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현미의 품종별 가공 처리에 따른 화학적 품질 특성
The Chemical Quality Properties during Processing Treatment of Brown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3 no.1, 2010년, pp.37 - 43  

이종구 (식품의약품안전청) ,  권광일 (식품의약품안전청) ,  최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청) ,  최종동 (식품의약품안전청) ,  정명근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임무혁 (식품의약품안전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밀로오스 함량이 서로 다른 품종의 현미를 이용하여 가공 처리 즉, frying 처리와 parboiling 처리를 하여 여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페놀성 물질 함량은 품종에 따른 뚜렷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품벼의 실험 결과를 볼 때 frying 처리 후 현미가 백미보다 높은 페놀성 물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Blue value는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서 고도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판단된다. 향기 성분은 Hydrocarbons류와 Esters류가 각각 3종, Alcohols류와 Acetals류가 각각 2종, Aldehydes류가 5종, Acids류가 6종이 동정되었다. 그 중에서 Aldehydes류의 Benzaldehyde, Phenylmethana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B군은 현미 무처리구보다는 가열처리 후 frying 처리구의 vitamin 함량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vitamin $B_1$함량은 1.4189~1.6494 mg에서 0.3102~0.7097 mg으로 감소되었고, vitamin $B_2$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함량이 증가하였고, parboiling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Vitamin $B_6$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함량이 감소하였다. Niacin은 함량이 상대적으로 다른 vitamin B군에 비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무기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Mg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대체적으로 아밀로오스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미를 품종과 처리 조건에 따라 달리하여 frying 처리한 전자 공여능 결과 백미보다는 현미상태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전자 공여능 값을 보여주었고, 무처리구보다 유탕 처리 후 좀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hemical quality properties during processing treatment using the brown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It was investigated using Hwaseonchalbyeo, Baegjinjubyeo, Ilpumbyeo and Goamibyeo varieties. As for the chemical properties of fried br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 사용된 parboiling 처리는 인도에서 처음 기원한 것으로서 세계에서 가공되는 쌀의 20%를 차지하고 있으며[Lee and Cho, 1996], parboiled rice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 대규모로 생산되었고[Park 등, 1987], 현재 미국에서 수출되는 쌀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parboiling 처리는 껍질의 제거를 쉽게 하려고 개발되어 여러 가지 저장성, 영양학적 측면, 경제적인 측면이 부각되면서 그 개발이 증가되어 여러 나라에서 광범위하게 급속한 성장을 하게 되었다[Park and Cho, 1995].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현미와 백미를 가공 처리 즉, frying 처리, parboiling 처리[Park and Cho, 1995]에 의하여 처리구별 페놀성 물질, Blue value, 휘발성 향기성분, 비타민 B군, 무기질, 전자공여능 즉,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가공 처리가 영양성이 우수한 현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미의 이용률이 낮은 이유는? 우리나라에서는 쌀 입식의 형태인 밥으로 주로 이용되며 가공품으로서 떡이나 한과 등이 이용되지만 서구화에 길들여진 현대인의 미각에는 그다지 선호되지 않는 실정이다. 쌀의 겉껍질만을 제거한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영양분은 많으나 소화율이 낮고 외관이 나쁘다는 이유로 잘 이용되지 않고 있어서[Juliano, 1971]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parboiled rice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쌀의 영양개선은 이루어졌으나 기호성, 외관 등이 나쁜 문제점은 아직도 남아 있다. 지금까지 현미를 이용한 연구로는 쌀 음료의 개발 및 발아시킨 현미를 식혜의 원료로 이용하는 연구[Lee and Kim, 1998], 현미 및 발아 현미분을 첨가한 기능성 식빵의 제조시험[Kang 등, 1997; Choi, 2001] 등, 발아현미를 이용한 압출 팽화 현미분말을 제조하여 빵 제품에 활용한 연구[Suzuki 등, 2003]등이 보고된 바 있다.
품종별 현미의 Blue value가 아밀로오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이유는? 품종별 현미의 Blue value를 조사한 결과 Table 6과 같이 아밀로오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전분의 구조상에서 직쇄상 구조를 많이 가질수록 blue value가 높게 나타나며 이와는 반대로 아밀로펙틴은 곁가지 구조를 하고 있어 낮은 blue value 값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Han 등[2006]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에서 통일미의 소비가 줄어든 원인은? 곡류 중에서 쌀은 비교적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완전식품이나 우리나라에서 주로 소비되어지는 통일미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아 쌀의 끈기와 윤기가 적어 식미가 떨어지므로 소비자들에 의한 기호성이 자연적으로 낮아져 소비가 줄어들게 되었다. 1990년대부터 최근에 들어서는 국민소득의 향상에 따라 쌀 소비가 더욱 감소되어 식생활의 다양화와 고급화 추세에 따라 그에 따른 우리 쌀의 소비촉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Han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JH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prou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23-328. 

  2. Cooke, D. and Gildley, M.J. (1992) Loss of crystalline and molecular order during starch gelatinization: origin of the enthalpic transition. Carbohydrate Research 227, 103-112. 

  3. Gilbert, G.G. and Spragg, S.P. (1963) Iodimetric determenation of amylose. Physical Analysis 4, 168-176. 

  4. Han GJ, Lee HY, Park HJ, Park YH, Cho YS (2007) Cooking Technique Developoment to Improve the Taste of Cooked Rice: -A consumer survey on purchasing rice and cooked rice consump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52-460. 

  5. Han OK, Cho CH and Chae JC (1998)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flavor components and their difference among wheat varieties. Korean J Breed 30, 273-282 

  6. Han SH, Lee HY, Kum JS and Park JD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ufa (Cyperus esculentus L., var sativus Boeck) Starch. Korean J Food Preserv 13, 382-388. 

  7. Johnson, O.C., Sakuragi, T. and Kummerow, F.A. (1956) A comparative study of the nutritive value of thermally oxidized oils. The J American Oil Chem. Soc 33, 433. 

  8. Joung SY, Lee SJ, Sung NJ, Jo JS and Kang SK (1997)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mb) leaf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671-679. 

  9. Juliano, B.O. (1971) A simplified assay for milled rice amylose. Cereal Sci Today 16, 334-347. 

  10. Kang MY, Choi YH and Choi HC (1997)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Rice Bread Processing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Korean J Soc Food Sci 13, 64-69. 

  11. Karahadian C. and Johnson K.A. (1995) Analysis of headspace volatil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esh corn tortillas made from fresh mass dough and spray-dried masa flour. J Agric Food Chem 41, 791-799. 

  12. Kim JY, Kim SH and Lee YJ (2005) Study of Stability in the Riboflavin Content of Dietary Supplements on Storage Conditions. J Fd Hyg Safety 20, 225-231 

  13. Kim MS, Yang HR and Jeong YH (2004) Mineral Contents of Brown and Milled Rice. J Korean Soc Food Nutr 33, 443-446.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 Food Code, Seoul. 

  15. Lee MS and Cho EJ (1996) Cooking Characteristics and Firming Rate of Cooked Parboiled Rice. Korean J Soc Food Sci 12, 46-53. 

  16. Lee WJ and Kim SS (1998) Preparation of Sikhe with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6-150. 

  17. Mahoney, J.R. and Graf, E. (1986) Gole of alpha-tocopherol, ascorbic acid citric acid and EDTA as oxidants in model system. J Food Sci 5, 1293-1296. 

  18. Park SH and Cho EJ (1995) Physical and cooking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parboiled rice. Korean J Soc Food Sci 11, 126-132. 

  19. Park SH, Cho EJ and Kim SK (1987) Cooking Properties of Chunmabyeo(Japonica) and Kayabyeo(J/Indica) Rice. J Korean Soc Food Nutr 16, 69-74. 

  20. Park YK, Lee WY, Ahn JK and Hwang BH (2006)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alcones. J Korean Wood Sci Technol 34, 88-94. 

  21. Prosky, L., Asp, N.G., Furda, I., Devreis, J.W., Schweizer, T.F. and Harland, B.A. (1987)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J Assoc Off Anal Chem 67, 677-684. 

  22. Shin DH, Kim MK, Chung and Lee HY (1989)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Popped Rice Snack) made by Different Varieties of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20-825. 

  23. Song SJ, Lee YS and Rhee CO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ooked Blank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15-1021. 

  24. Shultz T.H., Flath, R.A., Mon, T.R., Enggling, S.B. and Teranishi R. (1977)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25, 446-449. 

  25. Suzuki, K., Okadome, H., Okunishi, T (2003) Development of a Novel Food Material Using Germinated Brown Rice by Twinscrew Extrusion.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Food Science and Technology 50, 474-482. 

  26. Yajima I., Yanai T., Nakamura M., Sakakibara H. and Habu T (1978)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oked rice. Agric Biol Chem 42, 1229-1234. 

  27. Yoshimi Sugimoto (1982) Some Properties of Starch Granules from Different Plant Species. J Jpn Soc Starch Sci 29, 19-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