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처리조건 및 건조방법에 따른 분말마늘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Effects of Pretreatment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Powde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2, 2011년, pp.1680 - 1687  

장영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진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을 무처리(control), 자숙(boiling), 굽기(baking), 증자(steaming)의 처리방법과 열풍건조동결건조의 방법으로 분말마늘을 제조하여 품질특성과 생리활성을 비교조사 하였다. 열처리 후 열풍건조한 분말마늘은 동결건조분말마늘보다 수분함량이 높았고, 수분활성도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색차계로 분말마늘의 색도를 조사한 결과, 열풍건조구가 동결건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밝기를 나타내는 L 값은 낮았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 값은 높았으며 특히 굽기 처리를 한 경우 갈변현상이 강하게 나타났다. 분말마늘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결과, 전자공여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가열처리를 하지 않고 건조시킨 경우 유의적으로 높았고, 자숙, 굽기, 증자 등의 열처리를 한 경우는 열풍건조방법이 동결건조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아질산염소거능전처리방법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전용해능은 가열처리과정 없이 열풍건조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마늘이 가장 우수하였고, 가열처리를 한 경우는 열풍건조로 제조된 분말마늘의 혈전용해능이 동결건조분말마늘보다 2배 정도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처리방법 중에서는 굽는 방법은 자숙처리법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항산화능과 혈전용해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사 결과, 모든 열처리구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무처리구의 경우 동결건조가 열풍건조보다 높은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균주별로는 Bacillus cereus,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유의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powders. Fresh garlic was boiled, baked, steamed or left untreated before hot-air drying or freeze-drying. Electron-donating abilities were higher in the untr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말마늘의 품질을 최적화하고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제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다양한 전처리 방법 및 건조방법으로 분말마늘을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능을 구명함으로써 바람직한 마늘 중간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L: lightness, a: redness, b: yellownes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을 열처리 혹은 고온숙성하면 어떤 장점이 있다고 보고되었는가? Chung과 Choi(23)는 마늘의 열풍건조와 동결건조방법을 이용하여 분말마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고, 마늘의 품질보존을 위한 효율적인 건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마늘의 건조 온도에 따른 기능성 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연구도 있다(24). 마늘을 열처리 혹은 고온숙성 하면 마늘 특유의 독특한 맛과 향은 부드러워지며 단맛이 강해지고(25), 폴리페놀류의 함량은 증가하고 생마늘보다 항산화력이 상승하였다는 보고도 있다(26). Byun 등(27)은 다양한 용매와 산으로 추출한 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마늘의 기능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마늘의 생리활성작용으로 보고된 효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마늘의 생리활성작용은 항산화(6-8), 항암(6,9), 항혈전(10), 고혈압 예방 및 혈압강하(11,12), 노화방지(13), 콜레스테롤 저하(14), 동맥경화예방(15), 혈당강하(16), 간 보호 및 간 질환 치료효과(17) 등이 확인된 바 있으며, 식중독균과 같은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작용(18-20) 및 세포대사 저해작용(21) 등이 보고되면서 다양한 기능성 소재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마늘의 생리활성작용을 발현시키는 주요 물질은 무엇인가? )은 백합(Lilliaceae)과 파속(Allium)에 속하는 인경작물로 오랜 재배 역사와 더불어 식용 및 의약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마늘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발현하는 주요물질은 마늘에 함유된 함황아미노산의 일종인 alliin으로(3), allinase에 의하여 분해되어 마늘 특유의 자극성 신미성분인 allicin(diallyl thiosulfinate)을 생성하게 되고, 이때 생성된 allicin 등의 thiosulfinates 화합물이 마늘의 기능성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Ha TY.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for healthy life. Korean J Crop Sci 51: 26-39. 

  2. Matsuda T. 1995. Biopreservation of foods. J Antibact Antifung Agents 23: 241-250. 

  3. Stoll A, Seebeck E. 1951. Chemical investigation on alliin, the specific principle of garlic. Advan Enzymol 11: 377-400. 

  4. Park MH, Kim JP, Kwon DJ. 198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and their effects on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garlic bulb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205-212. 

  5. Small LD, Bailey JH, Cavallito CJ. 1949. Comparison of some properties of thiosulfonates and thiosulfinates. J Am Chem Soc 71: 3565-3566. 

  6. Kim HJ, Han CH, Kim NY, Lee EK, Lee KN, Cho HE, Choi YH, Chong MS. 2010. Effect of garlic extracts with extraction conditions on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Korean J Orintal Physiology & Pathology 24: 111-117. 

  7. Chung JY, Kim CS.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garlic stems and garlic bulbs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8-194. 

  8. Shin JH, Ju JC, Kwen OC, Yang SM, Lee SJ.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 Nutr 17: 237-245. 

  9. Fleischauer AT, Poole C, Arab K. 2000. Garlic consumption and cancer prevention: meta-analyses of colorectal and stomach cancer. Am J Clin Nutr 72: 1047-1052. 

  10. Nishimura H, Hanny W, Mizutani J. 1988.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antithrombotic agent: vinyldithinins from Allium victorialis. J Agric Food Chem 36: 563-569. 

  11. Banerjee S, Maulik S. 2002. Effect of garlic on cardiovascular disorder: a review. Nutr J 1: 4. 

  12. Ruffin J, Hunter SA. 1983. An evaluation of the side effects of garlic as an antihypertensive agent. Cytobios 37: 85-89. 

  13. Choi JH, Byun DS. 1986. Studies on anti-aging of garlic, Allium sativum L. (1) Comparative study of garlic and ginseng components on antiaging action. Korean Biochem J 19: 140-146. 

  14. Sharma KK. 1979. Effect of onion and garlic on serum cholesterol on normal subjects. Mediscope 22: 134. 

  15. Jain RC. 1977. Effect of garlic on serum lipids, coagulability and fibrinolytic activity of blood. Am J Clin Nutr 39: 1380-1381. 

  16. Jain RC, Vyas CR. 1975. Garlic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bbits. Am J Clin Nutr 28: 684. 

  17. Lea MA, Randolph VM. 2001. Induction of histone acetylation in rat liver and hepatoma by organosulfur compounds including diallyl disulfide. Anticancer Res 21: 2841-2845. 

  18. Kim MG, Kim SY, Shin WS, Lee JS.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52-755. 

  19. Shashikanth KN, Basappa SC, Murthy VS. 1981.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nd stimulatory factors of garlic (Allium sativum L.). J Food Sci Technol 18: 44-47. 

  20. Kim YD, Kim KM, Hur CK, Kim ES, Cho IK, Kim KJ.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ation 11: 400-404. 

  21. Bogin E, Abrams M. 1976. The effect of garlic extract on the activity of some enzymes. Food Cosmet Toxicol 14: 417-419. 

  22. Freeman GG, Whenham RJ. 1975. A survey of volatile components of some Allium species in terms of S-alk(en)yl-L-cysteine sulphoxides present as flavour precusors. J Sci Food Agric 26: 1869-1886. 

  23. Chung SK, Choi JU. 1990. The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the garlic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44-49. 

  24. Chung SK, Seog HM, Choi JU. 1994. Changes in volatile sulfur compounds of garlic (Allium sativum L.) under various drying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79-682. 

  25. Choi YH, Shim YS, Kim CT, Lee C, Shin DB. 2007. Characteristics of thiosulfinats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from blanched garlic reacted with allinase. Korean J Food Sci Techonl 39: 600-607. 

  26. Jang EK, Seo JH, Lee SP. 2008.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43-448. 

  27. Byun PH, Kim WJ, Yoon SK. 2001.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07-513. 

  28. Kim HK, Jo KS, Kang TS, Shin HS. 1987. Browning and sorption characteristics of dried garlic flakes with relative humidity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176-180. 

  2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4. 

  30. Kato H, Lee IE, Che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9. 

  3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OAC.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2. Fayek KI, El-Sayed ST. 1980.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subtilis. Zeit fur Allgem Mikrobilo 20: 375-382. 

  33. Shin JH, Jung KM, See SJ, Yang SM, Rue GH, Sung NJ. 2009. B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garlic, red ginseng and their mix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33-1639. 

  34. Kim HK, Jo KS, Kwon DY, Park MH. 1992.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and sulfiting on the qualities of dried garlic slices. J Korean Agric Chem Soc 35: 6-9. 

  35. Jeong JY, Woo KS, Hwang IG, Yoon HS, Lee YR, Jeong HS. 2007.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ma on garlic harvested in different cultivation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37-1642. 

  36. Eichner K. 1980. Antioxidative effect of Maillard reaction intermidates. In Autoxid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s. Simic MG, ed. Plenum press, New York, NY, USA. p 367-386. 

  37. Byun PH, Kim WJ, Yoon SK. 2001. Change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extract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01-306. 

  38. Kim HJ, Jun BS, Kim SY, Cha JY, Cho YS. 2000.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27-1132. 

  39.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40. Cavallito CJ, Buck JS, Suter CM. 1944. Allicin the antibacterial principle of Allium sativum: 1.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structure. J Am Chem Soc 66: 1952-1954. 

  41. Bae HJ, Chun HJ. 2002. Changes in volatile sulfur compounds of garlic under various cooking condi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365-371. 

  42. Kun SC, Kim JY, Kim YG. 2003.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40-543. 

  43. Ji WD, Jeong MS, Choi UK, Choi DH, Chung YG. 1998. Growth inhibi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 Juice on the microorganism. Agric Chem Biotechnol 41: 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