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단법의 임상시험연구와 진단정확도
Clinical Trials and Accuracy of Diagnostic Tests 원문보기

Journal of genetic medicine, v.8 no.1, 2011년, pp.28 - 34  

이유경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이상무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부분의 의사들은 임상시험을 치료약제개발 후 의료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진행되는 과정으로 생각할 것이다. 실험실에서 개발된 기술이 진단검사로써 도입되기 위해서는 치료약제의 경우와 유사한 임상시험 과정을 거쳐 그 안정성과 유효성에 대한 검증을 필요로 한다. 치료약제의 효과검증에서 가장 우수한 근거를 얻을 수 있는 연구방법은 무작위대조연구 방법이지만, 이를 검체진단검사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검체진단검사의 경우 비교연구가 진단정확도의 검증을 위해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지만 대상군의 모집 방법과 구분 방법, 질환대상자의 질환 심각도, 참고표준의 선택과 적용, 눈가림 여부 등 여러 요인들이 진단정확도 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좋은 근거수준의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한 잘 고안된 연구디자인이 중요하다. 또한 검체진단검사는 치료약제의 경우와 달리 결과를 얻기 위한 검사과정이 사용자인 일선 검사실에 의해 계속 생산되어야 하고, 검사의 개발과 발전의 속도가 빠르며, 일선검사실이 최종사용자이자 개발자인 경우가 흔하다는 특성이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검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검사법 자체의 수행능력에 대한 검증으로부터 검사법 성능평가를 위한 질환확진군과 정상군에 대한 비교연구, 일련의 질환의심자 대상의 진단정확도 평가와 임상 효과성 평가, 도입 후 일상감시로 이어지는 임상시험의 진행단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clinicians understand clinical trials as the evaluation process for new medicine before their use. However, clinical trials can also be applied to laboratory diagnostic tests (LDTs) to verify diagnostic accuracy and efficacy before their clinical laboratory implementation for patients. The cl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진단정확도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로 인한 결과의 과오측정을 최소화하고, 검체진단검사 연구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3년 STARD 그룹의 제안 9-11) 이 있었고 이를 실제 연구에 적용하여 출간된 연구의 품질이 개선된 증거가 보고되었으며 12) , 최근 출간되는 연구 문헌들은 STARD 그룹의 제안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아래에서는 진단법 연구의 진행에서 진단정확도에 영향을 주거나 결과의 과오측정을 유발하는 요인들 중,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고 또한 뒷부분에 서술할 근거수준에 영향이 큰 요소들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다.
  •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좋은 품질의 진단정확도 연구가 많이 시행되어, 그 연구 문헌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과 결과의 합성을 통해 좋은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앞부분에서는 진단정확도 연구를 수행할 때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고, 여기에서는 임상시험연구의 진행 단계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 이를 크게 현 시점에 존재하는 상태에 대한 “진단”과 미래시점에 추정되는 결과에 대한 “예후”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은 진단정확도와 효과성 평가에서 매우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고 별도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글은 현재 시점의 질병 유무를 확인하는 측면에 국한하여 검체진단검사를 서술하고자 한다. 임상적으로 유용한 검체진단검사는 검출하고자 하는 질환이나 상태를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는 정확성과 그 검사 결과로 인해 건강상의 이득을 얻게 되는 임상적 효과성을 모두 갖추고 있을 때 좋은 진단검사라 할 수 있다.
  • 그러나 치료법의 임상시험과정이나 무작위대조연구에 대하여는 임상의들이 잘 인지하고 있는 것에 반하여, 진단법의 임상시험과정은 그렇지 못한 상황이다. 이 글을 통하여 진단법 중 검체진단검사의 진단 정확도 검증에서 정확도 결과지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검체진단검사가 개발되어 도입되기까지의 임상시험단계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상적인 참고표준이라면 100%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져야 하겠지만, 현실에서 그러한 검사는 존재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진단정확도 연구에서는 참고표준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100 %, 즉 참고표준검사 양성이면 질환이고, 음성이면 정상이라는 가정(assumption)을 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개발되는 많은 유전검사와 같이 기존의 검사 중 참고표준으로 간주되는 검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정확도를 갖는 검사법인 경우 기존의 검사법을 기준으로 비교하여 정확도 지표를 산출한다는 것은 타당하지 않은 방법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단정확도 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치료약제의 효과검증에서 가장 우수한 근거를 얻을 수 있는 연구방법은 무작위대조연구 방법이지만, 이를 검체진단검사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검체진단검사의 경우 비교연구가 진단정확도의 검증을 위해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지만 대상군의 모집 방법과 구분 방법, 질환대상자의 질환 심각도, 참고표준의 선택과 적용, 눈가림 여부 등 여러 요인들이 진단정확도 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좋은 근거수준의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한 잘 고안된 연구디자인이 중요하다. 또한 검체진단검사는 치료약제의 경우와 달리 결과를 얻기 위한 검사과정이 사용자인 일선 검사실에 의해 계속 생산되어야 하고, 검사의 개발과 발전의 속도가 빠르며, 일선검사실이 최종사용자이자 개발자인 경우가 흔하다는 특성이 있다.
의료에서 검체를 이용한 진단검사은 무슨 목적으로 사용되는가? 의료에서 검체를 이용한 진단검사(이후 검체진단검사)는 질병의 진단, 위험인자, 예후, 치료의 반응 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한다. 이를 크게 현 시점에 존재하는 상태에 대한 “진단”과 미래시점에 추정되는 결과에 대한 “예후”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은 진단정확도와 효과성 평가에서 매우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고 별도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의료에서 검체를 이용한 진단검사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의료에서 검체를 이용한 진단검사(이후 검체진단검사)는 질병의 진단, 위험인자, 예후, 치료의 반응 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한다. 이를 크게 현 시점에 존재하는 상태에 대한 “진단”과 미래시점에 추정되는 결과에 대한 “예후”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은 진단정확도와 효과성 평가에서 매우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고 별도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글은 현재 시점의 질병 유무를 확인하는 측면에 국한하여 검체진단검사를 서술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eeks J. Assessing outcomes following tests. In evidence based laboratory medicine. In Price CP, Christenson RH, eds., Washington DC, AACC Press, 2007. 

  2. FDA. Guidance for Industry and FDA Staff: In Vitro Diagnostic 2009 H1N1 Tests for Use in the 2009 H1N1 Emergency. http://www.fda.gov/downloads/MedicalDevices/DeviceRegulationandGuidance/GuidanceDocuments/UCM188679.pdf. Accessed Jun 3, 2011 

  3. Lijmer JG, Mol BW, Heisterkamp S, Bonsel GJ, Prins MH, van der Meulen JH, et al. Empirical evidence of design-related bias in studies of diagnostic tests. JAMA 1999;282:1061-6. 

  4. Philbrick JT, Horwitz RI, Feinstein AR, Langou RA, Chandler JP. The limited spectrum of patients studied in exercise test research. Analyzing the tip of the iceberg. JAMA 1982;248:2467-70. 

  5. Ransohoff DF, Feinstein AR. Problems of spectrum and bias in evaluating the efficacy of diagnostic tests. N Engl J Med 1978;299:926-30. 

  6. Whiting P, Rutjes AW, Reitsma JB, Glas AS, Bossuyt PM, Kleijnen J. Sources of variation and bias in studies of diagnostic accuracy: a systematic review. Ann Intern Med 2004;140:189-202. 

  7. Harbour R, Miller J. A new system for grading recommendations in evidence based guidelines. BMJ 2001;323:334-6. 

  8. Meads CA, Davenport CF. Quality assessment of diagnostic before-after studies: development of methodology in the context of a systematic review. BMC Med Res Methodol 2009;9:3. 

  9. Bossuyt PM, Reitsma JB, Bruns DE, Gatsonis CA, Glasziou PP, Irwig LM, et al. Towards complete and accurate reporting of studies of diagnostic accuracy: the STARD initiative. Standards for Reporting of Diagnostic Accuracy. Clin Chem 2003;49:1-6. 

  10. Bossuyt PM, Reitsma JB, Bruns DE, Gatsonis CA, Glasziou PP, Irwig LM, et al. The STARD statement for reporting studies of diagnostic accuracy: explanation and elaboration. Ann Intern Med 2003;138:W1-12. 

  11. McQueen M. Evidence-based laboratory medicine: addressing bias, generalisability and applicability in studies on diagnostic accuracy: the STARD initiative. Clin Biochem 2003;36:1-2. 

  12. Bossuyt PM. The quality of reporting in diagnostic test research: getting better, still not optimal. Clin Chem 2004;50:465-6. 

  13. Fischer JE, Bachmann LM, Jaeschke R. A readers' guide to the interpretation of diagnostic test properties: clinical example of sepsis. Intensive Care Med 2003;29:1043-51. 

  14. Leeflang MM, Bossuyt PM, Irwig L. Diagnostic test accuracy may vary with prevalence: implications for evidence-based diagnosis. J Clin Epidemiol 2009;62:5-12. 

  15. Rutjes AW, Reitsma JB, Vandenbroucke JP, Glas AS, Bossuyt PM. Case-control and two-gate designs in diagnostic accuracy studies. Clin Chem 2005;51:1335-41. 

  16. Pai M, Flores LL, Pai N, Hubbard A, Riley LW, Colford JM, Jr. Diagnostic accuracy of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s for tuberculous mening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Infect Dis 2003;3:633-43. 

  17. Reitsma JB, Rutjes AW, Khan KS, Coomarasamy A, Bossuyt PM. A review of solutions for diagnostic accuracy studies with an imperfect or missing reference standard. J Clin Epidemiol 2009;62:797-806. 

  18. Bandolier Extra. Evidence and Diagnostics. http://www.medicine.ox.ac.uk/bandolier/booth/diagnos/Diagessy.html. Accessed Jun 3, 2011. 

  19. Levels of Evidence Working Group. The Oxford 2011 Levels of Evidence. Oxford Centre for Evidence-Based Medicine. http://www.cebm.net/index.aspx?o5653. Accessed Jun 3, 2011. 

  20. Lee YK. Consideration of ELSI for Genetic Testing. Kor J Int Med 2010;79:S106-8. 

  21. Sackett D, Haynes R. The architecture of diagnostic research. In: Knottnerus J, ed. The evidence base of clinical diagnosis, London, BMJ, 2002 

  22. Gluud C, Gluud LL. Evidence based diagnostics. BMJ 2005;330:724-6. 

  23. Guyatt G, Rennie D. Users' guide to the medical literature: a manual for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Chicago: AMA Press,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