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지연못습지의 수질 및 토양환경 분석
The Analysis of Water and Soil Environment at Farm Pond Depressio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3 no.3, 2010년, pp.46 - 62  

손진관 (단국대학교-농촌진흥청 학연협동과정) ,  강방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남춘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water and soil properties to propose the promotion of vegetation environment at farm pond depression. We selected 8 palustrine wetlands from agricultural area after consideration of human interference, surround land use, and size of area. Water quality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활용하여 습지식물의 식생특성과 생육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식물종의 생활사를 이해하는 한편 무분별한 매립으로 감소하고 있는 농촌지역농지연못습지의 보전가치를 제시 및 생육환경 및 식생특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본 논문의 결과는 습지의 유지․관리에 활용하고 생태연못 등의 대체서식지 조성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소택형습지 중 농지연못습지의 생육환경을 분석함으로써, 방치·훼손된 습지복원에 활용하고 습지 창출에 있어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생육환경에 따른 식생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선행연구로 생육환경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소택형습지 중 농지연못습지를 대상으로 생육환경에 따른 식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1차 연구로 농지연못습지의 전반적인 생육환경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습지식물의 식생특성과 생육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식물종의 생활사를 이해하는 한편 무분별한 매립으로 감소하고 있는 농촌지역농지연못습지의 보전가치를 제시 및 생육환경 및 식생특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소택형습지 중 농지연못습지를 대상으로 생육환경에 따른 식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1차 연구로 농지연못습지의 전반적인 생육환경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습지식물의 식생특성과 생육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식물종의 생활사를 이해하는 한편 무분별한 매립으로 감소하고 있는 농촌지역농지연못습지의 보전가치를 제시 및 생육환경 및 식생특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본 논문의 결과는 습지의 유지․관리에 활용하고 생태연못 등의 대체서식지 조성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의 식생구조에 대한 구분은? 습지의 식생구조는 수심과 경사에 따라 크게 습생식물과 수생식물로 구분되며(환경부, 2001), 이것은 생육기간 동안 침수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습지생성 및 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수문환경이며(Mitsch and Gosselink, 1993), 이것은 토양을 발달시키고 다시 토양은 식생을 발달시킨다고 하였다(Tiner, 1999).
호소물의 장기체류에 의한 수질악화를 개선하는 방안은? 소규모 소택형습지 수질악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호소물의 장기체류를 들 수 있으므로 이것은 조류의 발생과 더불어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므로 적절한 관리와 개선방안을 모색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대한 개선으로 인근 자연수와 연결을 통한 물의 순환을 유도해야할 것으로 보이고, 연못의 퇴적물을 준설하여 수중의 산소고갈을 막는 방법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T-N, T-P의 농도를 저감하기 위해 가을철 식물의 제거를 통해 흡수한 인과 질소가 다시 물로 환원되지 않도록 하며, T-P의 주요 오염원인 농경지의 비료로 인한 인 유입을 차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지연못습지에 토양 및 수자원의 오염과 외래종의 유입이 확산되는 이유는? 소택형습지의 일종인 농지연못습지는 최근 수리시설의 확충으로 활용기능이 축소되고 있으며,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매립하여 경장지로 사용되는 한편 방치 및 관리의 부실로 토양 및 수자원의 오염과 외래종의 유입이 확산되는 실정이다(강방훈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강방훈.손진관.이상화.김남춘. 2009.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식생특성. 학국환경복원녹화학회지 12(3) : 33-48. 

  2. 건설교통부. 2007. 조경설계기준. 

  3. 김광호.김창석.김진호.오세문.강충길. 2007. 부레옥잠이 소규모 연못의 수질정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잡초학회 별책 27(2) : 55-56 

  4. 김귀곤. 2003. 자연과 인간이 만드는 습지 : 습지와 환경. 아카데미서적. 

  5. 김귀곤.조동길. 2004. 자연환경 생태복원학 원론. 아카데미서적. 

  6. 김성훈.오경미.유금환.박희경. 1998. 소규모 연못의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사례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24(3) : 297-304. 

  7. 김영식.김창환.이경보. 2002. 서열법에 의한 만경강 하천식생의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1(10) : 1131-1037. 

  8. 김원일.김명숙.노기안.이종식.윤순강.박병준.정구복.강창성.조광래.안문섭.최승출.김현주.김영상.남윤규.최문태.문영훈.안병구.김희권.김현우.서영진.김종수.최용조.이영한.이신찬.황재종. 2008. 논토양 중금속 함량의 장기변동 모니터링.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1(3) : 190-198. 

  9. 김유경.정세웅.이흥수.정용락. 2007. 부상웨어 설치에 따른 대청호 조류 성장 억제 효과 수치모의.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5) : 581-590. 

  10. 김자애.조강현.이효혜미. 2001. 동해안 석호에서 군개 간척습지의 식생구조. 한국생태학회지 24(1) : 27-34. 

  11. 김춘송.고지연.이재생.박성태.구연충.강항원. 2007 생활오폐수에 대한 정화력이 높은 수생식물 선발. 한국환경농학회지 26(1) : 25-35. 

  12. 김현규. 1999. 인공습지 조성을 위한 수생식물의 식재기반 조성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호섭.공동수.정동일.황순진. 2009. 한강수계 농업용저수지 관리방안. 수질보전 25(3) : 386-393. 

  14.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2005.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보고서. 

  15. 농업과학기술원.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16.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08. 시험연구사업 보고서. 

  17.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2003. 시험연구사업보고서. 

  18.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어메니티 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 : //rural.rda.go.kr/webgis. 

  19.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2006. 재배작물의 시비-토양관리 요령. 

  20. 문현숙. 2005. 습지의 발달환경과 특성 : 경기도 산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박명환.서미연.황순진.김용재.한명수.김백호. 2008. 수도권 주요 공원 연못의 수질 특성과 남조류 대발생.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1(1) : 54-65. 

  22. 배정진.추연식.송승달. 2003. 정족산 무제치늪 식물의 무기이온, 질소 및 인의 양상. 한국생태학회지 26(3) : 109-114. 

  23.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서울시 도시공원 내 연못 수질관리 방안. 

  24. 송호경.박관수.박혜림.소순구.김효정.김무열. 2006. 신안군 장도 산지습지 식생과 토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4) : 407-414. 

  25. 신재기.정선아. 2004. 내륙 연못 생태계의수질 개선기술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26. 신재기.정선아.정남정.황순진. 2005. 국내 인공 연못의 수질관리 실태와 문제점.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7. 양창휴.류현철.정지호.김병수.박우균.유진희.김택겸.김재덕.김성조.백승화. 2008. 간척지 논토양의 물리화학성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1(2) : 94-102. 

  28. 양홍모 2004. 갈대 및 부들 습지셀의 연못시스템 방류수 질소제거 비교. 한국환경농학회지 23(4) : 234-239. 

  29. 우연경.박은진.이규송.이도원. 1996. 습지 미소생태계에서 질소 보유와 제거에 대한 고마리의 효과. 한국생태학회지 19(2) : 179-189. 

  30. 윤광성. 2007. 묵논 습지의 토양 및 식생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영숙. 2003. 저수지 수변공간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식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시흥시의 6개 저수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흥수.신상일.최정규.정세웅. 2008a. 소규모 생태연못의 수질특성과 영양상태 평가.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33. 이흥수.정세웅.최정규.신상일. 2008b. 소규모 생태연못(원흥이 방죽)의 부양영화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4(6) : 741-749. 

  34. 장정렬. 2005. 농업유역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인공습지 설계인자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장정렬.최선화.권순국. 2007. 식생습지와 개방 수역의 배열에 따른 인공습지의 수처리 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3(1) : 122-130. 

  36. 정구복.김원일.이종식.김진호.이정택. 2007. 토양 내 중금속 존재형태와 미나리중 함량과의 관계. 한국토양비료학회 40(2) : 164-171. 

  37. 정세웅.박재호.김유경.윤성완. 2007. 대청호 부영양화 모의를 위한 CE-QUAL-W2 모델의 적용.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1) : 52-63. 

  38. 조강현. 1992.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물질순환과 질소와 인의 순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조동길. 2004. 소택형습지의 복원 및 창출을 위한 생태적 식재 설계 모델 : 생물다양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주은정.김재근. 2009. 낙동강 일대와 중부 지역 주요 습지의 토양종자은행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학회지 12(5) : 77-91. 

  41. 함종화.윤춘경.김형철.구원석.신현범. 2005. 식생피도가 인공습지의 질소 및 인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습지식물의 조성 및 관리,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89(3) : 393-402. 

  42. 환경부. 2000.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43. 환경부. 2001. 내륙습지의 유형별 평가기법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44. 환경부.UNDP.GEF.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05. 국가습지 유형분류 체계구축. 

  45. 환경부. 2006. 토양오염우려기준 초과지역 정밀 조사 결과. 

  46. 환경부. 2008a.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7. 환경부. 2008b.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1. 

  48. 환경부. 2009.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3. 

  49. 增田拓朗.守屋均.片山恭治. 1991. 坂出緩衝綠地におけるクスノキの生育と土壤條件, (II) : 光合成および蒸散について. 日本綠化工學會誌 16(3) : 11-18. 

  50. 增田拓朗.藤僚賢一.吉田毒草. 1983. ケヤキの生育に及ぼす土壤物憂劉生の影響. 香川大學農學部學術報告 34(2) : 157-162. 

  51. Admiraal, A. N., Morris, M. J., Brooks, T. C., Olson, J. W. and Miller, M. V. 1997. Illinois Wetland Restoration & Creation Guide, Illinois Natural History Survey. 

  52. Adriano, D. C. 1992. Biogeochemistry of trace metals. Lewis publishers. 

  53. Benvenuti, S. 2007. Natural weed seed burial : effect of soil texture, rain and seed characteristics. Seed Science Research, 17 : 211-219. 

  54. Brady, N. C. and R. R. Weil. 2002.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Pearson New Jersey : Edusation Inc. 

  55. Brix, H. and Schieruop, H. H. 1993. Soil Oxidation in Constructed Reed Beds : The Role of Macrophyte and Soil-Atmosphere Interface Oxyzen Transport, In Moshiri, G. A.(ed.) Constructed Wetland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Lewis publisheres. 

  56. Collins, C. D., R. B. Sheldon and C. W. Boylen. 1987. Littoral zone macrophyte community structure distribution and association of species along physical gradients in lake george, New York, USA. Aquatic Botany. 29: 177-194. 

  57. Cowardin L. M., Virginia Carter, Francis C. Golet and Edwar T.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58. Cylinder, P. D., Bogdan, K. M., Davis, E. M., and Herson, A. I. 1995. Wetlands Regulation; A Complete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Solano Press Books Point Arena, California. 

  59. Dodd M. B. and W. K. Lauenroth. 1997. The influence of soil texture on the soil water dynam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a shortgrass steppe ecosystem. Plant Ecology, 133 : 13-28. 

  60. Elliot, L. F. and Stevenson, F. J. 1977. Soils for Management of Organic Wastes and Waste Water.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Amercan Society of Agronomy, and Crop Science Society of America, Wisconsin. 

  61. Gophal, B. and K. P. Sharma. 1984. Seasonal changes in concentration of major nutrient elements in the rhizomes and leaves of Thypha elephantina Roxb. Aqut. Bot, 20 : 65-73. 

  62. Huebert, D. B. and P. R. Gorham. 1983. Biphasic mineral nutrition of the submersed aquatic macrophyte Potamogeton pectinatus L. Aquatic Botany, 16 : 269-284. 

  63. Jordan, T. E., D. F. Whigham and D. L. Correll. 1990. Effects of nutrient and little manipulations on the narrow-leaved cattail, Typha angustifolia L. Aquatic Botany, 36 : 179-191. 

  64. Jones, F. E. and K. J. Esler. 2004. Relationship between soil stored seed banks and degradation in eastern Nama Karoo rangelands(South Africa).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3 : 2027-2053. 

  65. Malcolm Emery for the Ecological Parks Trust. 1986. Promoting Nature in Cities and Towns : A Practical Guide, Ecological Parks Trust. 

  66. McNaughton, S. J. 1968. Autotoxic feedback in relation to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Typha latifolia. Ecology, 49(2) : 367-369. 

  67. Miller, H. G., and R. L. Donahue. 1990.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N. J. 

  68. Mitsch, W. J. and Gosselink, J. G. 1993. Wetland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69. Reed, S. C., Middlebrooks E. J. and Crities, R. W. 1988. Natural System for Waste Management and Treatment, McGraw-Hill. 

  70. Sharma, K. P. and B. Gopal. 1983. Light regulaed seed germination in Typha angustata Boryet Chaub. Aquatic Botany, 16 : 377-384. 

  71. Spieles, D. J. and W. J. Mitsch. 2000. The effects of season and hydrologic and echemical loading on nitrate retention in constructed wetland : a comparison of low and high nutrient riverine systems. Ecol. Eng. 14 : 77-91. 

  72. Tilton, D. L., Karen Shaw, Brian Ballard and William Thomas. 2001. A Wetland Protection Plan for the Lower One Subwatershed of the Rouge River. Aquatic Botany, 28 : 227-242. 

  73. Tiner, R. W. 1999. Wetland Indicators : A Guide to Wetland Indentification, Delineation, Classification and Mapping. Lewis Publishers. 

  74. Wilcox, D. A. and H. A. Simonin. 1987. A chronosequence of aquatic macrophyte communities in dune pond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