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및 정신건강 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Job-stress, Work-family Conflict,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Life-style of Married Office Work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2, 2011년, pp.378 - 385  

전해옥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혼 직장인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갈등 및 정신건강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기혼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은 창작지향형: 28.6%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자아신뢰형: 26.5%, 가족중심형: 18.4%, 성공지향형: 13.5%, 모범책임형: 13.0% 순으로 분류되었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직장-가정갈등과 정신건강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창작지향형의 경우 직장-가정갈등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고, 정신건강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신뢰형, 가족중심형, 모범책임형과 창작지향형은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모범책임형은 직장-가정갈등과 정신건강 간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창작지향형과 성공지향형은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직장인의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직장-가정갈등 해결과 정신건강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직장 내의 사회적 지지자원 확보와 치료적인 사회 심리적 간호중재를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job-stress, job-family conflict,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lifestyles of married office worker.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m 185 married office worker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May to August 201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갈등 및 정신건강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조절과 직장-가정 갈등 해결에 도움이 되는 지지전략 모색하고,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기혼 직장인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 직장-가정갈등 및 정신건강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사무직 종사자 중 기혼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최종 18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 본 연구는 기혼 직장인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및 정신건강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및 정신건강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증가로 인해 이슈화된 관심과 문제는 무엇인가? 4%가 맞벌이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3].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증가로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양립에 대한 관심 및 문제가 이슈화되고, 남성들이 배우자와 가사를 분담하는 등 과거와 다른 가족문화가 나타나는 등의 변화가 보여지고는 있다[4]. 그러나 특히, 여성 직장인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기혼직장인의 경우 직장업무와 가정에서의 가사와 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더욱 많이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이 직장 생활 및 직무만족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5].
기혼직장인 여성에게 있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이 개인의 동기나 능력에 맞는 직무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개인의 능력이 직무환경을 감당하기 어려울 때 발생한다[6].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 및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7][8], 신체적, 심리적 건강 및 건강관련 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9][10], 기혼 직장 여성에게 있어서, 가사와 회사생활의 병행, 남편의 가사생활에 대한 도움정도 등과 관련된 가정 환경적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11].
남녀 직장인의 88.4%가 맞벌이를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직장과 가정은 개인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심적인 조직체로 직장과 가정의 양립에서 야기되는 직장-가정 갈등은 그 빈도가 높고, 개인, 가정, 직장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1].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경제적인 여유(64.4%), 자아 실현(10.7%), 안정적인 노후(7.6%) 등의 이유로, 남녀 직장인의 88.4%가 맞벌이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E. L. Kelly, P. Moen, and E. Tranby, "Changing Work places to Reduce Work-family Conflict: Schedule Control in a White-collar Organizati 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76, No.2, pp.265-290, 2011. 

  2. http://www.saramin.co.kr/ 

  3. http://www.pollever.com 

  4. 허수연, "맞벌이 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 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제24권, 제3호, pp.177-210, 2008. 

  5. 최수찬, 우종민, 박웅섭, 김상아, "맞벌이 여부에 따른 직장-가정 간 갈등과 직무만족도", 대한산업의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0-17, 2009. 

  6. J. R. French, W. Rogers, and S. Cobb, Adjustment as a Person Environment Fit. Coping and Adaptatio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New York: Basic Books, 1974. 

  7. W. H. Hendrix, N. K. Ovalle, and R. G. Troxler,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onsequences of Stress and Its Antecedent Factors," J. of Applied Psychology, Vol.70, pp.188-201, 1985. 

  8. 이영화, 임왕규, "직무스트레스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소재 재가노인 방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1-30, 2011. 

  9. 장인순, "철강회사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건강관련 행위, A형 성격과의 관련성",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53-164, 2009. 

  10. 김정희, 현미열, 김숙영,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대처전략과 우울",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19-231, 2009. 

  11. 정혜선, 김혜영, 이현경, 이윤정, 권영숙 "취업 기혼여성의 스트레스 관련 요인 및 대처전략에 관한 구조모형",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0권, 제1호, pp.94-109, 2001. 

  12. D. Hughes, E. Galinsky, and A. Morris,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Marital Quality,"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4, No.1, pp.31-42, 1992. 

  13. A. P. Correa and M. C. Ferreira, "The Impact of Environmental Stressors and Types of Work Contract on Occupational Stress," The Spanish J. of Psychology, Vol.14, No.1, pp.251-262, 2011. 

  14. 김희진, 송인한, "기혼 직장인의 우울과 자살생각, 그리고 음주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6권, pp.1-30, 2010. 

  15. W. Lazer, Lifestyle Concepts and Marketing in S. A," Greyser(ed). Toward Scientific Marketing, AMA, pp.130-139, 1963. 

  16. 김호순, 김청송, "청소년의 라이프스타일 요인과 건강상태 유형별 관계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19-135, 2008. 

  17. 심성욱, 박종민, "라이프스타일과 다양한 매체의 광고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15권, 제2호, pp.7-33, 2004. 

  18. E. Erdfelder, F. Faul, and A. Buchner,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Vol.28, pp.1-11, 1996. 

  19. L. R. Kahle, Social Values and Social Change: Adaptation to Life in America(ed.), New York Praeger, 1983. 

  20. http://oshri.kosha.or.kr/ 

  21. S. L. Gutek, S. Searel, and J, Klepa,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 for Work-family Conflict," J. of Applied Psycholo gy, Vol.76, No.4, pp.560-568, 1991. 

  22. 고성희, 한국인의 정신건강개념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0. 

  23. D. S. Carlson, J. G. Grzywacz, M. Ferguson, E. M. Hunter, C. R. Clinch, and T. A. Arcury, "Health and Turnover of Working Mothers after Childbirth via the Work-family Interface: An Analysis Across Time," J. of Applied Psychology, Vol.96, No.5, pp.1045-1054, 2011. 

  24. M. Kowalska, J. Bugajska, and D. Zołnierczyk -Zreda, "Frequency of Burnout Syndrome in Office Worker," Medycyna Pracy, Vol.61, No.6, pp.615-623, 2010. 

  25. A. Calvo-Salguero, J. M. Martinez-De-Lecea, and A. M. Carrasco-Gonzalez, "Work-family and Family-work Conflict: Does Intrinsic extrinsic Satisfaction Mediate the Prediction of General Job Satisfaction?," J. of Psychology, Vol.145, No.5, pp.435-461, 2011. 

  26. H. Ohta, K. Wada, M. Kawashima, M. Arimatsu, T. Higashi, T. Yoshikawa, and Y. Aizawa, "Work-family Conflict and Prolonged Fatigue among Japanese Married Male Physician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E pub ahead of print, 2011. 

  27. E. E. Kossek, S. Pichler, T. Bodner, and L. B. Hammer, "Workplace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A Meta-analysis Clarifying the Influence of General and Work-Family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sonnel Psychology, Vol.64, No.2, pp.289-31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