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강슬래그와 석회석을 이용한 비소오염 농경지 토양 안정화 연구
Study for the Stabilization of Arsenic in the Farmland Soil by Using Steel Making Slag and Limestone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3 no.4, 2010년, pp.305 - 314  

이민희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전지혜 ((재)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강슬래그와 석회석을 이용하여 비소로 오염된 농경지 토양으로부터 비소 용출을 안정화 시키는 배치 및 대형 칼럼 실험을 실시하여, 제강슬래그와 석회석이 토양 내 비소안정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토양의 비소 농도가 토양오염우려기준 농도의 약 2배(12.3 mg/kg)인 전남 광양 주변 초남광산 주변에 위치한 밭토양을 대상으로 안정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안정화제로 사용한 제강슬래그 이화학분석 결과 비소 공침 효과가 높은 Ca, Fe, Al, Mg 산화물 함량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화제 종류별 비소 용출 저감 효과를 규명하고 최적 안정화제 주입 비율을 선정하기위한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토양 대비 석회석(또는 제강슬래그)의 첨가 비율을 1, 2, 3% 로 설정하여 비소 용출 저감 효율을 규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석회석과 제강슬래그를 다양한 비 율로 혼합한 혼합안정화제도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치실험 결과 오염토양으로부터 용출되는 비소 농도는 1% 와 3% 석회석 첨가에 의해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오염 토양의 비소 용출 농도 대비 각각 51%, 62% 감소하였다. 1%와 3% 제강슬래그를 오염토양에 첨가한 경우 비소 용출 농도는 각각 46%, 52% 감소하였다. 석회석 1%+제강슬래그 1%, 석회석 1%+제강슬래그 2%, 석회석 2%+제강슬래그 1%를 첨가하여 실험한 경우, 비소 용출농도는 각각 63%, 62%, 72% 감소하였다. 비소 용출 농도 및 용출 누적량을 계산하여 안정화공법에 의한 비소 오염 토양의 장기적 안정화를 예측하고자 인공강우에 의한 연속 용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수시스템 및 격자형의 하부 스크린이 설치된 직경 15 cm, 높이 100 cm 의 대형 아크릴 칼럼을 제작하였으며, 용출시험 결과로부터 비소 용출 저감 효과가 뛰어난 석회석 2%+제강슬래그 1%를 혼합하여 연속 칼럼 실험의 안정화제로 사용하였다.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칼럼의 경우 인공강우에 의한 비소 용출 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 $50-80\;{\mu}g/L$ 를 유지하였다. 2% 석회석과 1% 제강슬래그를 오염토양과 혼합한 칼럼의 경우 비소 용출 농도는 1년 이내에 80% 이상 감소하였으며, 지하수 생활용수기준치인 $50\;{\mu}g/L$ 보다 낮게 나타나 오염토양으로부터의 비소의 안정화 효과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석회석과 제강슬래그의 비소 안정화 기작을 규명하기위해 석회석과 제강슬래그를 3가비소(arsenite) 용액과 혼합하여 반응시 켜 공침된 광물 결정에 대하여 SEM/EDS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방해석($CaCO_3$) 이외에 포틀랜다이트(portlandite)와 칼슘-비소 산화물(Ca-As-O 계열)이 추가로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추가 생성 광물에 의한 비소 포획이 주요 비소 고정 기작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bilization process using limestone ($CaCO_3$) and steel making slag as the immobilization amendments was investigated for As contaminated farmland soils around Chonam abandoned mine, Korea. Batch and continuous colum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quantify As-immobilization effic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연구에서는 석회석과 제강슬래그의 토양 내 비소 고정 효과를 배치 및 연속 칼럼 실험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안정화제의 토양 내 비소 고정 기작을 이해하기 위하여 석회석과 제강슬래그와 반응하여 형성된 비소함유 침전물의 성상과 특성을 XRD, SEM-EDS 분석 등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 , 2008). 본 연구에서는 안정화제 첨가에 의한 토양 내 비소 제거 기작을 알아보기 위한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증류수 30 ml 에 분말 석회석(또는 제강슬래그) 2g 과 아비산나트륨(sodium arsenite: NaAsO2) 2g 을 첨가한 후 상온 (20℃)에서 30rpm 으로 7일 동안 항온 진탕한 후 필터링 하였다.
  • 증류수 30 ml 에 분말 석회석(또는 제강슬래그) 2g 과 아비산나트륨(sodium arsenite: NaAsO2) 2g 을 첨가한 후 상온 (20℃)에서 30rpm 으로 7일 동안 항온 진탕한 후 필터링 하였다. 필터지에 남아있는 침전물을 상온에서 48시간 건조시킨 후 SEM/EDS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결과를 아비산 나트륨과 반응하기 전 안정화제의 SEM/EDS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안정화제에 의한 비소 고정 기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exandratos, V., Elzinga, E. and Reeder, R. (2007) Arsenate uptake by calcite: Macroscopic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adsorption and incorporation mechanisms. Geochim. Cosmochim, v.71, p.4172-4187. 

  2. Bothe, JV. and Brown, PW. (1999) Arsenic immobilization by calcium arsenate formation. Environ. Sci. Technol., v.33, p.3806-3811. 

  3. Dutre, V. and Vandecasteele, C. (1995) Solidification/stabilisation of arsenic-containing waste: Leach tests and behaviour of arsenic in the leachate. Waste Manage, v.15, p.55-62. 

  4. Kim, H.S. and Park, G.S. (2009) Beneficial reuse of steelmaking slag for restoration of coastal ecosystem. Korean geo-Environ Soc., v.10, p.57-66. 

  5. KIGAM(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6) Assessment of heavy metal hazards in mineralization zones and natural attenuation technologies of heavy metal. Final Report/OAAsoo4030-2006(3). p.45-47. 

  6. Lee, M., Lee, J., Cha, J. and Lee, J.M. (2004) Remediation design using soil washing and soil improvement method for As contaminated soils and stream deposits around and abandoned mine. Econ. Environ. Geol., v.37, p.121-131. 

  7. Lee, M,, Lee, Y., Yang, M., Kim, J. and Wang, S. (2008) Lime(CaO) and limestone( $CaCO_{3}$ ) as the stabilization process for contaminated farmland soil around abandoned mine, Korea. Econ. Environ. Geol., v.41, p.201-210. 

  8. Lee, W.C., Cho, H.G., Kim, Y.H. and Kim, S.O. (2009) A mineralogical study on the arsenic behavior in the tailings of Nakdong mine. J. Miner. Soc. Korea. v.22, p.359-370. 

  9. Lee, W.C., Jeong, J.O., Kim, J.Y. and Kim, S.O. (2010) Characterization of arsenic immobilization in the Myungbong mine tailing. Econ. Environ. Geol., v.43, p.137-148. 

  10. MAF(Ministry for Agriculture and Fisheries). (1983) Farmland Improvement Design Standards. 

  11. Moon, D.H., Dermatas, D. and Menounou N. (2004) Arsenic immoblization by calcium-arsenic precipitates in lime treated soils. Sci. Total Environ., v.330, p.171-185. 

  12. Moon, D.H., Wazne M., Yoon, I.H. and Grubb, G. (2008) Assesment of cement kiln dust(CKD) for stabilization/solidification(S/S) of arsenic contaminated soils. J. Hazard. Mater., v.159, p.512-518. 

  13. Navarro, M.C., Perez-Sirvent, C., Martinez-Sanchez, M.J., Vidal, J., Tovar, P.J. and Bech, J. (2008) Abandoned mine sites as a source of contamination by heavy metals: A case study in a semi-arid zone. J. Geochem. Explor., v.96, p.183-193. 

  14. Oeters, F. (1999) Metallurgie der Staulherstellung, translated by Lee, C.H. and Lee, H.G., The Korea Economic Daily & Business Publications Inc., p . 19-151. 

  15. Palfy, P., Vircikova, E. and Molnar, L. (1999) Processing of arsenic waste by precipitation and solidification. Waste Management, v.19, p.55-59. 

  16. Park, M.E., Sung, J.Y., Lee, M, Lee, P.K. and Kim, M.C. (2005) Effects of pH-Eh on natural attenuation of soil contaminated by arsenic in the Dalchen mine area, Ulsan, Korea. Econ. Environ. Geol., v.38, p.513-523. 

  17. Rodriguez. L., Ruiz, E., Alonso-Azcarate, J. and Rincon, J. (2009) Heavy metal distribution and chemical speciation in tailings and soils around a Pb-Zn mine in Spain. J. Environ. Manage., v.90, p.1106-1116. 

  18. Roman-Ross, G., Cuello, G.J., Turrilas, X., Fernandez-Martinez, A. and Charlet, L. (2006) Arsenite sorption and co-precipitation with calcite. Chemical geology, v.233, p.328-336. 

  19. Singh, T.S. and Pant, K.K. (2006) Solidification/stabilization of arsenic containing solid wastes using portland cement, fly ash and polymeric materials. J. Hazard. Mater., v.131, p.29-36. 

  20. So, H., Postma, D., Jakobsen, R. and Larsen F. (2008) Sorption and desorption of arsenate and arsenite on calcite. Geochim. Cosmochim. Acta, v.72, p.5871-5884. 

  21. Son, J.H., Roh, H., Lee, S.Y., Kim, G.H., Park, J.K., Yang, J.K. and Chang, Y.Y. (2009) Stabiliz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paddy soils near abandoned mine with steel slag and CaO. J. Soil & Groundwater Env., v.14, p.78-86. 

  22. Wang, S. and Mulligan, C.N. (2009) Enhanced mobilization of arsenic and heavy metals from mine tailings by humic acid. Chemosphere, v.74, p.274-279. 

  23. Welch, A.H., Lico, M.S., Hughes, J.L. (1988) Arsenic in ground water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Ground Water, v.26, p.333-3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