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지황숙지황 물 추출물을 감압농축 시킨 페이스트를 만들어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명도는 생지황 농축 페이스트보다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낮았다. 적색도는 생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1.3으로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황색도는 생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0.68로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색도는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당도는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72.0$^{\circ}Brix$를 나타내어 더 높게 나타났고, 환원당 함량 또한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44.9%로 더 높게 나타났다. pH는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의 pH가 4.1을 나타내어 생지황 농축 페이스트의 pH인 5.6보다 낮았다. 일반성분 분석에서 조단백은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에서 3.3%, 생지황 농축 페이스트에서 2.0%로 나타나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유효성분 분석에서 catalpol 함량은 생지황 농축 페이스트에서 183.1 mg/mL로 검출되었고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5-HMF는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에서만 검출되었다. 총 phenol 함량 측정 결과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12.36 mg/mL로 현저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IC_{50}$ 값이 생지황 농축 페이스트,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의 순으로 감소하여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의 항산화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IC_{50}$ 값은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의 값이 1.45 mg/mL로 더 낮게 나타나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의 항산화능이 더 높게 나타났고, FRAP 활성 측정 결과 또한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2.02 mg/mL로 더 높아 항산화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의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지황의 농축페이스트 중에서 식품소재로 활용될 때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더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Rehmanniae radix (Rehmannia glutinosa Libosch. var. purpurea Makino) paste (RRP) and Rehmanniae radix preparata extract (RRPP). RRP and RRPP were made from vacuum concentrates of hot water extracts. The sugar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지황과 숙지황을 이용한 농축 페이스트를 만들어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능을 비교하고 이를 활용하여 식품 소재로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황의 뿌리는 용도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purpurea Makino)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국내에서도 재배되고 있다(1). 지황의 뿌리는 한약재로 이용되는데, 용도에 따라 생지황(生地黃), 건지황(乾地黃) 및 숙지황(熟地黃)으로 구분된다(2). 지황의 주요 효능은 보혈, 강장 해열제로서 특히 빈혈, 하혈, 또는 허약병 결핵 등으로 신농본초경에 수록되어 있다(3).
지황의 뿌리는 어떠한 재료로 이용되는가? purpurea Makino)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국내에서도 재배되고 있다(1). 지황의 뿌리는 한약재로 이용되는데, 용도에 따라 생지황(生地黃), 건지황(乾地黃) 및 숙지황(熟地黃)으로 구분된다(2). 지황의 주요 효능은 보혈, 강장 해열제로서 특히 빈혈, 하혈, 또는 허약병 결핵 등으로 신농본초경에 수록되어 있다(3).
생지황과 숙지황 물 추출물을 감압농축 시킨 페이스트를 만들어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명도와 적색도에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었는가? 본 연구에서는 생지황과 숙지황 물 추출물을 감압농축 시킨 페이스트를 만들어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명도는 생지황 농축 페이스트보다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낮았다. 적색도는 생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1.3으로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황색도는 생지황 농축 페이스트가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orea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Professor. 1995. Herbal medicine. Youngrimsa, Seoul, Korea. p 190-192, 580-581. 

  2. Kim DH, Park CH, Park HW, Park CG, Sung JS, Yu HS, Kim GS, Seong NS, Kim JC, Kim MS, Bae SG, Chung BJ. 2008. A new high-quality, disease resistance and highyielding Rehmannia glutinosa cultivar, "kokang". Korean J Breed Sci .40: 84-87 

  3. Park SJ, Park HS, Yoo SO. 1998. Effects of supplemention of Rehmannia radix on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status in broiler chicks. KJ Poult Sci 25: 195-202. 

  4. Shih CK, Son YJ, Lee YJ. 1999. Changes in the carbohydrate contents of Rehmanniae radix during processing. Korean J Her 14: 1-11. 

  5. Lee JH, Koh JA, Hwang EY, Hong SP. 2002.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5-hydroxymethyl-2-furaldehyde from Rehmanniae radix Preparata according to various processings. Korean J Her 17: 145-149. 

  6. Chun JC, Kim JC, Hwang IT, Kim SE. 2002. Acteoside from Rehmannia glutinosa nullifies paraquat activity in Cucumis sativus. Pesticide Biochem Physiol 72: 153-159. 

  7. Lee SI, Ahn DK, Shin MK, No SH, Lee YJ, Kim SH. 1986. Oriental medicine clinic application. Sungbosa, Seoul, Korea. p 354-355. 

  8. Jung BS, Shin MK. 1998. Illustration crude drug unabridged dictionary. Youngrimsa, Seoul, Korea. p 906-909. 

  9. Tomoda M, Miyamoto H, Shimizu N. 1994. Structural features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rehmannan SA, a polysaccharide from the root of Rehmannia glutinosa. Chem Pharm Bull 42: 1666-1668. 

  10. Chen LZ, Feng XW, Zhou JH. 1995. Effects of Rehmannia glutinosa polysaccharide b on T-lymphocytes in mice bearing sarcoma 180. Chung Kuo Yao Li Hsueh Pao 16: 337-340. 

  11. Tomoda M, Miyamoto H, Shimizu N, Gonoda R, Ohara N. 1994. Characterization of two polysaccharides having activity on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from the root of Rehmannia glutinosa. Chem Pharm Bull 42: 625-629. 

  12. Tomoda M, Miyamoto H, Shimizu N, Gonoda R, Ohara N. 1994. Two acidic polysaccharides having reticuloendothelial system-potentiating activity from the raw root of Rehmannia glutinosa. Biol Pharm Bull 17: 1456-1459. 

  13. Park NK, Kim SL, Hur HS, Park CH. 2002. Developmen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with new variety "Jiwhang 1". Kor J Intl Agri 14: 34-39. 

  14. Hwang SY, Hwang BY, Choi WH, Jung HJ, Huh JD, Lee KS, Ro JS. 2001.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5-hydroxymethyl- 2-furaldehyde in the Rehmanniae Radix Preparata samples at various processing stages. Kor J Pharmacogn 32: 116-120. 

  15. Shih CK, Son YJ, Lee YJ. 1999. Changes in the carbohydrate contents of Rehmanniae Radix during processing. Kor J Herbology 14: 1-11. 

  16. Hong SP, Kim YC, Kim KH, Park JH, Park MK. 1993. Characteristic componen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compared to Rehmanniae Radix and Rehmanniae Radix Crudus. J Korean Soc Anal Sci 6: 401-404. 

  17. Lee CK, Seo JM. 2004. Changes of the constituents in the Rehmanniae Radix Preparata during process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748-1752. 

  18. You BR, Kim HR, Kim HJ, Lee JY, Lee SY, Song MR, Park JY, Kim MR. 2011. Catalp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various cultivars of Rehmannia glutinos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81-485. 

  19.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ington, VA, USA. 

  20. Korean Food Standards Codex. 200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Chungwon. Korea. 

  21.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ric 16: 144-158. 

  22.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9. 

  23. Choi DJ, Lee SJ, Kang MJ, Cho HS, Sung NJ, Shin JH.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65-471. 

  24. Lee JW, Lee SK, Do JH, Shim KH. 1998.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of Korean red ginseng as affected by heating treatment. J Ginseng Res 22: 193-199. 

  25. You BR, Kim HR, Kim MJ, Kim MR.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ommercial black garlic and lab-prepared fermented and aged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66-371. 

  26. Kim RJ, Kang MJ, Lee SJ, Shin JH, Sung NJ.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garlic hus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31-1738. 

  27. Korean ginseng history edit committee. 2002. Korean ginseng history. Dongilmunhwasa, Seoul, Korea. p 16-167. 

  28. Kim JW, Choi HY, Cho JH, Ahn DK, Yook CS, Byun MW, Lee J, Im MH, Kim DH. 2005. Studies on the stability of catalpol components, and genotoxic safety of $\gamma$ -irradiated Rehmanniae radix crude. Korean J Pharmacogn 36: 75-80. 

  29. Song DS, Woo KS, Seong NS, Kim KY, Jeong HS, Lee HB. 2007. Changes in quality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with heat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73-778. 

  30. Woo KS, Song DS, Lee JS, Lee HB, Jeong H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hmannia radix preparata with pre-soaking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89-294. 

  31.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32. You JK, Chung MJ, Kim DJ, Seo DJ, Park JH, Kim TW, Choi M. 2009.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Paeonia suffruticosa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92-296. 

  33. Do JH, Kim KH, Jang JG, Yang JW. 1989. Changes in color intensity and components during browning reaction of white ginseng water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480-485. 

  34. Park SJ, Park DS, Lee SB, Xinlong He, Ahn JH, Yoon WB,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98-1902. 

  35.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Sung N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65-971. 

  36. Kim HJ, Lee JY, You BR, Kim HR, Choi JE, Nam KY, Moon BD, Kim MR. 2011.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black ginseng prepared by steaming-drying cyc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6-1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