208. 

  12. Ischiropoulos H, al-Mehdi AB, 1995. Peroxynitrite-mediated oxidative protein modifications. FEBS Lett 364, 279-282. 

  13. Jeon HS, Lee YS, Kim NW. 2009.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orreya nucifera seed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 

  14. Jeon JR, Kim JY, Lee KM, Cho DH. 2005. Anti-obese effects of mixture contained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extracts. J Kor Soc Appl Biol Chem 48, 375-381. 

  15. Jeon TW, Park JH, Shin MG, Kim KH, Byun MW. 2003.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biological activities and color changes of extracts of Schizandrae fruc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7-142 

  16. Kang JH. 1993.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DNA damage of bioflavonoid extracted from Citrus sinensis. Kosin J Health Sci 3, 74-81. 

  17. Kang JM, Cha IH, Lee YK, Ryu HS. 1997. Identific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and flavor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fraction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09-213. 

  18. Kim JY, Maeng YS, Lee GY. 1995.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 extracts by using various solve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635-639. 

  19. Kim NM, Lee JW, Do JH, Yang JW. 2003. Effects of the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functionalities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wild vegetables. Kor J Food Sci Technol 35, 272-279. 

  20. Krncke KD, Fehsel K, Kolb-Bachofen V. 1997. Nitric oxide: Cytotoxicity versus cytoprotection-How, why, when, and where? Nitric Oxide 1, 107-120. 

  21. Lee MK, Choi GP, Ryu LH, Lee GY, Yu CY, Lee HY.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6-42. 

  22. Lee SE, Hwang HJ, Ha JS, Jeong HS, Kim JH. 2003. Screening of medical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Life Sci 73, 167-179. 

  23. Lee SK, Bae DH, Kwon TJ, Lee SB, Lee HH, Park JH, Heo S. 2001.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form Bacillus sp. KDO-13 isolated from soybean paste. J Microbiol Biotechnol 11, 845-845. 

  24. Lee SS, Kim SM, Park UK, Kim HY, Shin IS. 2002. Studies on proteolytic and fibrinolytic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JM-3 isolated from anchovy sauce. Kor J Food Sci Technol 34, 283- 289. 

  25. Lee YH, Lee SH, Jeon JM, Kim HC, Cho YU, Park KH, Choi YJ, Gal SW. 2005.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ene for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subtilis BB-1 isolated from black bean Chung-kuk. J Life Sci 15, 513-521. 

  26. Lee YJ, Shin DH, Chang YS, Kang WS. 1993. Antioxidative effect of Rhus javanica Linne extract by various solvents. Kor J Food Sci Technol 25, 677-682. 

  27. Luss H, Nussler NC, Beger HG, Nussler AK. 1996. Expression and detec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experimental models of inflammation. Methods 10, 51-60. 

  28. Ma SJ. 2000.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95-400. 

  29. Makris DP, Rossiter JT. 2001. Comparison of quercetin and nonorthohydroxy flavonoid as antioxidants by competing in vitro oxidation reactions. J Agric Food Chem 49, 3370-3377. 

  30. Marklund S,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31. Marletta MA. 1993. Nitric oxide synthase structure and mechanism. J Biol Chem 268, 12231-12234. 

  32. Paik HD, Lee SK, Heo S, Kim SY, Lee HH, Kwon TJ. 200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KCK-7 from ChungKookjang. J Microbiol Biotechnol 14, 829-835. 

  33. Parejo I, Viladomat F, Bastida J, Rosas-Romero A, Flerlage N, Burillo J, Conida C. 2002. Comparision betwee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x distilled and nondistilled Mediterranean herbs and aromatic plants. J Agric Food Chem 50, 6882-6890. 

  34. Park SJ, Park WJ, Lee BC, Kim SD, Kang MH.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different species Lycium chinensis Miller extracts by harvest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46-1150. 

  35. Park YE, Cho HM, Lee HJ, Hwang YS, Choi SSN, Lee SJ, Park ES, Lim JD, Choung MG. 2007. Antioxidant and inhibition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tivity of colored potato extracts. Kor J Crop Sci 52, 447-452. 

  36. Peng Y, Huang Q, Zhang RH, Zhang YZ. 200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DC-4 screened from douchi, a traditional Chinese soybean food. Comparative Biochem Physiol Part B 134, 45-52. 

  37. Seo JS, Lee TH, Lee SM, Lee SE, Seong NS, Kim JY. 2009.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activated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 J Medicinal Crop Sci 17, 173-178. 

  38. Song HS, Moon HJ, Park BE, Choi BS, Lee DJ, Lee JY, Kim CJ, Sim SS.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of bamboo extracts. Yakhak Hoeji 51, 500-507. 

  39. Sun T, Tanumihardjo SA. 2007. An Integrated approach to evaluate food antioxidant capacity. J Food Sci 72, 159-165. 

  40. Wink DA, Cook JA, Pacelli R, DeGraff W, Gamson J, Liebman J, Krishna MC, Mitchell JB. 1996. The effect of various nitric oxide-donor agents on hydrogen peroxide-mediated toxicity: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nitric oxide formation and protection. Arch Biochem Biophys 331, 241-248. 

  41. Winterbourn CC, Kettle AJ. 2003. Radical-radical reactions of superoxide: A potential route to toxicity. Biochem Biophys res comm 305, 729-7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