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권세균을 전 접종한 감귤에서 감귤 더뎅이병 억제 효과 및 기작
Suppression Effect and Mechanism of Citrus Scab in the Citrus Pre-inocul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7 no.3, 2011년, pp.302 - 310  

김소연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식물자원환경) ,  현재욱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시험장) ,  전용철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식물자원환경)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sinoe fawcettii는 현재 감귤 산업의 경제 가치를 떨어뜨리며, 감귤 더뎅이병을 일으키는 원인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살균제를 이용하여 방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안전한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생물학적인 방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미생물 방제에 대한 연구로서 제주에서 분리한 식물근권세균 215개 중 Elsinoe fawcettii에 의해 발병되는 감귤 더뎅이병균의 항균 효과와 병원균 발병 억제효과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그 중 in vitro 실험에서 더뎅이병균에 저지원을 형성하며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근권세균은 THJ 609-3, MRL 408-3, TRH 423-3이었다. 또한 이들 식물근권세균을 선처리하고 병원균을 접종한 결과 감귤 더뎅이병 억제효과가 있었다. 근권세균에 의한 병억제 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선발된 식물근권 세균이 병원균의 포자수를 감소시켰으며 병원균 발아율도 접종 1일 후에 감소되었다. 식물근권세균 rDNA의 Internal Transcript Spaces(ITS)을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THJ 609-3은 Pseudomonas pudia로 동정되었으며, MRL 408-3과 TRH 423-3은 Burkholderia gladioli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는 생물적 방제로 감귤 더뎅이병균을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적 미생물제제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sinoe fawcettii is one of major pathogenic fungi which cause citrus scab diseases, resulting in fruit blemishes that reduce the economic value of fruit. By increasing interest to safe products of crops, the alternative methods of disease control is highly require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215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는 일년생 작물이나 고추, 오이, 상추 등 엽채류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다년생 목본류인 감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Cho 등, 2007; Kim, 2002).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친환경 농가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감 더뎅이병을 식물근권에서 분리한 세균을 통하여 방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 더뎅이병이란? 감귤 생산에 문제시 되는 주요 감귤 병해 중 하나인 감귤 더뎅이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은 Elsinoe fawcettii Bitancourt & Jenkins(citrus scab), Elsinoe australis(sweet orange scab), Sphaceloma fawcettii var. scabiosa(tryon's) 3가지에 의해 발생되며(Timmer, 2000), 이 중 E.
감귤 더뎅이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은? 감귤 생산에 문제시 되는 주요 감귤 병해 중 하나인 감귤 더뎅이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은 Elsinoe fawcettii Bitancourt & Jenkins(citrus scab), Elsinoe australis(sweet orange scab), Sphaceloma fawcettii var. scabiosa(tryon's) 3가지에 의해 발생되며(Timmer, 2000), 이 중 E. fawcettii가 제주에서 주로 재배하는 온주 밀감에 병을 일으킨다(Hyun et al.
감귤 더뎅이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인 E. fawcettii의 병원형의 종류와 감염시 어디에서 병이 발생하는가? , 2001). E. fawcettii의 병원형은 Florida Broad Host Range(FBHR)형과 Florida Narrow Host Range(FNHR)형 두 가지가 있으며 이들에 의해 감귤 잎과 열매에 병이 발생된다(Timmer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 Y. K., Kang, S. C., Kim, K. D., Hwang, B. K. and Jeun, Y. C. 2010.12. Enhanced defense responses of tomato plants against late blight pathogen Phytophthora infestans by pre-inoculation with rhizobacteria. Crop prot. 29: 1406-1412. 

  2. Cho, J. I., Cho, J. Y., Park, Y. S., Yang, S. Y. and Heo, B. G. 2007.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nomyces, and its biological control effect against the bacterial blossom blight infected in kiwifruits. Korean. J. Sci. Technol. 25: 235-240. (In Korean) 

  3. David, M. W. 1988. Biological control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in the rhizosphere with bacteria. Annu. Rev. Phytopathil. 26: 379-407. 

  4. Hong, S. H. and Cho, K. S. 2007. Effect of Plant, rhizobacteria and physicocheical factors on the phyt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Korean. J. Microbiol. 35: 261-271. (In Korean) 

  5. Hyun, J. W., Timmer, L. W., Lee, S. C., Yun, S. H., Ko, S. W. and Kim, K. S. 2001. Path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molecular analysis of Elsinoe isolates causing scab diseases of citrus in Jeju isolates in Korea. Plant Dis. 85: 1013-1017. 

  6. Jeun, Y. C., Siegrist, J. and Buchenauer. H. 2000. Biochemical and cytological studies onmechanisms of systemically incuced resistance in tomato plants against Phytophthora infestans. J. Phytopathol. 148: 129-140. 

  7. Jeun, Y. C., Lee, Y. J. and Bae, Y. S. 2004. Rhizobacteriamediated incuced systemic resistance in cucmber plants against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orbiculare. Korean. J. Plant. Pathol. 20: 172-176. (In Korean) 

  8. Kang, S. J., Kim, J. H. and Joo, G. J. 2005. Isolation of antagonistic bacteria against Fusarium oxysporum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post mixed with microbial formulation. Korean. J. Hort. Sci. Technol. 23: 342-350. (In Korean) 

  9. Kim, J. H., Choi, Y. H., Kang, S. J., Rhee, I. K. and Joo, G. J. 2002. Biocontrol of vegetables damping-off by Bacillus ehimensis YJ-37. Korean. J. Life Sci. 12: 416-422. (In Korean) 

  10. Kong, H. G., Chun, O. J., Choi, K. H., Lee, K. Y., Baek, J. W., Kim, H. J., Senthilkumar, M., Moon, B. J. and Lee, S. W. 2010. Formul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2 and its efficacy to control tomato leaf mold caused by Fulvia fulva. Res. Plant Dis. 16: 27-34. (In Korean) 

  11. Lee, C. S., Kim, K. D., Hyun, J. W. and Jeun, Y. C. 2003. Isolation of rhizobacteria in Jeju island showing anti-fungal effect against fungal plant pathogens. Mycobiology 31: 251-254. 

  12. Lee, K. H. and Jeun, Y. C. 2005. Observations of infection structures after inoculation with Colletotrichum orbiculare on the leaves of cucumber plants pre-inoculated with two tacterial strains Pseudomonas putida or Micrococcus luteus. Korean Soc. Mycol. 33: 131-136. 

  13. Nam, M. H., Choi, J. P., Kim, H. J., Lee, J. J., Lim, K. H., Kim, Y. G., Kim, H. T. and Jeun, Y. C. 2010. Controlling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KB-401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fusca. Korean. J. Pesticide Sci. 14: 49-53. (In Korean) 

  14. Raaijmakers, J. M., Weller, D. M. and Thomashow, L. S. 1997. Frequency of antibiotic-producing Pseudomonas spp. in natural environ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3: 881-887. 

  15. Thomashow, L. S. and Weller, D. M. 1996. Current concepts in the use of introduced bacteria for biological disease control: mechanisms and antifungal metabolites. In: Plant-microbe interactions, vol. 1., ed. by G. Stacey and N.T. Keen, Campman and Hall, pp. 187-235, New York, N. Y. 

  16. Timmer, L. W., Priest, M., Broadbent, P. and Tan, M. K. 1996. Morpholog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pecies of Elsinoe causing scab diseases of citrus. Phytopathology 86: 1032-1038. 

  17. Timmer, L. W. 2000. Scab diseases. In: Compendium of Citrus Diseases. 2nd ed., ed. by L. W. Timmer, S. M. Garnsey, and J. H. Graham,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nty Press. St. Paul. M N. pp. 31-32. 

  18. Weller, D. M. 1988. Biological control of soilborn plant pathogens in the rhizosphere with bacteria. Annu. Rev. Pathol. 13: 129-131. 

  19. Yang. C., Dong, M., Yuan Y., Huang, Y., Guo, X. and Qiao, C. 2007. Reductive transformation of parathion and methyl parathion by Bacillus sp. Biotechnol. Lett. 29: 487-4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