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감각운동자극이 저체중 미숙아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imotor Stimulation on Development of Infants with Low Birth Weight Premature in NICU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3, 2010년, pp.499 - 508  

이은주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물리치료) ,  박소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물리치료) ,  오태영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박래준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nsorimotor stimulation on the development of infant with low birth weight premature. Methods : Ten infants with low birth weight premature and ten normal inf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est TIMP(Test of Inf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상발달에 취약성을 가진 저체중 미숙아에게 물리치료사에 의한 감각 운동 자극 중재를 실시한 후 정상발달 기준치인 만삭아와 비교를 통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조기 감각 운동 자극 중재가 저체중 미숙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발달에 장애를 초래하게 될 취약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저체중 미숙아에게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조기에 실시한 감각운동자극 중재가 발달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저체중 미숙아들은 미성숙한 생리적 기능과 모체의 자궁 내의 환경과는 다른 환경으로 인하여 정상 발달 지연을 초래할.
  •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물리치료사에 의해 제공되는 감각운동자극이 저체중 미숙아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 결과 감각운동자극 프로그램은 시차에 따른 저체중 미숙 아군의 유아 운동수행검사 비교에서 효과가 있었고, 더 나아가 정상 만삭아군과 저체중 미숙아군 40주의 유아 운동수행 검사 비교에서도 저체중 미숙아의 발달점수가 향상되어 감각운동자극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준원, 이건수. 미숙아에서 발달 장애의 예후인자. 대한소아신경학회지. 2007;15(1):67-74. 

  2. 김중선, 서경희. 저출생 체중 미숙아의 발달 및 학습상의 제 문제에 관한 고찰. 정서학습장애연구. 1998; 14(1):25-44. 

  3. 박진희, 박호란. 노리개젖꼭지 제공이 미숙아의 심박동수, 산소포화도 및 행동상태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2007;13(3):299-307. 

  4. 송희승, 신희선. 감각자극이 미숙아의 체중 증가, 행동상태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01;31(4):703-11. 

  5. 오명호, 이인규, 이희정. 일반 영아와 위험군 영아에 관한 발달 평가. 아동학회지. 2004;25(5): 147-61. 

  6. 임혜상, 박은숙, 김명화 등. 약손요법이 미숙아의 체중 증가와 미숙아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2005;11(4):481-9. 

  7. 장미영. 캉가루식 돌보기가 미숙아의 체중과 스트레스 호르몬(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2008;14(2):138-45 

  8. 정경화, 유일영, 김희순 등. 달래기 젖꼭지 제공이 위관수유 중인 미숙아의 생리적 상태 및 행동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06;36(5): 732-41. 

  9. 정남연, 송영신. 아기마사지가 미숙아의 신체성장과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2009; 15(1):71-80. 

  10. 주현옥.G시 보건소에 등록된 미숙아의 영유아기 성장과 발달 상태. 아동간호학회지. 2008;14(1): 44-52. 

  11. 추선자, 최순희. 음악요법이 미숙아의 심박동수와 행동상태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2006;12(1):84-8. 

  12. 통계청. 2008. http;//www.kosis.kr/ 

  13. Acolet D, Modi N, Giannakoulopoulos et al. Changes in plasma cortisol and catecholamine concentrations in response to massage in preterm infants. Arch Dis Child 1993;68:29-31. 

  14. Als H, Gilkerson L. The role of relationship based developmentally supportive newborn intensive care in strengthening outcome of perterm infants. Semin Perinatol. 1997;21(3):178-89. 

  15. Als H, Lawhon G, DuftY FH et al.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for the very low-birth-weight preterm infant. Medical and neurofunctional effects. JAMA. 1994;272(11 ):853-8. 

  16. Als H. The behavior of the preterm infant. Paper presented at Conference on "Caring for Special Babies".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981. 

  17. Aly H, Moustafa MF, Hassanein SM et al. Physical activity combined with massage improves bone mineralization in premature infants; a randomized trial. J Perinatol. 2004;24(5):305-9. 

  18. Arce CA, Iriondo SM, Karuel VJ et al. Neurological follow-up of very low birth weight newborns at the age of two years(1988-1999). An Pediatr (Bare). 2003;59(5):454-61. 

  19. Blackburn S. Environmental impact of the nicu developmental outcome. J Pediatr Nurs. 1998; 13 (5):279-89. 

  20. Boiron M, Nobrega L, Roux S et al. Effects of oral stimulation and oral support on non-nutritive sucking and feeding performance in preterm infants. Dev Med Child Neurol. 2007;49(6):439- 44. 

  21. Brazelton TB. 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 2nd ed. London. Spastic International Medical Publications. 1984. 

  22. Burguet A, Monnet E, Roth P et al. Neuro developmental outcome of premature infants born at less than 33 weeks of gestational age and not cerebral palsy at the age of 5 years. Arch Pediatr. 2000;7:357-68. 

  23. Cameron EC, Maehle V, Reid J. The effects of an early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for very preten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Pediatr Phys Ther. 2005;17(2):107-19. 

  24. Campbell SK, Kolobe TH, Osten ET et al. Construct validity of the test of infant motor performance. Phys Ther. 1995;75(7):585-96. 

  25. Campbell SK, Osten ET, Kolobe TIl et al. Development of the test of infant motor performance. Phys MED Rehabil Clin N Am 1993;4(3):541-50. 

  26. Darcy A. Neurological rehabilitation (umphred). 5th. London. Mosby Elsevier. 2007. 

  27. Feldman R, Eidelman AI. Skin-to-skin contact (Kangaroo Care) accelerates autonomic and neurobehavioural maturation in preterm infants. Dev Med Child Neurol. 2003;45(4):274-81. 

  28. Field T, Diego MA, Hemandez-Reif M et al. Moderate versus light pressure massage therapy leads to greater weight gain in preterm infants. Infant Behav Dev. 2006;29(4):574-8. 

  29. Girolami GL, Campbell SK. Efficacy of a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program to improve motor control in infants born prematurely. Pediatr Phys Ther. 1994;6:175-84. 

  30. Harrison LL, Williams AK, Berbaum ML et al. Physiologic and behavioral effects of gentle human touch on preterm infant. Res Nurs Health. 2000;23(6):435-46. 

  31. Holditch-Davis D, Bartlett TR, Belyea M. Developmental problems and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prematurely born children. J Pediatr Nurs. 2000; 15(3): 157-67. 

  32. Tecklin JS. Pediatric physical therapy.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ens. 1999. 

  33. Johnson MH. Functional brain development in infants: elements of an interactive specialization framework. Child Dev. 2000;71:75-81. 

  34. Kleberg A, Westrup B, Stjemqvist K. Developmental outcome, child behaviour and mother - child interaction at 3 years of age following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intervention program (NlDCAP) intervention early human development. Early Hum Dev. 2000;60(2):123-35. 

  35. Leib SA, Benfield DG, Guidubaldi J. Effects of early intervention and stimulation on the preterm infant. Pediatrics. 1980;66(1):83-90. 

  36. Lekskulchai R, Cole J. Effect of a developmental program on motor performance in infants born preterm. Aust J Physiother. 2001;47:169-76. 

  37. Mahoney, Marla C, Cohen et al. Effectiveness of developmental interventio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mplications for neonatal physical therapy. Pediatr Phys Ther. 2005;17(3): 194-208. 

  38. Monterosso L, Kristjanson L, Cole J. Neuromotor development and physiologic effects of positioning in low birth weight infant.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2002;31(2):138-46. 

  39. Nudo RJ, Miliken GW, Jenkins WM et al. Usedependent alterations of movement representations in primary motor cortex of adult squirrel monkeys. J neurosci. 1996;16:785-807. 

  40. Prechtl H. The neurological examination of the full-term newborn infant Philadephia JB Lippincott. 1977. 

  41. Swaiman KF, Wu Y. Cerebral palsy. Pediatric neurology principles and practice. 4th ed. Philadelphia Mosby. 2006. 

  42. Sweeney JK, Heriza CB, Blanchard Y et al. Neonatal physical therapy. Part II: Practice frameworks and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Pediatr Phys Ther. 2010;22(1):2-16. 

  43. Vaivre-Douret L, Ennouri K, Jrad I et al. Effect of positioning on the incidence of abnormalities of muscle tone in low-risk, preterm infants. Eur J Paediatr Neurol. 2004;8(1):21-34. 

  44. Wang SJ, Chen CN, Hsieh WS et al. Development of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preterm neonates. Audiol Neurootol. 2008;13(3): 145-52. 

  45. Weisglas-Kuperus N, Baerts W, Smrkovsky M et al. Effects of biological and social factors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very low birth weight children. Pediatrics. 1993;92(5):658-65. 

  46. White-Traut RC, Nelson MN, Silvestri JM et al. Developmetal patterns of physiological response to a multisensory intervention in extremely premature and high-risk infants.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2004;33(2):266-75. 

  47. Wolf MJ, Koldewijn K, Beelen A et al. Early intervention in preterm infants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Pediatrics. 2004;114(6):1738-9 

  48. Wong DL, Hockenberry-Eaton M, Wilson D et al. Essential of pediartic nursing. 6th ed. New York. Mosby. 2001. 

  4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Retrived from http://www.who.int/whosi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