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합성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oculata의 최적배양 조건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Photosynthetic Microalgae Nannochloropsis oculata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1 no.6, 2010년, pp.659 - 663  

박현진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생명공학과) ,  진은정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생명공학과) ,  정태만 (에이엠 바이오(주)) ,  주현 (인제대학교 생리학교실) ,  이재화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세조류는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고 있으며 일부 종들은 인간의 식품에 이용되어 왔다. 특히, 광합성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oculata는 영양적 가치가 우수하여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합성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oculata의 고농도배양을 위한 배양온도, 초기 pH, 배양액 선정, 인공해수 농도, 배지농도, $CO_2$영향 등 최적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3%의 인공해수, 초기 pH 8.5, 배양온도 $25^{\circ}C$가 최적 배양조건으로 판별되었다. 미세조류에 $CO_2$를 공급하지 않았을 때에는 건조 균체량이 0.76 g/L이었지만, 5% $CO_2$ 공급 이후 1.50 g/L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클로로필 생합성은 미세조류 성장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algae has been seen all over the seawater and several species are used for human food. Specially, Nannochloropsis oculata, a photosynthetic microalgae, has been focused for a vast array of valuable nutritious compounds. In order to find high mass Nannochloropsis oculata culture conditions, so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Nannochloropsis oculata의 성장과 염도별 배양액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증류수, NaCl, 인공해수와 해수 총 4종류를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NaCl과 인공해수의 경우는 증류수에 NaCl과 인공해수를 각각 3%의 농도로 만들었으며, 해수(부산 연근해)의 경우 해수를 여과한 후 사용하였다.
  • 미세조류는 빛 이외에도 다양한 성장인자를 요구하며 물과 이산화탄소, 여러 영양분[27] 뿐만 아니라 pH, 온도, 배지성분, 교반속도 및 염농도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조절되어진다[7]. 본 연구는 배양에 필수적인 기본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CO2의 영향에 따른 Nannochloropsis oculata의 성장을 비교분석 하였다. 이는 Nannochloropsis oculata의 대량 배양에 필요한 효율이 높은 광생물 반응기 개발을 위하여 필요한 연구로써 Nannochloropsis oculata의 고농도 배양과 산업화에 이용이 기대된다.
  • 인공해수의 농도가 Nannochloropsis oculata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5일 간격으로 20일간 pH와 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조류는 어떻게 이용되는가? 대다수는 녹조류나 남조류로 수중에서 태양 에너지와 이산화탄소, 무기염류로 존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해양 및 담수에 많이 존재한다[1,2]. 미세조류의 산업적 이용은 1940년 세계2차 대전 중 독일에서 식물성 지방과 기름을 생산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3]. 미세조류는 염료, 기름, 탄화수소를 생산하여 대체 에너지로써 이용가능하며 토양의 정화와 비료[4] 및 동물사료[5,6]로서 산업적으로 유용 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세조류에서 합성되는 기능성 색소는 산화방지 및 노화방지제로서 이용된다[7].
미세조류의 장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미세조류는 육상식물보다 성장이 빠르며 빛이 있는 곳에서 쉽게 배양되는 큰 장점을 가진다[16].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통하여 이산화탄소 고정화 역할을 하므로 지구온난화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오늘날 미세조류를 이용한 CO2 저감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미세조류인 Nannochloropsis의 크기는? Nannochloropsis의 경우 1∼4 µm[8]로 크기가 작으며[9] 수산양식용 사료로 많이 이용된다[10]. Nannochloropsis의 superfamily에는 N.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H. Kim, C. M. Choi, W. I. Kim, J. S. Lee, G. B. Jung, J. D. Shin, J. S. Sung, J. T. Lee, and S. G. Yu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6, 7 (2007). 

  2. D. S. Joo, C. K. Jung, C. H. Lee, and S. Y. Cho, J. Korean Fish. Soc., 33, 475 (2000). 

  3. S. K. Kim, H. C. Baek, H. G. Byun, O. J. Kang, and J. B. Kim, J. Korean Fish. Soc., 34, 260 (2001). 

  4. E. K. Park, M. W. Seo, and C. G. Le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9, 227 (2001). 

  5. A. Vonshak, Biotechnol. Adv., 8, 709 (1990). 

  6. T. Ogawa and G. Terui, J. Ferment. Technol., 48, 361 (1970). 

  7. Y. S. Kim, Chemical J., 8, 35 (1995). 

  8. R. R. L. Guillard and J. H. Ryther, Grand. Can. J. Microbiol., 3, 229 (1962). 

  9. L. Krienitz, D. Hepperle, H. B. Stich, and W. Weiler, Phycologia., 39, 219 (2000). 

  10. http://www.reed-mariculture.com 

  11. D. H. Hwang and A. E. Carroll, Am. J. Clin. Nutr., 33, 590 (1980). 

  12. M. Y. Lee and H. W. Shin, J. Appl. Phycol., 15, 13 (2003). 

  13. B. S. Min, MS disseretation, Dept. of Genetic Engineering, Graduate school, Soonchunhyang University, 91 (2004). 

  14. M. Y. Lee, B. S. Min, C. S. Chang, and E. S. Jin, Marine Biotechnol., 8, 238 (2006). 

  15. W. Moshe, S. Assaf, and M. Shoshana,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2266 (2003). 

  16. M. A. Borowitzka, J. Appl. Phycol., 4, 267 (1992). 

  17. H. M. Oh, J. S. Kim, and S. J. Lee, Kor. J. of Environ. Biol., 16, 291 (1998). 

  18. T. H. Kim, K. D. Sung, J. S. Lee, J. Y. Lee, S. J. Oh, and H. Y. Le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237 (1997). 

  19. J. Carlos, R. C. Belen, L. Diego, and N. Xavier, Aquaculture., 217, 179 (2003). 

  20. J. Carlos, R. C. Belen, and N. Xavier, Aquaculture, 221, 331 (2003). 

  21. C.-G. Lee, Korea Society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Conference and Bio-Venture Fair, 41 (2000). 

  22. Y. M. Kim, J. Y. Kim, S. M. Lee, J. M. Ha, T. H. Kwon, and J. H. Lee, Appl. Chem. Eng., 21, 1 (2010). 

  23. Y. M. Kim, M. R. Kim, T. H. Kwon, J. M. Ha, and J. H. Lee, J. Korean Ind. Eng. Chem., 20, 285 (2009). 

  24. D. S. Joo, M. G. Cho, R. Buchholz, and E. H. Lee, J. Korean Fish. Soc., 31, 409 (1998). 

  25. D. S. Joo, C. K. Jung, C. H. Lee, and S. Y. Cho, J. Korean Fish. Soc., 33, 475 (2000). 

  26. Y. S. Kim, H. I. Park, D. K. Kim, and D. W. Park,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 277 (2003). 

  27. D. J. Mchugh, FAO Fish. Tech. Pap., 441, 105 (2003). 

  28. L. Krienitz, D. Hepperle, H. B. Stich, and W. Weiler, Phycologia., 39, 219 (2000). 

  29. G. A. Cood, K. Okabe, and W. P. Stewart, Arch. Microbiol., 124, 149 (1980). 

  30. P. C. Chen, Ph. D. Dissertation, Gottingen Univ., Germany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