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선초 추출물이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gelica keiskei Extract on Apoptosis of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2, 2011년, pp.1654 - 1661  

정유진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강금지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KE의 농도별 처리가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화학적인 방법인 MTT 분석, 이중 핵 염색법(Hoechst 33342/EtBr staining), FACS를 통하여 세포사멸을 관찰하였다. MTT 분석 결과, 150 ${\mu}g$/mL 처리 군에서 대조군에 대비하여 약 50%의 세포사멸을 나타내었으며 세포사멸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고(p<0.05), 이중 핵 염색법을 이용하여 세포사의 구분 결과 능동적 세포예정사인 apoptosis가 농도 의존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p<0.05), 특히 150 ${\mu}g$/mL 처리군에서 현저한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보다 더 명확한 세포사멸을 확인하기 위하여 FACS를 이용한 apoptosis 측정 결과, 처리군 간 크게 차이를 보이며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세포사멸관련 mRNA 유전자 발현을 관찰한 결과, 세포사멸 억제 유전자 Bcl-2는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 증가를 보였으며(p<0.05), 세포사멸 유도 유전자 Bax는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세포사멸의 지표인 Bcl-2/Bax의 비율은 농도 의존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p<0.05), 세포사멸유도의 마지막 단계의 실행자인 caspase-3의 활성도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AKE는 유방암 세포 MDA-MB-231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선초의 항암효과의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향후 in vivo 실험에서도 신선초의 항암효과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gelica keiskei ethanol (AKE) extract on cell death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MDA-MB-231 cell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125, 150 and 175 ${\mu}g$/mL concentrations of AKE for 24 hours. MTT assays demonstrated that mitochondrial dehydrog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The effect of Angelica keiskei extract (AKE) on cell death by apoptosis or non-apoptosis in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A: Morphological changes in MDA-MB-231 cells induced by AKE. B: To quantitative analysis of cells death by apoptosis or non-apoptosis in MDA-MB-231 cells, MDA-MB231 cells strained with Hoechst 33342+ethidium bromid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poptosis 반응의 원인은? 세포의 죽음은 크게 세포사멸(apoptosis)와 세포괴사(necrosis)로 구분되며, 그중 apoptosis는 세포 내부의 신호에 따른 여러 단백질 활성의 조절과 유전자의 발현을 통하여 일어나는 능동적인 세포예정사로 알려져 있다(4). 방사선이나 열의 충격, 독소,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등에 의한 세포의 손상이나 심한 스트레스로 apoptosis 반응이 나타나며, 그 이상은 다양한 질병을 초래하는데 특히 암과 관련된다.
apoptosis란? 세포의 죽음은 크게 세포사멸(apoptosis)와 세포괴사(necrosis)로 구분되며, 그중 apoptosis는 세포 내부의 신호에 따른 여러 단백질 활성의 조절과 유전자의 발현을 통하여 일어나는 능동적인 세포예정사로 알려져 있다(4). 방사선이나 열의 충격, 독소,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등에 의한 세포의 손상이나 심한 스트레스로 apoptosis 반응이 나타나며, 그 이상은 다양한 질병을 초래하는데 특히 암과 관련된다.
Apoptosis를 유도하는 경로에서 활성화되는 protease 중 caspase의 특징은? Apoptosis와 관련된 유전자는 Bcl-2 family 중 apoptosis 억제 유전자인 Bcl-2와 이를 유도하는 유전자인 Bax가 존재하여 길항적으로 조절된다. 또한 apoptosis를 유도하는 경로에서 활성화되는 protease 중, caspase가 세포사멸 시 활성화 되는 가장 중요한 실행자로 알려져 있으며, 이 효소의 활성을 통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National survey of cancer patients: Analysis of national cancer survey. Seoul, Korea. p 10. 

  2. Kang HG, Kim HS, Lee MR, Seol SM, Oh JH, Lee SH, Kang GH. 2005. Expressions of apoptotic gene (survivin, bcl-2, bax) and clinical relevance in osteosarcoma. J Kor Bone J oint Tumor Soc 11: 118-125. 

  3. American Institute of Cancer Research/World Cancer Research Fund. 2007. Food,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prevention of cancer: a global perspective. American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Washington, DC, USA. p 4-29. 

  4. Clarke PG, Clarke S. 1995. Historic apoptosis. Nature 378: 230. 

  5. Alnermri ES. 1997. Mammalian cell death proteases: a family of highly conserved aspartate specific cystein proteases. J Cell Biochem 64: 32-42. 

  6. Zhap ZQ, Budde JM, Morris C, Wang NP, Velez DA, Murak S, Guyton RA, Vinten JJ. 2001. Adenosine attenuated reperfusion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by modulation expression of Bcl-2 and Bax proteins. J Mol Cell Cardiol 33: 57-68. 

  7. Kim OK, Lee MW, Park WB, Ham SS, Kung SS. 1992.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aerial whole plant and juice of Angelica keiskei Koidz. Kor J Food Sci Technol 24: 592-596. 

  8. Toyoda M, Tanaka K, Hoshino K, Akiyama H, Tanimura A, Saito Y. 1997. Profiles of potentially antiallergic flavonoids in 27 kinds of health tea and green tea infusions. J Agric Food Chem 45: 2561-1564. 

  9. Okuyama T, Takata M, Takayasu J, Hasegawa T, Tokuda H, Nishino A, Nishino H, Iwashima A. 1991. Anti-tumorpromotion by principles obtain from Angelica keiskei. Planta Med 57: 242-246. 

  10. Kimura Y, Baba K. 2003. Antitumor and antimetastatic activities of Angelica keiskei roots, part I: isolation of an active substance, xanthoangelol. Int J Cancer 106: 429-437. 

  11. Takaoka S, Hibasami H, Ogasawara K, Imai N. 2008. Chalcones from Angelica keiskei induce apotosis in stomach cancer cells. J Herbs Spices Mes Plants 14: 166-174. 

  12. Hsu YL, Taeng WS, Kuo PL, Lin CC. 2006. Chalcone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 by blocking cell cycle progression and inducing apoptosis. Food Chem Toxicol 44: 704-713. 

  13. Tabata K, Motani K, Takayanagi N, Nishimura R, Asami S, Kimura Y, Ukiya M, Hasegawa D, Akihisa T, Suzuki T. 2005. Xanthoangelol, a major chalcone constituent of Angelica keiskei , induces apoptosis in neuro blastoma and leukemia cells. Biol Pharm Bull 28: 1404-1407. 

  14. Chuang JY, Huang YF, Lu HF, Ho HC, Yang JS, Li TM, Chang NW, Chung JG. 2007. Coumarin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cervical cancer heLa cells through a mitochondria- and caspase-3 dependent mechanism and NF- ${\kappa}B$ down-regulation. In Vivo 21: 1003-1009. 

  15. Li L, Aldini G, Carini M, Chen CYO, Chun HY, Cho SM, Park KM, Correa CR, Russell RM, Blumberg JB, Yeun KJ. 2009. Characterisation, extraction efficiency, s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hytonutrients in Angelica keiskei. Food Chem 115: 227-232. 

  16. Ogawa H, Okada Y, Kamisako T, Baba K. 2007. Beneficial effect of xanthoangelol, a chalcone compound from Angelica keiskei , on lipid metabolism in stroke-pron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Clin Exp Pharmacol Physiol 34: 238-243. 

  17. Fujita T, Sakuma S, Sumiya T, Nishida H, Fujimoto Y, Baba K, Kozawa M. 1992. The effects of xanthoangelol E on arachidonic acid metabolism in the gastric antralmucosa and platelet of the rabbit. Res Commun Chem Pathol Pharmacol 77: 227-240. 

  18. Shimizu E, Hayashi A, Takahashi R, Aoyagi Y, Murakami T, Kimoto K. 1999. Effects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Ashitaba (Angelica keiskei ) on blood pressur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Nutr Sci Vitaminol 45: 375-383. 

  19. Enoki T, Ohnogi H, Nagamine K, Kudo Y, Sugiyama K, Tanabe M, Kobayashi E, Sagawa H, Kato I. 2007. Antidiabetic activities of chalcones isolated from Japanese herb, Angelica keiskei. J Agric Food Chem 55: 6013-6017. 

  20. Comes F, Matrone A, Lastella P, Nico B, Susca FC, Bagnulo R, Ingravallo G, Modica S, Lo Sasso G, Moschetta A, Guanti G, Simone C. 2007. A novel cell type-specific role of p38 alpha in the control of autophagy and cell death in colorectal cancer cells. Cell Death Differ 14: 693-702. 

  21. Hoshino Y, Mio T, Nagai S, Miki H, Ito I, Izumi T. 2001. Cytotoxic effects of cigarette smoke extract on an alveolar type II cell-derived cell line.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81: 509-516. 

  22. Heo BG, Chon SU, Park YJ, Bae JH, Park SM, Park YS, Jang HG, Gorinstein S. 2009.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Korean wild vegetables on different human tumor cell lines. Plant Foods Hum Nutr 64: 257-263. 

  23. Sun J, Liu RH. 2006. Cranberry phytochemical extracts induce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MCF-7 breast cancer cells. Cancer Lett 241: 124-134. 

  24. Kobayashi T, Ruan S, Clodi K, Kliche KO, Shiku H, Andreeff M, Zhang W. 1998. Overexpression of Bax gene sensitizes K562 erythroleukemia cells to apoptosis induced by selective chemotherapeutic agents. Oncogene 16: 1587-1591. 

  25. Oltvai ZN, Milliman CL, Korsmeyer SJ. 1993. Bcl-2 heterodimerizes in vivo with a conserved homolog, Bax, that accelerates programmed cell death. Cell 74: 609-619. 

  26. Yang E, Zha J, Jockel J, Boise LH, Thompson CB, Kosmeyer SJ. 1995. Bad, a heterodimeric partner for bcl-XL and bcl-2, displaces bax and promotes cell death. Cell 80: 285-291. 

  27. Yin XM, Oltvai Z, Korsmeyer SJ. 1994. BH1 and BH2 domains of bcl-2 are required for inhibition of apoptosis and heterodimerization with bax. Nature 369: 321-323. 

  28. Kluck RM, Bossy-Wetzel E, Green DR, Newmeyer DD. 1997. The release of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a primary site for bcl-2 regulation of apoptosis. Science 275: 1132-1136. 

  29. Yang J, Liu X, Bhalla K, Kim CN, Ibrado AM, Cai J. 1997. Prevention of apoptosis by bcl-2: release of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blocked. Science 275: 1129-1132. 

  30. Yu MH, Im HG, Hwangbo MH, Lee JW, Lee IS. 2005. Induction of apoptosis by immature Prunus salicina Lindi. cv. Soldam.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21-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