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자 중.고등학생의 식품영양표시제 이용과 영양표시 이해도 및 식행동 조사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Food & Nutrition Labels and Dietary Behaviors of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6 no.3, 2010년, pp.239 - 254  

정은정 (강남대학교 교양학부) ,  전진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안홍석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and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labels in 498 female adolescents (middle school students: MS 248, high school students: HS 250) in Gyeonggi-do. Fifty percent of the MS and 47.2% of the HS read food labels, and the most common reasons for reading labels were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부 영양소의 섭취 면에서 과잉과 부족의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는 여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식품영양표시제의 이용실태,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도와 식행동을 조사하고 이들 요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여자 청소년의 식생활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일부 영양소의 섭취 면에서 과잉과 부족의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는 여자 청소년들의 식품영양표시제의 이용실태,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도와 식행동을 조사하고 이들 요인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소비 주체인 여자 중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이용실태, 이해도 및 식행동을 조사하고 이들 요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올바른 식품영양표시제에 대한 이해 능력 또는 이용 여부가 건강한 식생활 실천에 주요한 요인임을 밝혀 식품영양 표시제 활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아울러 현재 영양표시에 대한 교육은 중학교 3학년에서 실시되고 있으므로(Lee 2008), 영양표시 관련 학교교육을 아직 받지 않은 중학생과 교육을 받은 고등학생 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실행 되고 있는 영양교육의 효과도 판정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소비 주체인 여자 중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이용실태, 이해도 및 식행동을 조사하고 이들 요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올바른 식품영양표시제에 대한 이해 능력 또는 이용 여부가 건강한 식생활 실천에 주요한 요인임을 밝혀 식품영양 표시제 활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떤 단계인가?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중간단계인 청소년기는 성장속도가 매우 빠른 시기이므로, 영양요구량이 매우 높은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신체적 성장과 발달 뿐 아니라 건전한 정신발달 및 성격형성, 집중력 향상 등은 올바른 영양섭취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Kim 2005).
청소년기의 특징은 무엇이며 비정상적으로 식품을 섭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이 시기의 신체적 성장과 발달 뿐 아니라 건전한 정신발달 및 성격형성, 집중력 향상 등은 올바른 영양섭취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Kim 2005). 그러나 청소년기는 심리발달 과정상, 자신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시기이기도 하므로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외모를 가꾸고자 비정상적으로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김 등 2007).
청소년기의 신체적 성장과 발달 뿐 아니라 건전한 정신발달 및 성격형성, 집중력 향상 등은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중간단계인 청소년기는 성장속도가 매우 빠른 시기이므로, 영양요구량이 매우 높은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신체적 성장과 발달 뿐 아니라 건전한 정신발달 및 성격형성, 집중력 향상 등은 올바른 영양섭취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Kim 2005). 그러나 청소년기는 심리발달 과정상, 자신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시기이기도 하므로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외모를 가꾸고자 비정상적으로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김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은경, 남혜원, 박영심, 명춘옥, 이기완 (2007): 생애주기 영양학. 신광출판사. 서울. pp.200-203 

  2. 손숙미, 이종호, 임경숙, 조윤옥 (2004): 다이어트와 체형관리. 교문사. 서울. pp.25 

  3. 질병관리본부, 대한소아과학회 (2007): 2007년 소아 청소년표준 성장도표 

  4. Ahn Y, Kim H, Kim K (2006): A study on weight control,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among high 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2):205-217 

  5. Chang SO (1997): A study on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s retailed in the supermarket in Korea. Korean J Nutr 30(1):100-108 

  6. Chang SO (1998): 식품표시를 위한 영양소 기준치 설정에 관한 워크샵: 영양표시의 현황과 제도의 개선 방향. 한국영양학회. pp.29-39 

  7. Chang SO (2000):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Korean J Nutr 33(7):763-773 

  8. Chang SO, Lee O, Lee KS (2008):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5th grade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14(2):166-175 

  9.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2(5): 519-533 

  10. Choi JH, Chung YJ (2003): Consumer preferred formats of nutrition labels: housewives of Daejo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8(2):220-230 

  11. Choi SK, Choi HJ, Chang NS, Cho SH, Choi YS, Park HK, Joung HJ (2008): Snacking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3(2): 199-206 

  12. Chung EJ, Shim E (2008):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5):578-588 

  13. Hyon SM, Kim JW (2007):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by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2(2):168-177 

  14. Im HS, Kim HS (1998): Utilization of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of processed of foods and awareness on nutrition labeling among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4):763-774 

  15. Jeong HH (2005): High-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food & nutrition facts. Masters degree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62, 73-79 

  16. Joo NM, Yoon JY, Kim OS, Park SH, Ko YJ, Kim JY (2006): A study on awareness of femal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ing system. Korean J Food Culture 21(2):209-215 

  17. Jung HY, Chang KJ (2004): School dietitians' perception on nutrition labelling of the processed and packaged foods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 9(5):636-643 

  18. Kim DS, Lee JW (2002): Use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 in processed foo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J Korean Diet Assoc 8(3):301-310 

  19. Kim HJ (2007): Status and experiences of adolescents' homes and school consumer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Sungsin Women's University. pp.28 

  20. Kim SK (2005): A study on eating habits and intake features of processed food for male and female senior high school seniors: Jeon-buk and Dea-gu area. Masters degree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p.12 

  2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HIDI (2006): Report on the 3rd (2005)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I)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HIDI (2007): Report on In-depth Analysis, on the 3rd (2005)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2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utrition Label (2009): Available from: http://nutrition.kfda.go.kr. Accessed September 30. 2009 

  24. Kwon KL, Park SH, Lee JH, KIm JY, Yoo KS, Lee JS, Kim SY, Sung HN, Nam HS, Kim JW, Lee HY, Park HK, Kim MC (2007): Prevalence of nutrition labeling and claims on processed and packaged foods. Korean J Community Nutr 12(2):206-213 

  25. Lee EJ (2008): The effects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s and their choice of processed food. Masters degree thesis. Dongguk University. pp.83-87 

  26. Lee HY, Kim MK (2008): 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 women. Korean J Nutr 41(8): 839-850 

  27. Lee IS, Choi BS, You DR, Park YM (2002): Colleg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the nutrition labels on food package. Korean J Dietary Culture 17(3):299-308 

  28. Lee KO, Kim YS (2007): Consumer's practicality, acknowledgement, trust, satisfaction, necessity degrees about food nutrition labeling system. Korean J Human Ecology 16(4): 761-773 

  29.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The 4th (2007) Report on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HIDI (2003):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2003: dietary action guides for infants & toddlers, pregnant & lactating women, children and adolescents). pp.191 

  31. Misra R (2007): Knowledge, attitudes, and label use among college students. J Am Diet Assoc 107(12):2130-2134 

  32. Park HK (2009): Nutrition policy for nutrition labeling in Korea. Food Industry & Nutr 14(2):9-14 

  33. Park HR, Min YH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with a reference to the consumer awareness. Korean J Dietary Culture 10(3): 155-166 

  34. Park SS, Kim NY, Han MJ (2008):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food and nutrition labeling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2):164-173 

  35. Satia JA, Galanko JA, Neuhouser ML (2005): Food nutrition label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behavioral,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 J Am Diet Assoc 105(3):392-402 

  36. Son MJ (2007): Use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dietary factors among adolescents from junior and high schools.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27, 63 

  37. Yoo WS, Kim Y (2004): A study on eating disorders and it's related factors in high school girls. Korean J Community Nutr 9(3):274-284 

  38. Zarkin GA, Dean N, Mauskopf JA, Williams R (1993):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nutrition label changes. Am J Public Health 83(5):717-7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