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제련 및 리사지 사업장에서 공기중 납 노출농도의 변화
The change of air lead concentrations in litharge making and smelting industries 원문보기

한국산업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0 no.1, 2010년, pp.10 - 18  

최재욱 (순천향대학교 환경산업의학연구소) ,  김남수 (순천향대학교 환경산업의학연구소) ,  조광성 (순천향대학교 환경산업의학연구소) ,  함정오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산업의학과) ,  이병국 (순천향대학교 환경산업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future environmental monitoring of smelting and litharge making industries in Korea, environmental monitoring dataset of air lead concentration of 4 lead industries(1 primary smelting, 2 secondary smelting and 1 litharge making industry) were analyzed from 1994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납을 취급하는 사업장중 일부 일차제련 및 이차제련 사업장과 화합물질 제조 사업장의 1994년부터 2007년까지 작업 환경측정 결과를 연도별 기하평균, 기하표준편차, 최소값 및 최대값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고, 사업장의 형태, 공정의 구분에 따른 공기 중 납 노출농도의 차이와 변화의 추이를 알아봄으로 향후 제련 및 리사지 사업장의 올바른 작업환경관 리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납을 취급하는 사업장중 일부 제련 및 리사지 제조 사업장에서 14년간의 작업환경측정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연도별, 사업장, 공정별로 구분하여 납 노출농도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자료는 향후 제련 및 리사지 사업장의 작업환경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비철금속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금속은 무엇인가? 기술이 발전하면서 산업혁명 초기에 과 그 화합물이 새로운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오늘날 비철금속 중에서는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금속이 되었다. 납의 전 세계적인 연간 생산량 또는 소비량의 정확한 추정은 어려우나 금속 납으로 환산하여 약 890만 톤이 생산되며, 실제 소비되는 양은 이 보다 많은데 이는 생산된 납의 3분의 1 이상이 2차제련 등으로 재생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한국산업안전공단, 2003; Zenz, 1988).
환경개선의 노력과 함께 적절한 보호구 관리 등의 실질적인 작업환경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유연성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상의 결과에서 사업장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2000년도를 전후로 제련 및 리사지 사업장의 공기중 납 노출농도의 기하평균은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노출기준 초과율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사업장별 환경이나 공정 개선에 의한 영향으로도 해석 될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정부의 엄격한 규제와 처벌, 경제적인 상황에 대한 해당 납 사업장의 현실적인 상황대처에 의한 것이 감소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환경개선의 노력과 함께 적절한 보호구 관리 등의 실질적인 작업환경관리가 이루어 질수 있는 제도적 유연성이 필요하다.
납이 장기간 노출될 경우에 어떤 문제를 유발하는가? 납은 인체의 물질대사에 전혀 불필요한 금속물질로서 장기간 노출될 경우 체내에 축적되고 축적된 납은 노출량에 비례하며, 조혈기능, 위장관계, 중추신경이나 말초신경, 근육, 신장기능, 심혈관 및 생식기관등 다양한 종류의 급성 및 만성 비발암성 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ahaffey, 1983; ATSDR, 1999; Cheng 등, 2001; Lanphear 등, 2000; Lidsky and Schneider 2003; Tsaih 등, 2004; 김형수 등, 2001; 이성수 등, 2004). 그럼에도 불구하고 납과 그 화합물은 밀도가 높고, 비금속물질인 질소와 결합 할 수 있으며, 산이나 공기, 물에 대한 저항력이 높고, 소리와 진동을 감소시키는 성질과 방사선을 흡수하는 성질 및 자기 성질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산업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명식,김용배,이용진,리갑수,김화성 등. 모 축전지 회사 근로자들의 연 폭로지표에 대한 경시적 관찰. 순천향 산업의학 1998;4(1): 1-14 

  2. 김형수, 장성훈, 이원진, 최재욱, 박종태 등. 연 폭로가 남성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 13(1): 44-54 

  3. 노동부. 유해물질의 허용농도(고시 제88-69호). 노동부, 1988 

  4. 노동부.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고시 제2007-25호). 노동부, 2007 

  5. 순천향산업의학연구소. 연사업장 근로자 건강관리 세미나. 2007; 12: 59-66 

  6. 심윤보,이병국. 연취급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호흡용 보호구 및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효과. 대한산업의학회지 1991;4(1):1-13 

  7. 이병국, 김용배, 리갑수, 안현철, 김화성 등. 업종에 따른 연 취급 사업자의 기중 연 농도 및 연 노출 수준 평가. 순천향산업의학 1999;5(1): 1-13 

  8. 이병국. 연 취급 사업장의 전담관리 현황과 유해인자별 전담관리의 필요성. 직업병 전문기관 합동 회지 결과보고서.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보건연구원 1992,9-22 

  9. 이성수,김진호,김남수,김화성,안규동. 납 작업자들에서 ALAD 유전자형과 신기능과의 연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004; 16(2): 200-209 

  10. 임정규, 안규동, 이병국. 연 작업자들의 업종별 보건관리에 의한 건강수준의 변화. 순천향산업의학 1996; 2(1): 27-52 

  11. 조광성. 축전지 제조업에서 공기중 납 노출기준 초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조사.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산업정보대학원, 1999 

  12. 최승현,김남수,김진호,조광성,함정오 등. 축전지 사업장에서 공기 중 납 농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7;17(4): 261-271 

  13. 채제명,리갑수,이성수,안규동,이병국. 이차 제련 및 리사지업종 근로자들의 연폭로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 9(1): 131-139 

  14. 한국산업안전공단. 보건분야 보고서(유해인자에 의한 건강영향과 관리-납). 연구원 2003-41-268 

  15. ASTOR, Toxicological Profile for Lead.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1999 

  16. Cheng Y, Schwartz J, Sparrow D, Aro A, Weiss ST, Hu H. Bone lead and blood lead levels in relation to baseline blood pressure and the prospectiv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the normative aging study, Am J Epidemiol 2001; 153(2); 164-71. 

  17. Lanphear BP. Dietrich KN, Auinger P. Cox C. Cognitive deficits associated with blood lead concentrations < 10 micog/dL in US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c Health Rep. 2000; 115; 521-9. 

  18. Lidsky TI, Schneider JS. Lead neurotoxicity in children: basic mechanisms and clinical correlates. Brain 2003; 126: 5-19. 

  19. Lee BK. Lead poisoning in Korea. Korea J of Occup Health 1991; 30; 1-9 

  20. Lee BK. The role of biological monitoring in the health management of lead-exposed workers. Toxicology letters 1999; 108: 149-160 

  21. Mahaffey KR. Biotoxicity of lead: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Fed Proc 1983; 42:1730-1734 

  22. OSHA, Regulations(Standards-29 CFR) Lead-1910-1025, U.S. Department of Labor; 2006 

  23. Tsaih SW, Korrick S, Schwartz J, Amarasiriwardena C, Aro A, Sparrow D, Hu H. Lead, diabetes, hypertension, and renal function: the normative aging study. Environ Health Perspect 2004; 112: 1178-82. 

  24. Zenz C. Occupational Medicine, Chicago: Year Book Medical Publishers Inc.; 1988. p.547-5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