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간호사의 역할 경험

Occupational Health Nurses' Role Experiences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3, 2011년, pp.250 - 260  

전경자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주혜주 (경인여자대학 간호과) ,  김영미 (한국남부발전(주)부산천연가스발전본부 건강관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ole experiences of occupational health nurse.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are daily experiences in practic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focus-group interviews with nine occupational health nurses and analyzed by the gro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결과가 유사한 다른 상황에서도 적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력을 가진 대상자로 그룹을 구성하고, 토의를 두 차례 실시하였다. Strauss와 Corbin (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의 절차를 따름으로써 감사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을 갖추었으므로 확인 가능성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산업간호사의 역할 확립에 필요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산업간호사가 어떻게 자신의 역할을 느끼고 있으며 그 과정에 어떤 맥락과 상황에 놓이게 되는가를 설명해보고자 시도되었다.
  •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산업간호사들이 직면해 있는 현실적인 문제를 조직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법적관리자이지만 조직 내에서는 아직 관리자로서의 위상 확립이 미흡한 현실을 반영하여 산업간호사의 교육, 전문직 단체 활동, 산업보건 정책의 강화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건관리자로 선임된 산업간호사의 역할 경험을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방법을 적용한 근거이론분석방법으로 산업간호사의 역할경험을 기술하였다. 산업간호사의 역할 경험을 나타내는 중심현상은 “이중의 역할로 혼자서 고군분투하기”였다.
  • 본 연구에서 산업간호사의 역할 경험을 나타내는 중심현상은 ‘이중의 역할로 외로이 고군분투하기’였으며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중재적 조건 속에서 작용/ 상호작용 전략들이 이러한 중심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전개되고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보건관리자로서의 산업간호사의 역할 경험에 대한 의미체계를 이해하고 설명함으로써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질문은 “산업간호사의 역할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본 연구는 산업간호사들이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 맥락과 그 맥락 속에서 산업간호사로서의 역할을 확립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현상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포커스그룹 인터뷰 참여자들의 평균 경력 13년이었기 때문에 산업간호사 입직 초기의 특징적인 상황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기 어려웠다는 점, 그리고 질문 중 산업간호사로서의 고유한 업무에 대한 특성에 대한 경험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간호사의 역할경험을 나타내는 연구의 제언 내용은? 첫째, 산업간호사들의 직무교육 요구를 파악하여 다양한 주제를 개발하고, 경력과 능력에 맞춰 선택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산업간호 실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 환경의 변화에 대한 교육과 조직내 적응력과 관리자로서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산업간호사 전문직 단체에서는 신규 산업간호사의 적응을 돕고, 경력 산업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할 수 있도록 산업간호사에게 적합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산업간호사의 고용안정을 통해 효과적인 보건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산업보건 정책 당국의 행정적 감독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보건관리자란? 우리나라에서 간호사가 의사, 산업위생기사와 동등하게 산업장 보건관리자로서 지위를 확보하게 된 것은 1990년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된 이후부터였다.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면, 보건관리자란 사업장의 유해인자, 작업방법 및 업무부담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고, 사업주에게 보건에 관한 기술을 지도·조언하는 역할을 하는 전문인력으로 정의되어 있다(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09). 이는 산업간호사가 의료인이면서 동시에 산업보건 전문인력으로서 이중의 역할을 요구받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에서 간호사가 의사, 산업위생기사와 동등하게 산업장 보건과리자로서 지위를 확보하게 된 시기는? 우리나라에서 간호사가 의사, 산업위생기사와 동등하게 산업장 보건관리자로서 지위를 확보하게 된 것은 1990년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된 이후부터였다.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면, 보건관리자란 사업장의 유해인자, 작업방법 및 업무부담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고, 사업주에게 보건에 관한 기술을 지도·조언하는 역할을 하는 전문인력으로 정의되어 있다(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ong, Y. C., Ha, E. H., Rho, Y. M., June, K. J., Park, H. S., Jo, H. S., et al. (1997). Job performance of occupational health personnel. Korean Journal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9(3), 496-507. 

  2. Jones, A. (2003). Nurse talking to patients exploring convertsation analysis of researching nurses patients converts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0, 609-618. 

  3. June, K. J., Kim, Y. I., Jung, H. S., & Lee, B. I. (2003). Certification and management of occupational health nurse in Korea.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2(1), 50-58. 

  4. June, K. J., Hong, O., & Cho, T. R. (2003). Occupational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and research in Korea: An international updat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Journal, 51(2), 65-71. 

  5. June, K. J. (2005). A curriculum development for Korean occupational health nurse specialist.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4(1), 34-43. 

  6. Jung, H. Y., & Lee, H. (2010). Work experiences of nursesworking as 119 paramedics.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128-139. 

  7. Kim, S. J., Yi, M. S., Eun, Y., Ko, M. H., Kim, J. H., Kim, D. O., et al. (2006). Role-Identity of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1), 103-113. 

  8. Kim, Y. H. (2008). The factors influencing on role performance of occupational health nurse -focusing on job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9. Kim, Y. I., Cho, T. R., June, K. J., & Jung, H. S. (1996). A survey of the working conditions for the occupational health nurses.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5, 73-89 

  10. Kim, Y. I., Kim, S. H., Kim, H. G., Lee, J. U., & Kim, Y. H. (2007). Working conditions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in Korea.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2), 130-138. 

  11. Kwon, M., & Kim, S. L. (2010). The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occuptional health nurese in workplace in Korea.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159-169. 

  12. Kwon, M., Kim, S. L, Jung, H. S., Kim, H. G., & Kim, K. L. (2011). The effect of Korean occupational health nurses work conditions on their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83-92. 

  13. Lee, B. I., Jung, H. S., Yi, Y. J., Kim, J. Y., Jhang, W. G., Kim, Y. H., et al. (2009). Factors affecting the burden on employment of health care providers in the middle sized manufacturing enterprize.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2), 252-261. 

  14. Lee, B. S., Park, J. S., Lee, J. H., & Hong, S. N. (2010). Effect of a mentoring program as a strategy for re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1), 48-58. 

  15. Lee, M. S. (2007). Conversation analysis for improving nursing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772-780. 

  16. Lee, M. S. (2009). Work-related stress and its related factors of workplace Health care manag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17. Lee, Y. J., & Kim, K. B. (2008). Experiences of nurse turnov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248-257. 

  18. Ma, H. K. (2001). The analysis of current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occupational health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Miller, M. A. (1989).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orces affecting the future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Journal, 37(9), 361-366. 

  20. Naumanen-Tuomela, P. (2001). Finnish occupational health nurses' work and expertise: The client' perspectiv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4(4), 538-544. 

  21. Naumanen-Tuomela, P. (2001). Occupational health nurses' work and expertise in Finland: Occupational health nurses' perspective. Public Health Nursing, 18(2), 108-115. 

  22.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09, February).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OGL). Retrieved December 30, 2010 from http://www.moleg.go.kr 

  23. Oh, J. J. (2009). On-the-job experiences of medical aid manager's.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1), 84-97. 

  24. Park, H. J., Kim, D. H., & Kim, C. M. (2009). The paradigm model of vip ward nurses' decision making.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2), 141-152. 

  25. Korea Nurses Association News. (2010, September 28). Produced 366 new advanced practice nurses in 7 areas, from http://www.nursenews.co.kr/Article/ArticleDetailView.asp?typ 8&articleKey 35 

  26.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27. Salazar, M. K. (Eds.). (2001). Core curriculum for occupational & environmental health nursing (2nd ed.).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28.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 Deli, CA: Sage.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EUR/01/5025463).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health nurse in workplace health management, from http://www.who.int/occupational_health/regions/en/oeheurnursing.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