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도와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the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Level of Neonatal Nurses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3, 2011년, pp.261 - 269  

박은아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박정언 (경산1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level of neonatal nurses and to asses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of them. Methods: Subjects were 109 neonatal nurses working at 2 university hospitals and 9 women's hospitals in D city, and the data were analy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료수집 전 연구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 익명성 보장과 수집된 자료는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안내문으로 작성하여 서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동의한 간호사들에게 서면화된 동의서를 받았다. 또한 응답의 비밀유지를 위해서 완성된 질문지는 회수용 봉투에 담아서 연구자에게 제출하도록 하였고, 자료분석 후에는 수집된 자료를 폐기하는 등 연구참여자의 익명보호를 위해 노력하였다.
  • 본 연구는 신생아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도를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신체적 영역의 피로도가 높은 것은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도의 관련성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피로를 유발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업무량 과다’와 ‘부적절한 물리적 환경’ 영역과 피로도와의 관련성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와 피로도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신생아실 고유의 특성을 고려한 직무교육, 스트레스와 피로관리, 행정적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 이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에 대해 파악하는 것은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전문직 간호사의 업무수행 및 인력관리에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일이므로(Kim & Kim, 2010),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도의 관련성을 분석해 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신생아실이라는 특수한 임상현장에 소속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신생아 및 신생아 중환아를 간호하면서 느끼는 어려움과 업무자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피로를 조절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신생아 간호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의료서비스에서 인력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그 중에 서도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간호사로, 간호사의 직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의료소비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 는데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직무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Lee, Son, & Yang, 1997), 간호사가 의료소비자와 가장 직접적이면서도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소비자가 지각하는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Kim & Ha, 2009),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직무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는 업무상 요구사항이 조직구성원의 건강 능력이나 자원, 요구와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 정서적 반응을 말한다(Sauter et al., 1999).
본 논문에서 신생아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도를 파악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결과 신생아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타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와 비슷하였고, 피로도에서도 신체적 영역의 피로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체적 영역의 피로도가 높은 것은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도의 관련성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피로를 유발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업무량 과다’와 ‘부적절한 물리적 환경’ 영역과 피로도 와의 관련성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와 피로도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신생아실 고유의 특성을 고려한 직무교육, 스트레스와 피로관리, 행정적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aithwaite, M. (2008). Nurse burnout and stress in NICU. Advances in Neonatal Care, 8(6), 343-347. 

  2. Byeon, Y. S., & Lee, J. I. (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for the Fatigue Assessment Instrument (FAI).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2), 220-225. 

  3. Cha, K. T., Kim, I. W., Koh, S. B., Hyun, S. J., Park, J. H., & Park, J. K., et al. (2008).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al stress with self-perceived fatigue in white collar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 Environment Medicine, 20(3), 182-192. 

  4. Chang, S. B., Chu, S. H., Kim, Y. I., & Yun, S. H. (2008).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sleep and fatigue in night shif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6), 941-949. 

  5. Chung, E. C., & Doh, B. N. (2002). Job stres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hospital nurses.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3), 398-405. 

  6. Dawson, D., & McCulloch, K. (2005). Managing fatigue: It's about sleep. Sleep Medicine Review, 9, 365-380. 

  7. Fuhrer, R., & Wessely, S. (1995). The epidemiology of fatigue and depression: A French primary care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25, 895-905. 

  8. Gill, N. E., White, M. A., & Anderson, G. C. (1984). Transitional newborn infants in a hospital nursery: From first oral cue to first sustained cry. Nursing Research, 33(4), 213-217. 

  9. Grace, E., Scott, L. D., & Rogers, A. E. (2006). Infant at risk. Advances in Neonatal Care, 6(3), 120-126. 

  10. Han, A. K., Kim, O. S., & Won, J. S. (2007). A study on job stress and coping method by the personality types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125-136. 

  11. Institut fur Experimentelle Psychologie. (2007, December 1). Power analyses for tests based on the z distribution . Retrieved December 06, 2009, from Heinrich Heine University of Dusseldorf, Institut fur Experimentelle Psychologie Web site: http://www.psycho.uni-duesseldorf.de/abteilungen/aap/gpower3/user-guide-by-distribution/z/logistic_regression 

  12. Kang, J. W., Hong, Y. S., Lee, H. J., Yeah, B. J., Kim, J. I., Kim, J. M., et al. (2005). Factors affecting fatigue and stress in male manufacturing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2), 129-137. 

  13. Kim, H. S., You, S. Y., Kim, M. J, & Park, C. S. (2004). Direct car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home care nurs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es, 10(3), 261-265. 

  14. Kim, J. H., & Choi, E. S. (2000). Job related stress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neonatal care nurses.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8, 31-55. 

  15. Kim, J. R., & Kim, K. H. (2010). A study on job stress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Nursing Science, 22(2). 1-11. 

  16. Kim, K. S., & Ha, E. H. (2009).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nd intention to revisit as perceived by hospitalized patients and nurses in medium sized urba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2), 103-114. 

  17. Kim, M, J., & Gu, M. O. (1984).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2), 28-37. 

  18. Kim, Y. H., & Cho, S. H. (2002). A study on the fatigue of hospital nurse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6(2), 271-284. 

  19. Larrabee, J. H., Janny, M. A., & Ostrow, C. I. (2003). Predicting registered nurse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3(5), 271-283. 

  20. Lee, E. H. (2008). T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resolving style of problems between nurses' job stressors and emotional exhaustio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3(4), 397-413. 

  21. Lee, K. H., Koh, S. B., Kang, D., Chung, J. J., Kim, H. R., Kim, I. A., et al. (2011). Job stress and self perceived fatigue in Korean farme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23(2), 213-224. 

  22. Lee, K. H., Son, S. J., & Yang, J. S. (1997, November). Nurses' job related factors and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 Society of Hospital Administration, Sungnam. 

  23. Lee, R. T., & Ashforth, B. E. (1996).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2), 123-133. 

  24. LoSasso, D. M. (2011). Are we really doing what is best for our tiny patients? NNP shift length and patient safety. Advances in Neonatal Care, 11(3), 193-196. 

  25. Park, H. S., & Gang, E. H. (2007). A study on job stress and the coping of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810-821. 

  26. Park, O. I., Park, H. R., & Kim, J. S. (2006). A study o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2(2), 105-112. 

  27. Sauter, S., Murphy, L., Colligan, M., Swanson, N., Hurrell, J., Scharf, F., et al. (1999). Stress at work. In: DHHS (NIOSH) Publication No. 99-101. Cincinnati. 1-25. 

  28. So, H. Y., Yoon, H. S., & Cho, Y. C. (2008). Effects of quality of sleep and related factors for fatigue symptoms of nurses in an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4), 513-514. 

  29. Sung, M. H., Ahn, R. S., & Chang, M. S. (2004).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of father of high-risk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0(3), 251-261. 

  30. Yoon, H. S. (2007). Checklist for the newborn during hospitalization.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18(2), 111-1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