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체 안정성이 입증된 고분자제제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 vinyl alcohol)로 얇은 박막을 제조하고 NaF을 첨가하여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을 개발하여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도포 후 잔류하는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불소바니쉬(Cavityshiled$^{TM}$, 0.25 ml, Group 1)와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 Trial product, $1\;cm^2{\times}$ 12개, Group 2)을 각각 10명씩 치과대학 남학생의 치아(상악 12개, 순면)에 도포 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비자극성 전타액내 불소농도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도포 후 30분과 1시간에서는 1군이 2군보다 높은 타액 내 불소농도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 도포 후 2시간, 3시간, 4시간에서 2군이 1군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p<0.05). 3. 도포 후 24시간 이후부터는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idual fluoride concentration of polymer adhesive tape in oral cavity which is made by spraying NaF on PVA base and to compare with Fluoride varnish(Cavityshiled$^{TM}$).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according to applicatio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타액내 불소농도를 조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우식예방효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2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의 불소 유리 능력을 평가해서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를 간접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시도되어 왔다. 본 연구실에서는 불소제제의 물리적 형태를 변화시키는 방법의 일환으로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 tape)을 개발해왔다. NaF-PVA tape은 무색투명하여 심미적이고, 불쾌한 맛이 없으며 표면이 매끈하여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다.
  • 이 연구는 PVA 기저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의 불소 유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피실험자의 구강내에 불소제제로 NaF-PVA(1군)와 CavityshiledTM(2군)을 도포하여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경과 후 타액내 불소농도를 원심분리방법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타액 표본과 마찬가지로 불소표준용액과 TISAB II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였다. 보정할 때 사용하는 TISAB II은 표준농도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가정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PVA 기저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의 불소 유리 능력을 평가한 결과를 통해 어떤 결론을 얻었는가? 1. 도포 후 72시간까지 두 군 모두 baseline value보다 유의하게 높은 타액 내 불소농도를 보였다(p<0.05). 2. 도포 후 30분과 1시간에서는 1군이 2군보다 높은 타액 내 불소농도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도포 후 2시간, 3시간, 4시간에서 2군이 1군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p<0.05). 4. 도포 후 24시간 이후부터는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NaF-PVA tape은 CavityshiledTM보다 약 1/2 정도의 불소양을 함유하지만, 거의 유사한 불소유리능력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향후 NaF-PVA tape의 불소함량을 조정하고 치면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구강 내에서 용해되는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를 시행한다면 보다 우수한 항우식제재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불소의 우식 예방기전은 무엇인가? 치아우식증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만성질환 중 하나이며 이러한 치아 우식을 예방하기 위해 불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1-3). 불소의 우식 예방기전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치아표면에 침착된 불소가 법랑질의 산에 대한 용해도를 낮추어 치면 세균막에서 형성된 산에 의한 탈회를 억제하고 법랑질 초기 우식병소의 재광화를 촉진시키며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2,3).
현재 전문가 불소도포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불소제제는 무엇인가? 불소의 국소도포는 고농도의 불소 화합물을 사용하여 환자의 치면에 1회 혹은 반복 도포함으로써 법랑질의 내산성을 증가시키는 치아우식 예방 술식으로 1940년대 초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도포방법과 불소제제들을 통해 널리 사용되어왔다4-6). 이중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 gel과 불소바니쉬가 현재 전문가 불소도포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불소제제이다. APF gel은 불화나트륨(NaF)용액을 인산으로 산성화한 제제로7) 중성 불화나트륨보다 법랑질 내로의 불소흡수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인정받는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Knuston JW, Armstrong W : The effect of topically applied sodium fluoride on dental caries experience. Publ Health Rep, 58:1701-1715, 1943. 

  2. Arends J, Nelson DGA, Dijkman AG et al. : Effect of various fluorides on enamel structure and chemistry. Cariology today, 245-258, 1984. 

  3. Ten Cate JM : In vitro sudies on effects of fluoride on de- and remineralization. J Dent Res, 69:614-619, 1990. 

  4. Mellberg JR, Ripa LW : Fluoride in preventive Dentistry : Theory clinical applications. Chicago ; Quintessence Publishing CO, 181-214, 1983. 

  5. Brudevold F, Naujork R : Caries-preventive fluoride treatment of the individual. Caries Res, 12:52-64, 1973. 

  6. Kirkegaard E : In vitro Fluoride uptake in human dental enamel from various fluoride solution. Caries Res, 11:16-23, 1977. 

  7. Mellberg JR, Nicholson CR, Trubman A : The acquisition of fluoride by tooth enamel in vivo from selfapplied APF gel and prophylaxis paste. Caries Res, 7:173-178, 1973. 

  8. Cobb B, Roizer G, Bawden JW : A clinical study of the caries APF solution and thixotropic gel. Pediatr Dent, 2:263-266, 1980. 

  9. Hicks MJ, Flaitz CM, Garcia-Godoy F : Root-surface caries formation: effect of in vitro APF treatment. J Am Dent Assoc, 129:449-453, 1998. 

  10. Adair SM : Current fluoride theraphy in dentistry for children. Current Opinion Dent, 1:583-591, 1991. 

  11. 최원혁, 김은정, 김현정 등 : APF gel이 심미수복재료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3:281-289, 2006. 

  12. Beltran-Aguilar ED, Goldstein JW, Lockwood SA : Fluoride varnishes. A review of their clinical use, cariostatic mechanism, efficacy and safety. J Am Dent Assoc, 131:589-596, 2000. 

  13. Grabe P, Ellefsen B, Birkhed D, et al. : Oral retention of fluoride from a mucosa adhesive paste (Orabase) supplemented with NaF-a pilot study. Oral Health Prev Dent Dent, 3:195-200, 2005. 

  14. Wu H, Zhang ZX, Zhao HP, et al. : Preparation of sodium fluoride-loaded gelatin microspheres, characterization and cariostatic studies. J Microencapsul, 21:889-903, 2004. 

  15. De Moor RJ, Verbeeck RM : Effect of encapsulation on the fluoride release from conventional glass ionomers. Dent Mater, 18:370-375, 2002. 

  16. Creanor SL, Al-Harthy NS, Gilmour WH, et al. : Fluoride release from orthodontic cements-effect of specimen surface area and depth. J Dent, 31:25-32, 2003. 

  17. Todd MA, Staley RN, Kanellis MJ, et al. : Effect of a fluoride varnish on demineralization adjacent to orthodontic bracke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16:159-167, 1999. 

  18. Toumba KJ, Curson ME : A clinical trial of a slow-releasing fluoride device on children. Cries Res, 39:195-200, 2005. 

  19. Marini I, Checchi L, Vecchiet F, et al. : Intraoral fluoride releasing device: a new clinical therapy for dentine sensitivity. J Periodontol. 71:90-5, 2000. 

  20. Arends J, Tem Cate JM : Tooth mineralization. J Cryst Growth, 53:135-147, 1981. 

  21. Margolis HC, Moreno EC, Murphy BJ : Effect of low levels of foluoride in solution on enamel demineralization in vitro. J Dent Res, 65:23-29, 1986. 

  22. Oliveby A, Ekstrand J, Lagerlof F : Effect of salivary flow rate on salivary fluoride clearance after use of fluoride-containing chewing gum. Caries Res, 21:393-201, 1987. 

  23. Newbrun E : Topical fluoride therapy : Discussion of some aspects of toxicology, safety and efficacy. J Dent Res, 67:114, 1988. 

  24. Beal JF, Rock WP : Fluoride gels. a laboratory and clinical investigation. Br Dent J, 140:307-310, 1976. 

  25. Spoerke DG, Bennett DL, Gullekson DJK : Tosicity related to acute low dose sodium fluoride ingestion. J Family Pract, 10:139-140, 1980. 

  26. Duxbury AJ, Leach FN, Duxabury JT : Acute fluoride toxicity. Br Dent J, 153:64-66, 1982. 

  27. Ekstrand J, Koch G, Lindgren LE : Pharmacokinetics of fluoride gels in children and adult. Caries Res, 15:213-220, 1981. 

  28. Lecompte EJ, Doyle TE : Oral fluoride retention following various topical application technique in children. J Dent Res, 61:1397-1400, 1982. 

  29. Whiteford GM, Allmann DW, Shahed AR : Topical fluorides : Effects on physiologic and biochemical process. J Dent Res, 66:1072-1078, 1987. 

  30. Wei SHY, Hattab FN : Enamel fluoride uptake from a new APF foam. Pediatr Dent, 10:111-114, 1988. 

  31. Kula KS, Webb L, Kula TJ : Effect of 1- and 4-minute treatments of topical fluorides on a composite resin. Pediatr Dent, 18:24-28, 1996. 

  32. Toumba KJ, Curson ME : A clinical trial of a slow-releasing fluoride device on children. Cries Res, 39:195-200, 2005. 

  33. Bottenberg P, Cleymaet R, de Muynck C, et al. : Comparison of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 after administration of a bioadhesive slow-release tablet and a conventional fluoride tablet. J Pharm Pharmacol, 44:684-686, 1992. 

  34. Gaffar A, Hunter CM, Mirajkar YR : Applications of polymers in dentifrice and mouthrinses. J Clin Dent, 13:138-148, 2002. 

  35. 박승효, 이상호, 이난영 : 불소 테잎 적용 후 시간변화에 따른 타액 내 불소농도.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6:377-386, 2009. 

  36. 이종흔, 김중수 : 구강생리학, 신광출판사, 서울, 175-201, 1989. 

  37. Opydo-Szymaczek J, Opydo J :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s and fluoride ingestion following application of preparation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fluoride. Biol Trace Elem Res, 137:159-167, 2010. 

  38. Duckworth RM, Morgan SN, Murray AM : Fluoride in saliva and plaque following use of fluoride-containing mouthwashes. J Dent Res, 66:1730-1734, 1987. 

  39. Oliveby A, Twetman, Ekstrand J : Diurinal fluoride concentration in whole saliva in children living in a high- and a low-fluoride area. Caries Res, 24:44-47, 1990. 

  40. 권호근, 김백일, 이영희, 김권수 등 : 불소치약 사용후 시간변화에 따른 구강내 타액의 불소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555-567, 1996. 

  41. Jenkin GN, Edgar WM : Distribution and forms of fluoride in saliva and plaque. Caries Res, 11:226-242, 1977. 

  42. Zero DT, Fu J, Espeland MA : Comparison of fluoride concentrations in unstimulated whole saliva following use of a fluoride dentifrice and a fluoride rinse. J Dent Res, 67:1257-1262, 1988. 

  43. Lindahl CB : Fluoride and monofluorophosphate analysis. Caries Res, 17:9-20, 1983. 

  44. Retief DH, Summerlin DJ, Harris BE : An evaluation of three procedures for fluoride analysis. Caries Res, 19:248-254, 1985. 

  45. Front MS, Ross JW Jr : Use of total ionic strength adjustment buffer for electrode determination of fluoride in water supplies. Anal Chem, 40:1169-1171, 1968. 

  46. Edelstein BL, Cottrel D : Comparison of colorimeter and electrode analysis of water fluoride. Pediatr Dent, 14:47-49, 1992. 

  47. Weinberger SJ, John DW, Wright GZ : A comparison of two systems for measuring water fluoride ion level. Clin Prev Dent, 11:19-22, 1989. 

  48. Saravana KR, Vijayalakshmi R : Nanotechnology in dentistry. Indian J Dent Res, 17:62-65, 2006. 

  49. Yao K, Gron P : Fluoride concentration in duct saliva and in whole saliva. Caires Res, 4:321-331, 1970. 

  50. Shannon IL : Biochemistry of fluoride in saliva. Caries Res, 11:206-225, 1977. 

  51. Ten Bosch JJ, Booi M :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methods measuring fluoride in solutions or in enamel. J Dent Res, 71:945-948, 1992. 

  52. Dowes C, Weatherell JA : Kinetics of fluoride in the oral fluids. J Dent Res, 69:638-644, 1990. 

  53. Heintze ULF, Petersson LG : Accumulation and clearance of fluoride in human mixed saliva after different topical fluoride treatments. Swed Dent J, 3:141-148, 1979. 

  54. Zero DT, Roubertas RF, Fu J, et al.: Fluoride concentrations in plaque, whole saliva, and ductal saliva after application of home-use topical fluorides. J Dent Res, 71:1768-1775, 1992. 

  55. Leach SA : Reactions of fluoride with posered enamel and dentine. Report of a chemical study over a range of concentrations of sodium fluoride. Br Dent J, 106:133-142, 1959. 

  56. Lagerlof F, Saxegaaed E, Barkvoll P, et al. : Effect of inorganic ortophosphate and pyrophosphate on dissolution of calcium fluoride in water. J Dent Res, 67:447-449, 1988. 

  57. Sreebny LM : Xerostomia: diagnosis, management and clinical complications. 2nd ednition. British Dental Association, London, 43-6, 1996. 

  58. C.A Finch, Ploy(vinylalcohol), 2nd edition, NewYork, Wiley, 1992. 

  59. Shafee EE, Naguib HF : Water sorption in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 networks. Polymer, 44:1647-1653, 2003. 

  60. Korsmeyer RW, Peppas NA : Effect of the morphology of hydrophilic polymeric matrices on the diffusion and release of water soluble drugs, J Membr Sci, 9:211-227,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